남산숲에 남산제비꽃이 피었어요 아이세움 자연학교 2
김순한 지음, 백은희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차들의 경적소리, 바삐 움직이는 사람들, 쉴 새 없이 움직이는 시계 바늘처럼 그렇게 서울은 한 치의 여유도 없이 바쁘게 돌아갑니다.

그런 서울 한복판에 사람들의 마음에 여유를 주는 자연이 있습니다.

바로 남산숲입니다. 도시의 삭막함 속에서 자연의 푸르름을 간직하고 있는 곳입니다.

가까이 있는 남산숲임에도 불구하고, 자주 가보지도 않았고 제대로 알고 있지도 못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남산을 떠올리면 길고 긴 비탈길이 떠오릅니다.

궁궐을 짓거나 나쁜 기운을 막는 남산 소나무는 바로 이 남쪽 비탈에 있습니다.

‘남산 위에 저 소나무’ 애국가의 한 구절에 나오는 이 소나무가 야외 식물원 뒤쪽 순환도로와 이어지는 오솔길 양옆에 가득히 자리 잡고 있습니다. 

 

 

소나무 숲에는 쇠박새의 울음소리가 들립니다. 봄이면 개별꽃, 애기나리, 은방울꽃과 여름이면 단풍취, 맥문동, 박주가리 등이 피어납니다. 그중 남산숲에 사는 소중한 풀꽃 하나가 ‘남산제비꽃’ 이라고 하네요. 남산에서 처음 발견된 꽃으로 보랏빛이 아닌, 하얀 꽃을 피웁니다. 하지만 도심 한복판에 외롭게 떨어져 있는 남산숲은 물과 먹이가 모자라는데다가 군데군데 숲을 둘러싼 철조망이 있어 다른 산과 이어지는 생태띠가 끊어져 있다고 합니다.  


그동안 남산숲에 대해서 알지 못했던 내용들을 접하고 보니, 자연의 소중함과 생명의 신비로움에 대한 감탄과 경이로움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사람들의 관심 부족과 도심 한복판에 자리 잡은 남산숲의 지리적인 위치로 오래된 소나무의 상실과 건강하지 못한 소나무들의 모습이 안타까움을 더했습니다.

서울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남산은 서울의 허파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늘 곁에 있어서 그 소중함을 잊고 살았던 이 곳 남산숲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때라는 생각이 듭니다.  


생태띠가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푸르른 소나무가 늠름하게 서 있고, 계절마다 오가는 다양한 종류의 새와 꽃들 그리고 개울의 개구리와 가재들은 남산숲을 지키고 있었습니다. 남산공원에서는 남산숲과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열고 있습니다.

사람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자연과 친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초등학생을 위한 프로그램과 아이들과 어른들이 함께하는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삭막한 도시에서 서울을 지키고 있었던 남산에 대한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듯싶습니다.

이 책을 통해서 남산숲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습니다. 서울의 허파로 묵묵히 그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던 남산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된 듯합니다. 삭막한 도시 속 남산숲에서도 다양한 자연의 모습을 볼 수 있다는 것이 반갑고 고맙습니다.

아이들과 남산숲과 친해질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봐야겠어요. 새삼 자연에 대한 고마움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사진출처: ‘남산숲에 남산제비꽃이 피었어요’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