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프릴의 고양이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103
클레어 터레이 뉴베리 지음, 김준섭 옮김 / 시공주니어 / 199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큰 아이는 애완동물을 사달라고 하루에도 몇번씩 엄마인 저를 졸라댑니다. 책 내용처럼 네 식구 살기에도 버거운 우리 집에 애완 동물이 함께 살게 된다는 것은 참 버거운 일이라, 늘 아이의 요청을 거절합니다.
사실 그저 바라보는 동물은 좋지만, 애완 동물을 기르는 일은 자신이 없습니다. 특히 고양이의 매서운 눈을 무서워하는 저에게 딸래미의 요청을 들어줄 일은 만무합니다.
어린 시절 고양이와의 무서운 추억이 있기 때문인지 저는 유독 고양이를 무서워합니다. 애완동물을 주제로 한 이야기에는 강아지가 많이 등장했었는데, 최근들어 고양이가 등장하는 동화책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아이들의 동화책과 그림책을 좋아하는 저는 자연스레 고양이 이야기를 많이 읽게되었고, 그 두려움은 조금씩 친근함으로 바뀌어가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 딸아이의 고양이 기르기는 여러가지 여건상 수락하기 어렵지만 말입니다.

<<에이프릴의 고양이>>는 고양이를 사랑하는 주인공 에이프릴의 예쁜 마음이 잘 드러난 작품입니다. 또한 집안 환경상 고양이를 기르지 못하는 우리 집과 부모의 마음도 잘 나타나 있는 작품이기도 하죠.
뉴욕의 아주 작은 아파트에서 에이프릴과 엄마, 아빠 그리고 까만 고양이 시바는 북적이며 살아갑니다. 아파트가 너무 비좁아서 에이프릴에게 제대로 된 침대를 놓아줄 수 없어 여섯 살인 에이프릴은 여전히 아기 침대에서 잠을 잡니다.
아빠는 ’고양이 한 마리용’ 아파트라 불렀고, 시바에게 새끼를 낳아서는 안 된다고 타이르곤 했습니다.
그러나 시바는 까만 고양이 한마리와 줄무늬가 있는 고양이 두마리 총 세마리의 새끼를 낳았습니다.

에이프릴은 너무너무 좋아했어요. 
아빠는 엄마에게 에이프릴이 새끼 고양이들에게 정을 붙이기전에 고양이들을 어떻게 해보라고 다그칩니다.
에이프릴은 새끼 고양이들을 보느라고 정신이 없습니다. 특히 코와 이마가 새하얀게 마치 머리 한가운데에 가르마를 타 놓은 것같은 고양이를 가장 좋아했어요.
하지만 다른 새끼 고양이들이 상처를 받을까봐 좋아한다는 말을 하지도 못했죠.
에이프릴과 엄마가 새끼 고양이들의 이름을 잘 짓지 못하자, 아빠가 나서서 멋진 이름을 지어주었습니다.
버치, 차콜 그리고 에이프릴이 가장 좋아하는 고양이는 브렌다가 되었죠.

고양이들이 우유를 잘 먹게되자, 엄마는 새끼 고양이들을 이웃에게 나누어 주기 시작했습니다.
차콜과 버치이 이웃집에 가게되고, 내일이면 시바가 이모네 시골집으로 가게 됩니다.
에이프릴은 그동안 함께 지내왔던 시바가 식구들에게 버림받았다는 사실을 알고 슬퍼할 것을 생각하니 마음이 아팠습니다. 결국 에이프릴은 사랑하는 브렌다는 이모네 집으로 보내야겠다고 결심하죠.
엄마 아빠는 에이프릴의 작은 침대를 보고 새 침대를 사주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새 침대를 놓은 곳이 마땅치 않아서 좀더 큰 아파트로 이사하기로 합니다. 이번에는 ’고양이 두 마리용 아파트’로 말입니다. 

 

 

에이프릴 가족의 모습은 애완동물을 키우고 싶어하는 어린이와 반대하는 부모의 모습을 그대로 담아낸 작품 같습니다. 책을 읽다보니 고양이를 키우고 싶어하는 큰 아이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겠더군요. 거꾸로 고양이를 키울 수 없는 부모의 마음도 아이들은 이해할 수 있을 듯 싶어요. 고양이를 두려워하는 저에게 이 그림책의 고양이는 정말 따뜻한 느낌을 전해줍니다.
검은 색 파스텔로 그려진 삽화는 포근함이 느껴져요. 고양이를 쓰다듬을 때 느낄 수 있는 부드러움과 따뜻함이 전해지는 듯한 느낌을 주는 삽화랍니다. 고양이들의 행동을 잘 묘사하여 생생한 느낌을 주는 그림은 역동적이기도 합니다.


고양이를 키우고 싶어하는 딸아이는 이 그림책을 보고 애완동물을 사랑하는 마음을 더 깊게 간직하게 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저는 책을 통해서 그 마음을 조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던 것 같아요. 고양이를 두려워하는 모습도 조금 벗어버릴 수 있게 되었고요.

(사진출처: ’에이프릴의 고양이’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