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왕자 (문고판) 네버엔딩스토리 18
오스카 와일드 지음, 소민영 옮김 / 네버엔딩스토리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전 <<행복한 왕자>>를 읽었을 때 가졌던 느낌과 지금의 느낌은 사뭇 다르다는 생각이 든다. 어린 시절의 <<행복한 왕자>>는 <<아낌없이 주는 나무>>를 떠올리게 하는 나눔에 대해서만 생각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사람에게 베풀 줄 아는 사람이 되자!라는 교훈을 주는 아름다운 동화였다는 기억이 남아있던 이 동화책을 지금 다시 읽어보았을 때, 이 동화책이 이렇게 슬픈 동화였던가에 대해서 먼저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고보니 <<행복한 왕자>>에 수록된 오스카 와일드의 작품들은 대부분은 슬픈 결말로 끝이 난다. 어린이를 위한 동화책 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행복한 결말 대신에 오스카 와일드는 왜 슬프고 비극적인 결말을 선택했을 것일까? 지금에야 어렴풋이 생각해 보건데, 오스카 와일드의 작품은 어린이를 위한 동화라기 보다는 우리들의 현실을 비판하고 삶의 진실을 보여주는 다분히 어른들을 위한 이야기가 아닌가 싶다. 슬프고도 아름다운 삶의 양면성을 보여줌으로써 아름다운 부분을 더욱 빛나게 보여주고, 그로인해 우리가 알아야하는 것은 진정 무엇인가를 깨닫게 하는 다분히 철학적 이야기처럼 느껴진다.

그동안 가난한 사람들에게 자신의 보석과 눈을 아낌없이 주었던 행복한 왕자의 모습만 보았던 <<행복한 왕자>> 속에 감추어진 다른 부분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온몸이 황금으로 덮여 있고, 두 눈에는 사파이어가 박혀 있으며, 칼 손잡이에는 커다란 루비가 반짝이는 행복한 왕자의 동상을 사람들은 우러러 보았다. 제비를 통해서 자신의 아름다움을 모두 나눠주었던 행복한 왕자는 거지와 다를 바 없는 초라한 모습이 되었다.
사실 외모만으로는 초라한 동상이 되었지만, 그 마음은 그 어느 보석과 비할 수 없이 아름답게 빛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드러나 보이는 아름다움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진정한 아름다움을 볼 줄 모르는 사람들의 헛된 마음을 비판하고 있는 듯 보인다.

"발 밑에는 새까지 죽어 있고 말이야! 새들은 이 도시에서 죽으면 안 된다는 법을 만들어야겠군."
"왕자는 아름답지 않기 때문에 더 이상 쓸모가 없습니다."
(본문 23p)

생각해 보건데, 어린시절에는 동화책을 통해서 단편적인 부분만을 아이들에게 주입시켜주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다. 

<<나이팅게일과 장미>> 역시 해피엔딩이 아니다. 진실한 사랑을 가진 나이팅게일이 젊은 학생에게 베풀었던 헌신의 댓가인 장미를 던져 버리며, 고귀한 사랑을 논리적으로 증명하려는 학생의 이기심은 나이팅게일의 헌신을 짓밟아 버렸다. 덧없는 죽음을 맞이한 나이팅게일의 슬픈 결말은 사람들의 이기적인 마음을 드러내고 있었다.
<<헌신적인 친구>> 역시 슬픈 결말로 자신의 필요에 의해서만 ’친구’ 관계를 성립하고 있는 밀러의 모습을 통해서 사람의 이기심을 보여주고 있다.

다분히 철학적이고 슬픈 결말을 보여주는 이야기지만 오히려 슬픈 결말과 비판적인 이야기가  ’사랑’’우정’’헌신’’나눔’ 등에 대한 기본적인 도리에 대해 명확하게 알려주고 있기에 어린이들에게도 많이 읽히는 동화책으로 사랑받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다.
현실을 비판하고, 인간의 이기심을 드러내며 슬픈 결말로 이끌어내는 이야기지만, 그 속에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 <행복한 왕자>가 비록 사람들에 의해 버려지게 되지만 가난한 사람을 위한 그의 희생을 눈물겹도록 아름다웠으며, 자신의 목숨을 희생하여 아름다운 빨간 장미를 만들어낸 나이팅게일의 모습 또한 아름다웠다.
삶은 그렇게 아름다움과 추악함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듯 하다. 그 슬픈 추악함 속에서 보여지는 숭고함이 그래서 더욱 아름답게 빛을 발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본다.
그 아름답게 빛나는 숭고함이 어린이들에게 올바른 가치관을 성립하도록 이끌어 주리라. 
저자 오스카 와일드는 어린이 뿐만 아니라 모든 이들에게 삶의 진실을 보여주려 한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