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아프리카사 - 우리가 한 번도 만나보지 못한 아프리카의 진짜 역사 ㅣ 외우지 않고 통으로 이해하는 역사
김시혁 지음 / 다산에듀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아프리카의 역사만을 다루고 있는 책을 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인 듯 싶다. 세계사 속의 한 귀퉁이에 자리잡은 아프리카와 만나왔지만, 그들의 이야기는 세계사의 주무대가 아니였던 듯 싶다.
몇 달전 [외우지 않고 통으로 이해하는 통유럽사] 두 권을 접하면서 역사서에 대해 가지고 있던 선입견(지루함이나 따분함 따위)을 조금이나마 벗어버릴 수 있어서 좋았다.
다양한 인물들의 사진과 지역적 변화에 따른 그림 설명과 사진들은 역사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하며, 단원마다 수록된 ’통박사의 역사 읽기’는 흥미로운 주제를 통해서 역사에 대한 흥미를 더욱 유발하였고, 나는 책이 인도하는데로, 역사의 흐름에 따라 시간 여행을 하듯 그렇게 역사의 물줄기를 따라갔고, 결국 그동안 세계사의 지루하고 어렵다는 편견이 자라잡았던 내 머릿속에는 편견 대신에 역사의 흐름이,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나라가 처한 상황을 이해할 수 있을 거 같은 뿌듯함이 마음속에 자리잡았었다.
그리고 이제는 [통아프리카사]를 통해서, 그동안 만나보지 못했던 아프리카와의 첫 대면을 시작해보려 한다.
아프리카 대륙에서 처음으로 2010년 월드컵이 개최될 것이다. 월드컵의 관심은 그렇게 축구의 열기 뿐만 아니라, 월드컵을 개최하는 아프리카에게도 쏠리도 있다. 그동안 아프리카는 역사의 그늘 속에 가리워진 채 바래져가고 있었다는 느낌이 든다. 아마 그것은 아프리카를 짓밟았던 강대국의 또다른 횡포일지도 모른다. 우리나라가 일본의 그늘에 가리워진 부분이 여전히 남아있는 것처럼, 아프리카 역시 그들을 지배했던 유럽의 그늘 속에서 잠겨져 있는 듯 하다. 그러나 그들도 이제 일어서고 있고, 강대국의 그늘이 아닌 자신들만의 역사를 보여주려 하고 있다. 그러므로, 2010년 월드컵을 개최하게 될 만큼의 저력을 보여주려는, 선진국으로 길을 걸어가려는 아프리카 대륙의 움직임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그들을 이해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그들의 역사를 바로 아는 것이 먼저일 것이다. 그들의 움직임을 발빠르게 캐취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역사를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통아프리카사]는 그렇게 새로운 역사의 흐름에 발맞추어 그들을 이해하기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는 것이다.
1. 인류 역사의 문을 열다
2. 고대 문명의 시작, 그리고 이집트
3. 중세 아프리카의 발자취
4. 유럽, 아프리카를 파괴하다
5. 아프리카, 홀로 서다
1924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타웅이란 산골에서 유아의 머리뼈 화석이 처음 발견되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라는 학명이 붙여지고, 최초의 인류가 오스트랄로피테쿠스라는 이름을 얻게 된 것도 이를 통해서이다. 초기 인류의 화석이 많이 발견 되었기에 "살아 있는 인류 박물관"이라고 불리는 동남부 아프리카는 이렇게 인류의 역사를 써내려가게 된 시초가 되었다.
가장 처음 인류의 역사를 쓰게 되었던 아프리카는 이제 인류의 마지막 역사를 쓰게 될지도 모른다.
과학의 발달과 무절제한 환경 훼손으로 인류가 설 자리는 점점 좁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는 자연과 자원이 잘 보존된 곳이기도 하다. 그러기에 사람들은 아프리카에 점점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인류가 마지막으로 설 수 있는 땅이기에...
그동안 아프리카의 역사를 제대로 접해본 적이 없어서인지 몰라도, 읽는내내 어려운 느낌을 받은 것은 사실이다. ’제4장 유럽, 아프리카를 파괴하다’는 오히려 세계사를 공부하면서 비록 강대국의 시선으로 바라본 아프리카의 이야기였지만, 많이 접해본 부분이라 그런지 이해하기가 더 수월했던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최초의 인류가 탄생했음에도 불구하고, 한때 찬란한 문명을 꽃피웠던 시기도 존재했던 아프리카는 오랫 세월동안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제 아프리카통일기구가 탄생하고, 아프리카의 발전을 도모했으며, 21세기 들어 아프리카의 통합을 꿈꾸는 아프리카연합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앞으로 선진국들이 제자리 걸음을 하게 되고, 아프리카는 빠르게 성장하고 나아가게 될지도 모른다. 오랫동안 제자리 걸음으로 100m 달리기를 하기 위한 도약을 준비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은 여전히 풀어야할 숙제가 많다. 그들이 성장을 위해 달리기를 시작하기 전에, 질병으로부터 해방되어야 하며, 종족간의 분쟁을 끝내고 하나로 뭉쳐야 하며, 여자에 대한 못된 관습으로부터 탈피해야만 한다. 그들에게는 아직 커다란 숙제가 남아있지만, 그들은 충분히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대륙이기도 하다.
10년 후, 또는 20년 후 우리에게 아프리카는 어떤 대륙으로 다가올까? 이 책을 닫으면서 한번 생각해봐. 인류의 역사가 퇴보하지 않는다면, 아프리카도 분명 발전할 거야. 그때의 아프리카는 우리에게 훌륭한 동반자가 돼 있지 않을까? (본문 309p)
이야기는 그렇게 역사를 읽는 독자들에게 물음을 제기한다. 인류는 환경 오염과 자원의 고갈이라는 공통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그런 의미에서 아프리카는 우리에게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인류가 퇴보되지 않는 한이라는 제시를 둔 것은, 아프리카와 또 다른 대륙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할 경우를 내포하고 있는 듯 하다. 우리는 결국 아프리카와 조화를 이루고 공존해야한다는 것이고, 그 시작은 바로 그들을 이해하는 것에 두어야 한다.
[통아프리카사]는 그들의 역사를 보여줌으로써 미래의 역사까지 읽어내려갈 수 있도록 세계를 보는 폭을 넓혀주고 있다.
[통유럽사]에 이어 [통아프리카사] 역시, 역사적 사건을 시대순으로 정리하여 역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기본에 충실하였기에 생소한 이야기를 보다 쉽게 읽어내려갈 수 있었던 것 같다.
과거의 역사를 배우다보니, 미래의 역사에 호기심을 갖게 되고, 자연적으로 세상을 보는 눈이 키워지는 듯하다. 그동안 아이에게 역사를 잘 알아야 한다는 결론적인 부분만 가지고 책을 권하곤 하였는데, 지금 내가 역사와 세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면서 역사를 알아야하는 이유가 분명해지다보니, 딸에게 역사가 주는 의미와 이유를 통해서 역사서들 권하게 될 듯 싶다.
(사진출처: ’통아프리카사’ 본문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