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개입니까>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나는 개입니까 사계절 1318 문고 62
창신강 지음, 전수정 옮김 / 사계절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특한 제목이 눈에 확 띄는 책이다. 개인가?를 내게 되묻고 있는 책이 왠지 역설적이라는 느낌을 주었다.  저자의 이름이 낯설지 않아 찾아보니 그의 작품 <열혈 수탉 분투기><탁구왕 룽산>을 통해서 만나본 적이 있는 저자였다. <열혈 수탉 분투기>는 꽤 재미있게 읽었던 작품이였기에 서둘러 책을 읽어보았다. 책 제목을 본 사람이라면 책에 대한 호기심을 갖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책 제목은 그렇게 강렬한 느낌을 주고 있었다.

서늘하고딱딱한 시멘트로 둘러싸인 지하 하수도에서 살아가는 토종견인 ’나’는 할아버지의 죽음을 통해서 ’창구’를 알게 되고, 창구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된다. 아빠도 형도 창구에 대한 언급을 회피하고 있었기에 그 호기심은 더 강하게 밀려왔는지 모른다.
그 궁금증을 풀어준 것은 시멘트 틈새로 보게 된 시커먼 흙에서 만난 연분홍빛을 띤 지렁이를 통해서 였다. 

"우리의 창구는 인간이 사는 도시 위 도로에 있는 맨홀이야." (본문 17p)

작은 형의 가출과 창구로 흘러 들러온 음악, 연분홍 지렁이의 죽음과 나에게 생긴 예지력으로 인해 ’나’는 창구 위로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나’는 개가 아닌 사람이 되어 인간 세상에 들어서게 된다. 이마에는 연분홍 지렁이의 연분홍빛 외투 모양의 흉터가 새겨져 있었고, 그것은 ’나’가 인간 세상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주는 하나의 지침서와 같은 역할을 해주고 있었다.
배고픔에 이끌려 식당에 들어가게 되고, 음식을 먹었지만 ’나’는 돈이 무엇인지 모른다. 경찰서에 가게 되고, 부모가 없는 ’나’는 결국 ’엄마의 집’에 가게되면서 가족의 구성원으로서의 삶을 살아가게 된다.
인간 세상에 들어서게 된 ’나’는 ’큰 또즈’라는 이름을 갖게 되고 인간 세상에서 지켜야 할 많은 규칙을 배워나가게 된다.
소년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개의 본성을 감출 수 없는 큰 또즈는 자신에게 다가오는 사람을 한없이 좋아하고, 자신을 화나게 하는 사람에게는 엉덩이를 물어버리는 것으로 사람관계를 조성해 나간다.

그런 와중에 만나게 된 류웨를 통해서 큰 또즈는 ’홍메이 아젠’이라는 이름으로 새로 시작하게 된다. 류웨를 만나기 위해서 중학교 1학년에 입학을 하게 되고, 인간 세상의 학교라는 곳을 접하게 된다. 성적에 우선시 되는 세상에서 홍메이 아젠은 학교에서도, 엄마의 집 엄마에게서도 큰 대우를 받게 되지만, 그만큼의 기대감으로 학생들을 몰아세운다. 그런 인간사를 모르는 홍메이 아젠에게는 어떤 부담도 걱정도 없지만 점차 그것을 깨달아 간다.
인간이 된 작은 형을 만나고, 인간 세상에서 고통을 느껴 말을 하지 못하게 된 누나를 만나게 되고, 이미 죽음으로 개 가죽으로 남겨진 아빠를 만나면서 아젠은 인간의 슬픔, 분노 등의 감정을 느끼게 된다.
자신과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알고 있는 류웨는 어떤 존재일까? 류웨는 바로 인간 세상에 온 연분홍 지렁이였다.
개의 생명은 십오 년이고, 개에게 있어 한 달은 인간의 하루와 같다. 그렇게 형과 누나의 죽음을 보게 지켜본 아젠도 늙어가지만, 자신의 생명을 준 연분홍 지렁이 덕분에 아젠은 인간 세상에서 청춘의 시간을 온전히 보내게 된다.

규칙에 의해서만 움직이는 세상, 1등만 기억하는 세상, 자신의 이익을 위해 타협과 협박으로 다가오는 사람들, 굴복시키려는 사람과 굴복된 사람들... 인간 세상에서 볼 수 있는 추악함을 드러내고 있었다. 속된 말로 개만도 못한 사람들이 존재하는 이 세상에서 우리는 개만도 못한 사람인지, 올곧은 사람인지를 생각해 봐야할 듯 싶다. 본성은 개이지만, 사람보다 더 따뜻한 마음을 가진 아젠.
왜 저자는 ’개’를 통해서 인간 세상을 보게 한 걸까? 사람의 눈으로 바라보는 인간 세상은 극히 주관적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세상에 속해서 적응하며 살아가는 우리는 지금의 인간 세상이 지극히 평범하게 보일수도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사람이 아닌 다른 종족(?)을 통해서 바라보는 인간의 모습은 객관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저자는 아젠을 통해서 객관적으로 인간세상을 드러내고 싶었던 것을 아닐까?


강렬한 제목은 말하고 있는 듯 하다. 비록 개의 본성을 가졌으나, 올곧은 마음을 가진 아젠은 개만도 못한 사람들보다 훨씬 사람답다고 말이다. 사람이냐? 개냐? 라는 종족의 의미가 아니라, 당신의 심성이 사람이냐? 개냐? 라는 질문을 하고 있음을 비로소 깨닫는다.
아젠이 바라보는 인간 세상의 속물들 중에 내가 있는 것은 아닐지, 개만도 못한 사람의 악한 모습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닐지 내 모습을 되돌아 보게 되었다.
<열혈 수탉 분투기>에 비하여 구성의 치밀함이 조금 떨어지지 않았나 싶은 생각은 들지만, 나름대로의 확고한 주관을 가지고 이야기를 이끌어 간 듯 하다. 초반부엔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 것인가에 대해서 조금 난해함을 가졌지만, 중반을 넘어서면서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가 드러나기 시작한다.

아젠은 창구에 대한 호기심으로 어두운 지하 세상이 아닌 인간의 세상으로 올라왔다. 비록 어둠이 존재하고, 악함이 존재하는 곳이지만 아젠은 사랑하는 마음을 알게 되었고, 또 다른 새로운 세상으로 도약하려는 희망을 알게 되었다.
도전이라는 것은 그렇게 환한 불빛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어둡고 힘겨운 터널을 통과해야만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아젠을 통해서 알아갈 수 있으리라.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아젠의 발걸음에 힘이 느껴진다.

나는 튀어나온 벽의 모서리를 향해 전속력으로 돌진했다. 그건 다른 세계로 가기 전에 반드시 치러야 할 통과의례 같은 것이었다. 피할 수 없다면 용감하게 부딪히는 것만이 방법이었다. 순간, 내 생을 뒤흔드는 것 같은 어마어마한 고통에 정신을 잃었다. (본문 63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