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리데기] 제목을 읽으면서 설화 속의 바리데기를 떠올리지 않은 사람은 없었을 것이다. 
설화속의 바리데기는 오귀 대왕의 일곱째 공주로 태어나, 여자라는 이유로 버려졌던 바리데기가 부모가 병이 들어 약이 필요하게 되자 온갖 고생 끝에 서천의 영약을 구해 죽은 부모를 살린다는 이야기이다.

황석영의 [바리데기]를 읽으면서 나는 설화 속의 바리데기와 겹쳐짐을 느꼈다. 애닮픈 그녀의 삶이 설화 속 바리데기와 흡사하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리라. 또한 애닮픈 삶 속에서 희망을 찾아가는 두 바리데기의 모습도 닮아있다. 

현대문학의 거장이라 일컫는 황석영 작가의 작품은 [바리데기]를 통해서 처음 접해 보았다. 그 동안 무수히 많은 작품을 집필하였으나, 선뜻 그의 작품에 손이 가지 않는 것은 나의 편독심한 취향에 맞지 않을 거 같은 느낌때문이였다. 
그러나, [바리데기]는 달랐다. 설화 속의 바리데기를 닮은 듯한 표지 속의 여인의 모습에 이끌려 처음 그의 작품을 접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나는 황석영 작가의 팬이 되었다. 어쩌면 그 작가를 잠시잠깐 만났을 때의 즐거운 추억 때문에 더욱 이끌렸는지도 모른다.

딸로 태어났다는 이유로 버림받았다가 얻게 된 이름 바리는 설화 속의 바리데기를 모티브로 삼아서인지 주술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 바리에게 이런 능력이 없었다면 그녀는 그 모진 인생을 견딜 수 있었을까? 어쩌면 이런 능력이 현실을 도피하고 싶었던 바리의 마음을 표현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현실과 이상을 넘나드는 판타지적인 부분은 고통스러운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바리의 혼란스러운 내면을 보여주고 있는 듯 하다.

경제적 궁핍으로 인해 북한을 탈출하면서 시작된 바리의 험난한 삶은, 가족의 죽음과 사람들 사이에서의 상처로 곪아간다.
바리의 고통은 결코 한 여인의 모진 삶을 이야기하고자 함은 아니다.
이 책은 바리를 통해서 현재 우리 사회가 가진 절망을 드러내고 있다. 저자가 폭력과 테러와 기아  등 사회가 안고 있는 절망을 드러내고자 함은 무엇일까? 그 절망 속에서도 볼 수 있는 실낱같은 희망을, 바로 생명수를 찾고자 함은 아닐까?

나는 바리를 통해서 과거의 나를 찾아 보았다. 누구나 그렇듯이, 아니 어쩌면 나만 그런것인지도 모른다. 내가 처한 고통이 가장 크고 힘들게만 보였다. 녹녹치 않은 내 삶이 힘들다고 엉엉 울며 투정도 많이 부렸고, 주저앉아 일어나지 않으려고 했던 적도 많았다.
삶은 누구에게도 고통과 시련이 존재한다. 누가 그랬던가? 고통과 행복은 함께 존재하고 있다고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큰 행복은 보지 못한 채, 작은 고통에만 힘겨워했었다. 생명수가 존재함을 알지 못했던 과거의 나는 그렇게 부끄러운 존재였다.

지금 우리 사회의 모습도 마찬가지일지 모른다. 절망만 보려는 우리들의 눈 속에 사회는 점점 더 곪아있고, 사람들은 서로에게 상처주기에 급급하다. 상처를 떠안고 있는 이 세상은 안타까운 소식을 전하기에 바쁘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욕심이 세상에 ’바리’와 같은 사람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연신 보도되는 수많은 범죄와 그로인해 고통을 받는 ’바리’들을 만들었고, 개인의 욕심으로 스스로를 ’바리’로 만든 우리들도 존재한다. 저자 황석영은 세상의 수많은 ’바리’를 위해 ’생명수’가 존재함을 알려주고 있다. 

희망을 버리면 살아 있어도 죽은 거나 다름없지. 네가 바라는 생명수가 어떤 것인지 모르겠다만, 사람은 스스로를 구원하기 위해서도 남을 위해 눈물을 흘려야 한다. 어떤 지독한 일을 겪을지라도 타인과 세상에 대한 희망을 버려서는 안된다. (본문 286p)

작은 고통으로 인해 보지 못하고 있는 행복을 보는 법은 간단하다. 고개를 돌리면 그 곳에 행복과 희망을 볼 수 있다. 작은 귀퉁이 속에 보도된 따뜻한 사연만으로도 세상은 아직 살만하다고 느낀다.  타인과 세상 그리고 나 스스로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는 것이야 말로 우리가 꼭 잊지말아야 할 가장 큰 과제는 아닐까? 생명수는 바로 마음에 있음을 기억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