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장각 각신들의 나날 2
정은궐 지음 / 파란(파란미디어)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 을 읽기가 무섭게 <<규장각 각신들의 나날>>을 바로 집어들지 않을 독자는 아마 없으리라 생각된다. [대물,가랑,걸오,여림의 잘금 4인방]의 매력에 빠지지 않을 수 없기에, 그 후속편을 기대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책을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입가에 웃음이 배시시 새어 나온다. 전편을 읽을때와 마찬가지인 즐거움이 배어나오는 웃음이다.
 <규장각 각신들의 나날>을 읽기가 무섭게 나는 또 그 후속편을 기다린다. 아직 그들의 매력 속에서 헤어나오지 못하였기에...

전편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에서는 잘금 4인방이 완성되기 까지의 과정을 그렸다고 한다면, 후속편 규장각에서는 ’우리’가 되어 하나로 뭉쳐진 이들이 정조의 총애를 받아 규장각으로 입성을 하여 각자의 능력을 발휘하게 되는 과정과 타 세력과의 갈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궐내의 이야기가 중심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후속편에서는 잦은 왕 정조의 등장이 잘금 4인방을 더욱 긴장하게 하였고, 그 긴장감이 독자로 하여금 웃음을 선사하는 매개체로 사용된다.
다양한 성격을 가진 인물들이 새로이 등장함으로써 전편과는 다른 즐거움도 선사한다.


가랑 선준의 장원으로 대물 윤식과의 혼례가 진행되는 것으로 전편이 끝났던 것을 감안하여, 그들의 아슬아슬한 사랑이 끝을 맺었다고 생각하였으나, 그들에게는 더 큰 역경이 기다리고 있었다.
규장각으로의 입성과 선준의 아버지 우의정의 반대로 윤희는 남장을 지속해야 함은 물론이요, 선준을 위해 그리고 동생 윤식을 위해 규장각에서 사임해야하는 어려운 업무도 수행해야 한다.
결국 윤희에게는 성균관에서의 고통은 규장각에 비하면 새발의 피가 되는 셈이다. 

후속편에서도 전편에 못지않는 유머스러움이 세력의 아귀다툼 속에서도 담겨져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림과 걸오의 대화는 늘 웃게 만드는 매력을 가지고 있다.
나는 가랑과 대물의 외줄타기식의 아슬아슬한 로맨스도 재미있지만, 걸오와 유림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캐릭터에 푹 빠져있었다.
대물이 여자임을 알고 있었음에도, 그리고 자신이 그녀를 사랑하고 있음에도 윤희의 마음을 지켜주고, 가랑을 대한 의리와 우정으로 인해 아파하는 모습과 그들을 지켜주는 대신의 모습이 참 남자답고 멋스러웠다.
또한 그것을 아는 여림은 실없는 사람이기를 자처하면서 재신과 그들을 도와주는 대포 큰 남자였다. 

"대물은 나의 소중한 벗일세. 그 외에 중요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네. 비밀을 숨기는 것이 벗의 도리라고 한다면 그것을 모르는 척해주는 것 또한 벗의 도리가 아니겠는가."
"아, 아야! 왜 또 사람을 패는가?"
"난 말이다. 벗이니 도리니 하는 말 따위 질색이거든. 그리고 한 번만 더 내 빰에 그 주둥이를 갖다 댔다간 밟아 뭉개 버릴 줄 알아!"
재신은 한쪽 눈썹을 치켜세우며 심술궂게 협박했지만 입가에 맺힌 미소는 지우지 않았다.
(1권 본문 69p)

후속편에서는 이들의 능력을 일찌감치 알고 등용한 정조는 스토리를 더욱 긴장하게 만드는 인물로 등장한다. 전편에서 대물의 정체를 알고 막을 내렸으나, 정조는 큰 모험을 감행하여 대물을 규장각에 배치하면서 우의정과 대신들과의 줄다리기를 하게 된다.
4인방이 담장을 넘도록 기꺼이 허리를 굽히고, 한밤중에 술을 마시고 찾아와 이들에게 넋두리를 하는 정조의 모습은 그 시절 정조의 고뇌를 어필하고자 하는 저자의 마음이 엿보이기도 한다.
코믹스럽게 등장하는 인물이 한명 더 있는데, 바로 ’반토막’이라는 별명을 갖게 된 재신의 부인 다운이다. 아무것도 모른 채 결혼하게 된 재신의 눈앞에는 열 네살의 꼬마가 있었으니, 무서운 재신때문인지, 어려서인지 툭 하면 울음을 터트리는 반토막은 코믹스러운 등장으로 재신의 마음에 서서히 들어오는 인물이다.

’대물’이란 별명 이외에 ’변강쇠’라는 별명을 하나 더 갖게 된 대물, 정조에게도 따끔하게 일침을 가하는 가랑, 실없는 듯 웃어대지만 사실은 모든 걸 포용할 줄 아는 여림, 사람들을 벌벌 떨게 만들지만 정작 윤희 앞에서는 순한 어린양 같은 걸오 [잘금 4인방].
그들의 개개인의 활약과 능력을 엿볼 수 있는 이 소설속에는 피 비린내 나는 당파싸움 대신 대신들의 인간미를 엿볼 수 있는 당파 싸움을 볼 수가 있다.

로맨스 소설를 읽다보면 가끔은 소설속 주인공이 되어보는 상상을 한다. 각각의 개성이 다른 멋진 세 남자의 틈에서 호탕하게 웃어재끼는 대물의 모습이 되어보고 싶고, 가랑의 앞에서는 요염한 윤희의 모습이 되어보고 싶기도 하다.
아! 까치발로 서서 키를 재었다고 울어대어 재신을 웃게 만드는 반토막 다운이도 좋다. 
정조의 윤허에 청나라로 가게 된 잘금 4인방과 윤식으로 막을 내리는 <규장각 각신들이 나날>
그들이 이끌어가는 후속편을 기대해 본다. 과연 청나라에서는 그들의 매력이 어떻게 작용할 것인가? 
작가는 이미 그들을 위험속에 던져 넣었을까? 사뭇 기대되는 후속편이 하루빨리 출간되기를 기다려 본다.


"이거 보이냐?"
"네."
"네 키가 이만해질 때까지는 내 옆에 오지도 마라. 아까처럼 네 멋대로 팔 베고 누웠다가는 가만 안 둬."
"뭐야? 또 우는 거냐?"
"그치만........"
"왜 우냐?"
"그게.....엉엉."
"어이, 반 토막. 이건 너를 위한 거야. 나 같은 놈한테도 좁쌀만큼의 인격이란 건 있다고. 울지 마라니까. 어휴!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애로구나."
"바, 훌쩍, 바, 발......."
"울든가 말하든가 둘 중에 하나만 해라. 뭔 말인지 못 알아듣겠다."
"발뒤꿈치를 세우고 쟀단 말이어요! 우왕!"
어이가 없어 입이 떡 벌어졌던 재신이었지만 어느 틈엔가 입가에 웃음이 삐질삐질 새어 나왔다. (2권 본문 319~320p)

재신은 웃음이 삐질삐질 새어 나왔을지 몰라도, 나는 시원하게 웃어줄 수 밖에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