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 하늘말나리야 - 아동용, 중학교 국어교과서 수록도서 책읽는 가족 1
이금이 글, 송진헌 그림 / 푸른책들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개인적으로 이금이 작가를 너무 좋아해서 그녀의 책을 자주 읽는 편이다. 작가는 글을 통해서 아이들이 마음을 다독이고, 어른들을 질책하는 이야기를 주로 쓰고 있다.
<유진과 유진><밤티마을 큰돌이네 집> 이 그렇다. 그리고 이 책 <너도 하늘말나리야> 역시 우리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상처를 보이면서 함께 치유하고, 다독인다. 서로 다른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3명의 아이들이 보여주는 아픔은 내가 우리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고, 곧 성장통을 앓게 될 아이의 치료제 역할이 된다. 

요즘 우리 주위를 둘러보면 이혼가정, 편부모가정 등이 많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문제는 어른들이 벌여놓은 일들로 인해 아이들이 더 많이 상처받고 있다는 사실이다. 어른들은 자신의 일에 대한 해결 방안이 급급한 나머지, 아이들은 상처 속에 방치되어 가고 있다. 어른들의 잘못임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은 혹 자신때문에 그런것은 아닌가 하는 마음에 또 다른 상처를 받게 되고, 자신이 서야할 자리를 찾지 못해 힘겨워하고 있다는 것을 어른들은 곧잘 잊고 있는 듯 하다.

이 책속에는 서로 다른 상황에서 살아가는 3명의 아이가 등장한다. 

엄마 아빠의 이혼으로 인해 엄마에게 화가 많이 나 있는 미르는 시골구석으로 이사오는 것조차도 너무 화가 나 있다. 미르를 달래주려 애쓰는 엄마의 마음을 미르는 아직 이해하지 못한다.
할머니와 단둘이 살고 있는 소희는 미르의 닫혀진 마음을 이해하며 다가가려고 애쓴다. 허나 소희 역시 부모없는 아픔으로 상처를 가슴에 안고사는 아이이다.
아빠와 살고 있는 바우는 엄마의 죽음으로 말을 하지 못한다. 엄마의 죽음이 바우의 마음에 상처로 남아 말조차 하지않게 되었고, 컴컴한 동굴 같은 아빠의 눈은 바우의 상처를 더욱 깊게 만들었다.

각기 다른 상처를 안고 만나게 된 세 아이는 서로에게 의지하면서, 서로의 상처를 조금씩 치유해 나간다. 서로를 보듬고 상처를 이겨내며 한발자국 성장해가는 아이들의 모습은 어른인 나에게도 감동으로 전해진다.

행복이란 내가 가진 욕심이나 자리를 최소한으로 줄여 가야 얻는 것인가 보다. 아무런 욕심도 바람도 없다면,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것에 만족할 수 있다면 어떤 상황이나 처지에서도 행복할 수 있을 텐데...
신은 어떤 것도 그냥 주거나 가져가지는 않는 것 같다. 다만 사람들이 그걸 깨닫지 못할 뿐이지.
(본문 97p)

할머니의 죽음으로 두 아이를 떠나게 되는 소희에게 바우는 하늘말라니를 그린 도화지를 내민다. 

하늘 말나리. 소희ㅇㅇ를 닮은 꽃. 자기 자신을 사랑할 줄 아는 꽃.
"다른 나리꽃들은 땅을 보면서 피는데 하늘말나리는 하늘을 보면서 피어. 소희, 너를 닮았어"
(본문 223p)

결손 가정이라는 공통 분모를 가지고 있는 세 아이는 어른들에게 받은 고통을 스스로가 감내하며 살아간다. 떼를 쓰는 미르, 상처 속에서 어른이 되어버린 소희, ’선택적 함구증’ 인 바우. 모두 각기 다른 방법으로 타인과 소통하고 고통을 이야기한다. 그 속에서 다른 사람의 상처를 보게 되고, 그로인해 자신이 받은 상처를 바라보게 되며, 그렇게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갖게 된 아이들은 비로서 세상으로 나아가는 방법을 배운다. 

책도 그 방법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세상은 나혼자 살아가는 곳이 아니다. 상처를 받고, 상처를 주고, 상처를 치유하면서 세상과 연결되어 간다. 세상과의 소통이 쉽지많은 않다. 그러나 친구가, 부모가, 그리고 책이 그 버팀목으로서 존재한다. 
<<너도 하늘말나리야>>는 그들에게 세상과 연결해주는 연결고리가 될 것이며, 아이들이 받은 상처를 치유하는 치료제의 역할을 해 줄 것이다.
어려운 환경속에서, 혹은 실패 속에서도 스스로 이겨낼 수 있는 힘을 배우고 자라는 우리 아이들 모두가 하늘을 향해 성장하는 "하늘말나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