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열쇠고리 신나는 책읽기 19
오주영 지음, 서현 그림 / 창비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가 참 재미있다. 열쇠고리에 4명의 아이들이 대롱대롱 매달려있다. 도대체 이 열쇠고리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기에 아이들의 표정이 가지각색으로 표현되어 있는 것일까? 표지만으로도 호기심이 이는 책이다.
책을 읽다보니, 열쇠 고리에 매달린 4명의 아이들은 이 책속에 담겨진 4편의 동화 속 주인공들이다.
초등 저학년 아이들 즈음 되어보이는 주인공들은 우리 아이들의 모습을 잘 표현해 주었다. 나도 그 시절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때의 내가 어떤 생각을 가졌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내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게 되고, 그 시절의 내 모습도 잠시 상상해 본다.

아주 오래전에 <모래 요정 바람돌이>라는 만화 영화를 즐겨 보았다. 하루에 한가지씩의 소원을 들어주는 바람돌이는 아이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소원을 통해서 원하는 것을 체험해볼 수 있는 즐거움도 있지만, 그 상상이 이루어지면서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도 알게 되므로, 아이들은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알게 되곤 한다는 내용의 만화영화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그 만화영화를 떠올렸다. 
그랬다. 나도 그리고 우리 아이들도 소원이 있다. 지금의 곤란스러운 상황을 모면하고 싶은 마음에 간절하게 소원을 빈다.
시험 점수가 나쁘면 마법으로 백점의 시험지로 변했으면, 잔소리하는 엄마의 입에서 예쁜 이야기만 나왔으면, 어제 싸운 친구와 오늘은 화해를 했으면...등등 매일매일 새로운 소원을 말해본다.
이 책 속의 주인공들처럼 말이다. 그리고 어린 시절의 엄마 아빠처럼...

<단지와 보물> 속 단지는 특별한 보물을 찾아서 세상 사람들에게 주목받고 싶어하는 마음을 가졌지만, 결국 구멍 뚫은 동전을 주인에게 돌려주게 되면서, 보물은 자신에게 소중한 물건이 결국 보물이 된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상한 열쇠고리> 속 지영이는 체육복과 연필을 챙기는 일을 잊었다. 우연히 주운 열쇠고리를 통해서 위기를 모면하지만, 그 일로 인해서 뒤죽박죽 일이 꼬이게 된다. 결국 지영이는 모든 것이 제자리로 돌아왔으면 좋겠다는 소원을 빌게된다. 중요한 것은 소원을 이루는 마법이 아니라,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 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영이는 깨닫게 된 듯 싶다. 체육복과 연필을 가지러 집으로 돌아가는 지연이의 모습은 한뼘 더 성장해 있었으니까..

<호야 선장의 우주여행>은 친구와 다툰 호영이는 엄마의 우주 이야기를 통해서 친구와 화해해가는 과정을 담았다. 다른 친구와 놀던 병우가 미웠던 호영이는 병우의 마음을 이해하게 된다. 친구의 의미를 알아보는 좋은 계기가 될 법한 내용이다.

<똥글이 파랑 반지>는 우리집 아이들을 보는 듯 하다. 제멋대로인 동생 덕분에 꾸지람을 자주 듣는 누나의 입장이 하나를 통해서 잘 나타났다. ’누나잖아~’라는 말을 자주 하는 나도 하나의 엄마를 보면서 많은 반성을 하게 되었다. 누나의 마음속에 담겨진 ’화’가 똥글이 반지로 나타나 하나가 화가 날때마다 반지가 두리와 엄마를 혼내주게 된다. 그러면서 하나는 동생에 대한 소중함을 깨달아 간다. 

4편의 동화가 모두 내 아이를 보는 듯하여, 읽는내내 내 딸의 마음속을 들어갔다 나온 듯 했다. 내 딸의 마음 속에는 4명의 주인공의 마음과 닮은 꼴이 담겨져 있을 것이다. 그 마음을 제대로 이해해주지 못한 듯 하여 왠지 부끄럽다.
누구나 한 번쯤은 해 봤음직한 상상을 통해서 아이들의 마음을 한 뼘 더 자라게 해주고 있다. 
아이들은 4명의 주인공을 통해서 상상으로 끝냈던 일들을 체험하게 된다. 그러면서 어떤 것이 옳은가를 스스로 깨달아 갈 것이다.
’상상’에 대한 ’가상체험’ 이것이 바로 책이 주는 매력인 것이다. 



(사진출처: ’이상한 열쇠고리’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