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대장 존 비룡소의 그림동화 6
존 버닝햄 지음, 박상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좋아하는 작가 중의 한 명은 "존 버닝햄"은 짧은 글과 간결한 그림만으로도 많은 생각과 상상을 하게 하는 뛰어난 작가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 역시 요즘 출간되는 화려한 색상과 섬세한 그림과는 차별화 된 간결한 그림으로 한 편의 멋진 동화를 완성해 냈다. 이것이 "존 버닝햄"만의 매력일 것이다.

주인공 존 패트릭 노먼 맥헤너시는 오늘도 학교를 가기 위해서 집을 나섰다. 가는 길에 하수구에서 악어 한마리가 나와 책가방을 덥석 물어가는 일때문에 지각을 하게되었고 선생님은 그 말을 믿어주지 않았다.대신 존은 ’악어가 나온다는 거짓말을 하지 않겠습니다. 또 다시는 장갑을 잃어버리지 않겠습니다.’를 300번 써야하는 벌칙을 받아야만 했다.
책의 표지를 넘기면 이 말을 삐뚤빼뚤 쓴 페이지가 나온다. 처음 이 글을 무심코 넘겼었는데, 읽다보니존의 반성문이였다는 사실에 뒤늦게 피식~ 웃음을 터트렸다.

다음날도 존은 덤불에서 사자가 바지를 물어뜯는 사건으로 지각을 했고, 다리를 건너는 도중 커다란 파도가 밀려와 덮치는 일로 지각을 했지만, 선생님은 존의 이야기를 귀를 기울여주는 대신 펄쩍 뛰며 거짓말을 하지 않겠다는 반성문을 500번 쓰라 하셨다.

그리고 다음날,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아 무사히 학교를 도착한 존은 담임 선생님을 만난다.

"존 패트릭 노먼 맥헤네시, 난 지금 커다란 털복숭이 고릴라한테 붙들려 천장에 매달려 있다. 빨리 날 좀 내려다오.." 

이 책은 존의 이야기를 귀담아 들어주지 않는 권위적인 선생님을 통해서 아이들의 말에 귀담아 주지않는 부모, 어른들을 질책하고 있다. 그동안 나는 아이의 말을 있는 그대로 믿어주지 않은 채, 내가 가지고 있는 틀 안에 맞추어진 말만 믿고 있었던 듯 싶다.
나와 다른 말을 하는 아이들을 볼때, 내 주관적인 생각에 따라 아이들을 움직이게 했던 것을 아닐까?
나름대로의 생각과 규칙에 따라 말을 하고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른의 시각으로만 판단하려고 했던 것은 아니였을까?
아이들의 기발한 생각과 창조적인 아이디어들을 어느새 나는 나의 고정관념으로 무시했던 것은 아닐까?

많은 질문속에서 나는 부모라는 권위의식 속에서 내 아이를 나에게 맞추어 내 뜻대로 움직이려 했다는 반성을 하게 되었다. 재미있는 이야기로 어른들을 꾸짖고, 아이들에게 통쾌함을 전달한 존 버닝햄의 책이 왜 사랑받는 작가인지를 비로서 알게 되었다.
경청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짧은 글속에 완벽하게 담아 놓은 <지각대장 존>을 통해서 내 아이의 말에 귀기울이겠다는 반성을 가져본다. 오늘도 아이들의 그림책에서 삶의 원칙을 깨달아간다.


 

 

(사진출처: '지각대장 존'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