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기심 대장 헨리 2 - 헨리, 벼락부자가 되다 호기심 대장 헨리 2
프란체스카 사이먼 지음, 홍연미 옮김 / 그린북 / 200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만을 보고서는 아이들을 위한 경제관련 도서라고 생각했다. 아무래도 요즘 아이들을 위한 경제도서가 많이 나오기 때문이기도 하고, 제목이 그런 느낌을 강하게 전달하였다.
하지만, 나의 예상은 빗나갔고 그저 말썽꾸러기 헨리의 수많은 엄청난 말썽들에 관한 흥미위주의 내용을 담은 책일 뿐이였다.
그렇다고 실망스러운 책은 아니였지만, 어른들이 읽어보기엔 아이들에게 어떤 느낌을 전달하는 책이 아니여서인지 권하고 싶은 책은 아니였다는 생각이 든다. 적어도 어른들의 눈에서는...

허나, 아이들의 입장에서는 꽤 좋은 책일지도 모르겠다. 상상을 초월하는 헨리의 말썽이 아이들에게는 유쾌하고 즐거운 생각을 전달해주기 때문이다. 대리만족이라고 할까? 헨리의 어처구니 없는 장난을 통해서 제약이 많은 우리 아이들에게는 상상만으로도 즐거운 이야기로 전달 될 것이다.

엄마의 잔소리에 짐을 싸서 집을 나가는 모습 (결국 팬케이크 때문에 금새 돌아왔지만 말이다..), 모든지 잘하는 동생에 대한 복수심에 삶은 닮걀과 그냥 달걀을 바꿔치기 한다거나, 운동회에 일등을 하려고 경쟁자의 아이들을 사탕으로 현혹 시키는 모습, 혹은 돈이 없어서 아빠의 테니스 라켓과 엄마의 향수병을 팔아버리고, 마음에 들지 않는 동생을 팔아버리는 헨리의 모습은 어른의 눈으로는 황당하기 이를데 없지만, 아이들에게는 헨리의 말썽이 즐겁게 느껴질 것이다.

어쩌면 헨리의 행동은 어른들의 눈으로 보았기 때문에 말썽꾸러기로 낙인된 건지도 모른다. 아이들의 눈에는 헨리의 행동은 말썽이 아닌 필요한(?) 행동이였을 수도 있다.
모범생 동생과 자신을 비교하는 어른에 대한 불공평에 대한 표출이라던가, 학교의 단체활동인 운동회가 헨리에게는 꼭 유쾌하지 않은 일이였고, 어떤 종목에서도 일등을 해본 적 없는 헨리에게는 사탕으로 이용한 방법이 타당할 수도 있었다. 갖고 싶고 하고 싶은게 많은 아이들에게 ’돈’은 필요한 것이였고, 필요없는 것은 팔아도 된다는 엄마의 말을 철썩같이 믿고 자신에게 필요없는 동생을 판것은 정당화(?)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조금은 과장된 헨리의 행동이지만, <헨리, 벼락부자가 되다>는 어른들의 눈이 아닌 아이들의 눈으로 읽어야 제대로 평가할 수 있을 책을 아닌가 생각된다.

어른과 아이들의 시각차이를 보여주는 듯한 느낌을 전달하는 이 동화책 속의 헨리는 우리 아이들의 모습을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사진출처: ’헨리 벼락부자가 되다’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