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을 나온 암탉 (반양장) - 아동용 사계절 아동문고 40
황선미 지음, 김환영 그림 / 사계절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차인표 신애라 부부가 아들을 낳고 두 아이를 입양해서 키우는 소식은 뉴스를 통해서 여러번 접했었고, 그때마다 그 부부의 모습에서 빛이 나오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돈이 많다고 해서 그런 마음을 가질 수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들에겐 우리가 가지지 못한 또다른 모성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

한 마리의 닭과 그 옆을 따라오는 오리..책 표지의 그림을 보고 무슨 내용일까 참 궁금했었다.

책을 읽으면서 사람보다 더 나은 동물의 모성애를 보면서 지금 우리가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가를 꼭 찝어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록색 잎사귀가 늦은 가을까지 살다가 노랗게 물들고 조용히 졌다가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이름해 봄에 연한 초록색으로 다시 태어나고, 바람과 햇빛을 받아 자라다 떨어진 뒤에는 썩어서 거름이 되어 향기로운 꽃을 피워 내는 것을 보고 닭장속의 암탉은 잎사귀처럼 무언가를 하고 싶었다.

’잎사귀’라는 뜻을 가진 이름보다 더 좋은 이름은 없을거라 생각하고 스스로 "잎싹"이라는 이름을 지어 답답한 양계장에서 닭장 밖 마당을 부러워하던 암탉..

알을 낳으면 발끝으로조차 만져 볼 수 없이 바구니에 담겨 밖으로 나가는 것을 보고 암탉은 마당에서 병아리와 닭들이 줄지어 다니는 모습을 보고 알을 낳아 기르고 싶다는 소망을 품었다.

알을 품지 못하는 슬픔에 젖어 날로 야위어지고 알을 낳게되지 못하자, 양계장 주인은 잎싹을 폐계하였고 죽은 닭속에 잎싹은 묻혀있었다.

"달아나..서둘러!" 라는 청둥오리의 소리에 정신을 차리고 족제비를 피해 달아난 잎싹은 마당에서 살게되길 원했지만, 마당의 우두머리인 수탉은 잎싹을 내쫓고 만다.

자신을 도와준 청둥오리가 뽀얀 오리와 같이 있는 것을 보면서 외로웠지만, 알을 품어서 병아리의 탄생을 보겠다는 소망은 날로 키워갔다.

할수없이 마당을 나와 들판으로 가던 잎싹은 비명 소리에 달려가보았지만, 그곳에 있는 것은 하얀 알 하나였고, 잎싹은 열심히 알을 품었다.

어느 날, 알을 품은 자신의 주위를 맴돌던 청둥오리는 어두운 표정으로 매일 잎싹에게 물고기를 물어다 주었고, 산등성이에서 날개를 퍼덕이며 뛰어다녔다.

"잎싹아, 너는 사려 깊은 암탉이니까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 알 거야. 알이 깨면 여기를 떠나. 그리고 저수지로 가는거야. 마당으로 가지 말고. 달이 기울었듯이 족제비의 배도 비었다는 걸 잊지마.."

그리고 며칠 후, 청둥오리의 비명과 함께 족제비는 나그네를 물어갔다. 잎싹은 알게 되었다.

족제비 때문에 자신과 알을 위해 밤마다 깨어 날개를 퍼덕이며 뛰어다녔다는 것을...

알이 깨어낳고 잎싹은 아기를 데리고 마당으로 갔지만, 모두들 잎싹과 아기를 내쫓으려 했다. 닭이 오리를 낳았기때문에 닭으로서의 체통을 지키기 못했다고..집오리들은 오리새끼를 키우려고 했지만, 잎싹은 자신이 품은 알이 오리인 줄 몰랐던 것에 놀랐을 뿐 자신의 아기를 남에게 주고 싶지 않았다.

아기를 데리고 들판에서 키우면서, 잎싹은 아기를 지키기 위해 족제비에 대항하여 아기를 지켜냈다. 점점 말라가고 힘이 들어도 아기를 위해 있는 힘을 다한 잎싹은 청둥오리가 저수지로 가라는 말의 의미를 알게 되고, 아기를 아니, 초록머리를 청둥오리떼에 보낸다.

"엄마는 나랑 다르게 생겼지만, 그렇지만, 엄마 사랑해요." 아기 초록머리의 마지막 말..

그리고 잎싹은 족제비의 배고픈 아기를 위해서 기꺼이 목숨을 내 놓는다.

"자, 나를 잡아먹어라. 그래서 네 아기들 배를 채워라."

동화속에서는 어른들이 배워야할 이야기를 많이 담아내고 있다. 제 자식을 위해 희생하는 잎싹보다 못한 부모들이 얼마나 많은가?

철없는 행동으로 임신을 하고 그리고 가차없이 버리는 미혼모가 있고, 자신의 아기를 사랑해서 어린 나이에 그리고 주위 환경에도 불구하고 아이를 낳아 기르려는 미혼모가 있다.

그리고 그 미혼모에게 용기를 주지 못할 망정 손가락질 하는 우리네들은 오리를 낳았다고 내쫓는 마당의 수탉들과 다를 것이 머가 있을까?

이혼을 하면서 아이들의 책임까지 회피하고 보육시설에 떠넘기는 부모들이 있다. 자신과 다르지만 알을 품고 나은 오리를 위해서 무서운 족제비와 맞서 싸우는 잎싹 보다 못한 어른들이 있다.

혹시 내가 마당에 수탉같은 속물같은 인간은 아니였을까?

동화속에서 또 하나를 배우고 깨달아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