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선생님과 함께 읽는 세계 명작 1 생각이 자라는 나무 16
강혜원 외 지음 / 푸른숲주니어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세계 명작은 오래전부터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으며, 귀감과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그렇기에 초등학생을 위한 명작을 시작으로 해서 청소년, 성인 대상의 명작이 여전이 좋은 도서로 선정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더불어 명작은 중고등학생의 필수 도서로 명작을 통해서 인생에 대한 새로운 설계를 하는 기회가 주어지게 되기도 한다.
허나, 명작 중에는 다소 이해하기 힘든 작품도 존재하고 있고, 또한 그 작품이 주는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명작이 주는 깊이는 생각치 못한 채, 국어 시간에 필요한 내용을 외우기에 더 급급한 경우도 다반사 일 것이다.

고전 속에는 청소년들이 아직 알지 못하는 삶이 담겨 있으며, 그것은 마음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시기에 올바른 가치관을 세울 수 있는 좋은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명작을 이해하는 것은 상당히 난해하다. 그 시대의 역사적인 배경을 알아야 하고, 작가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어야 고전이 주는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생각이 자라는 나무> 는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의 올바른 성장을 돕는 시리즈로서, 그 중 <세계 명작 1>은 명작의 작품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도서이다.

이 책 속에는 10권의 명작 <오페라의 유령> <오만과 편견> <폭풍의 언덕><위대한 유산><제인 에어><올리버 트위스트><적과 흑><바스커빌가의 개><80일간의 세계 일주><우주 전쟁> 을 담았는데, 각 명작마다 짧게 소개된 줄거리와 저자, 명작이 주는 의미, 역사적인 배경이나 작품의 배경, 그 명작을 통해서 우리가 가지는 의미, 명작을 통한 다양한 정보와 지식 등 각 작품을 여러 각도에서 다양하고 다루어 주고 있다.

대부분의 책은 학창 시절 읽었거나, 요즘 딸 덕분에 다시 읽어보게 된 명작들도 있다.
청소년 시기에 읽었던 명작과는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오는 명작은 아마 어른이 된 후에 명작을 깊고 넓게 볼 줄 아는 능력(?)을 배웠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 책은 그 능력을 청소년들에게 전달해 주면서 세상을 바라보는 폭넓은 시야를 함께 선사한다.
이 책 속에서 명작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다시 작품을 읽게 된다면 읽는 내내 그동안 느끼지 못했던 또다른 즐거움을 분명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역사는 돌고 또 돌아간다고 한다. 오랜 고전 속에서는 지금의 우리 사회 모습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시대의 모순을 풍자한 고전 속에서 저자가 청소년들에게 작품의 의미를 이해시키고자 함은 그들에게 모순이 반복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 함께 담겨져 있는 것을 아닐까?

무관심과 편견으로 19세기의 에릭처럼 그들이 어둠 속에서 쓸쓸한 죽음을 맞게 해야 하는지 깊게 고민해 봐야 한다. 에릭은 이제 오페라 극장의 지하가 아니라 무대 위로 당당하게 올라와야 한다. 사회적 소수자, 힘없는 사람, 가난한 사람들에게 씌운 가면을 벗겨 주어야 할 책임은 바로 우리에게 있다. 35p

물론 명작이 지금의 모습과 상반되는 경우도 있고, 억지스런 장치로 줄거리를 엮어가는 부분도 있다. 예를 들어 <제인에어> 속에서 로제스터를 장님으로 만든 이유나 외삼촌의 유산을 받도록 하는 설정은 주인공 제인이 가지는 여성상과는 상반되어 있지만, 이 책속에서는 그 억지 설정을 다른 각도로 바라보는 안목을 넓혀주기도 한다.

여성이 가질 수 있는 직업이라고 해 봐야 공장에서 단순 노동을 하거나 가정교서나 간호사 같은 몇 가지에 한정되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지금과 같은 모습의 여성상을 그려 내기만 쉽지 않은 일이었을 것이다. 여성으로 자신의 존재를 주장하며, 한 인간으로서 자유롭고 독립적인 삶을 살고자 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만도 대단힌 진보적인 발걸음이었다. 147p

나는 무엇보다 이 책속에서 작품을 이해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을 통해서 요즘 우리 사회를 되돌아 보는 시각이 마음에 든다.
그 부분을 통해서 청소년들이 반복되는 악 순환을 되풀이 하지 않기를 바라며, 좀더 나은 삶을 살아가기를 바란다. 또한 그들이 만들어가는 미래 또한 밝기를.... 소원해본다.

샬럿 브론테는 자신의 내면을 충실히 들여다보고 정체성을 찾으려고 노력할 때, 어떤 상황이 닥쳐도 당당할 수 있다고 말한다. 나 자신에게 당당할 때 다른 이의 차별적인 시선에도 용감하게 맞설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제인 에어의 모습처럼. 148p

아직도 우리 사회는 쥘리엥이 그토록 바랐던 세상, 계급이나 출신 성분이 아니라 개개인의 재능과 가치에 따라 공정하게 기회가 주어지고, 대접과 인정을 받는 세상과는 거리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적과흑>이 여전히 현실적인 의미를 갖는 동시에 우리에게 많은 감동을 주는 게 아닐까? 205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