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온의 숨어 있는 방 창비아동문고 228
황선미 지음, 김윤주 그림 / 창비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샘마을 몽당깨비><마당을 나온 암탉><나쁜 어린이표> 등으로 황선미 작가는 내가 좋아하는 어린이 작가 중의 한명이 되었다.
’황선미의 신작 판타지 동화’라는 소개문구가, 그리고 단지 황선미 작가의 책이라는 것만으로 이 책을 읽고 싶게 하는 동기는 충분했다.

내딸과 같은 초등5학년인 주인공 나온. 천식 때문에 엄마의 지나친 간섭을 받는 나온은 피아노와 바이올린보다는 자전거 타기와 같은 운동을 더 좋아한다. 
엄마가 자신을 걱정해서 그런다는 것을 잘 아는 나온이지만, 그런 간섭이 싫고 못마땅하다.
처음으로 좋아하는 남자친구 강우에게 자전거를 배웠지만, 왠지 모르게 강우는 자신에게 쌀쌀맞기만 하다.

요즘들어 나온은 악몽을 자주 꾼다. 꿈속에서 남자인지, 여자인지 모를 아이와 만나게 되고, 구덩이에 빠지는 등의 가위에 눌리는 나온은 아빠가 사준 일기장 ’나의 왼손’에 꿈을 기록하곤 한다.
어린 시절 살았던 ’넝쿨집’으로 인해 작은 소동이 벌어지고, 나온은 아빠와 함께 가게 된 넝쿨집에서 꿈같은 일들을 경험하게 된다.
꿈속에서 보았던 아이를 만나게 되고, 나온은 혼란을 겪으며 점점 몸이 악화되곤 한다.

집을 팔겠다는 엄마와 넝쿨집에서 살고 싶다는 아빠의 대립 속에서 나온은 알 수 없는 엄마, 아빠의 이야기를 통해서 이상한 점을 발견하게 되고,  꿈속에 나타나는 아이를 통해서 넝쿨집에 대한 애뜻함을 가지게 된다.

나는 두 아이의 생일날 수수팥떡으로 해서, 아이들이 자는 머리맡에 놓아준다. 삼신할머니에게 아이들을 잘 돌봐달라는 의미로 올리는 거라며, 꼭 해야한다는 시어머니의 말씀을 거역할 수 없어서 시작했던 일이였지만, 몇 해가 지나자 스스로 그 일을 챙겨서 하게 된다.
아픈 나온을 지켜주던 삼신할미의 모습이 나온 부분을 읽고 있자니, 왠지 어디선가 삼시할머니가 우리 아이들을 지켜보고, 보살펴 주고 있는 것은 아닐까 싶어, 마음이 편안해짐을 느낀다.

이 책속에는 삼시할미와 라온, 꿈, 넝쿨집에서의 라온과의 만남, 토끼 오른눈이 등 다양한 소재로 판타지의 이야기를 이끌어 간다. 그리고 그 속에는 ’가족’’사랑’이라는 잔잔함을 깔아놓고 있다.
엄마아빠의 이혼으로 집을 나간 부모님 대신 할머니와 살아가는 강우는 엄마가 다시 돌아오기를 바라는 마음에 현관의 전등이 꺼지지 않도록 전구를 깔아끼운다. 엄마가 전에 살던 집으로 올까 싶어서 며칠 동안 기다리는 강우의 모습을 통해서 가족의 소중함과 그리움 그리고 사랑을 전한다.

나온과 라온의 이야기 속에서도 ’가족’’사랑’’아픔’’상처’ 등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꿈과 알수없는 세계에서의 경험은 나온에게 엄마를 이해하게 되고, 엄마의 상처를 어루만 질 줄 아는 마음을 갖게 된다.
강우와 나온은 서로 다른 환경에 있지만, 가족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은 같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는 아닐까 싶다.

늘 잔잔한 감동을 선사하는 황선미 작가는 이 책속에서는 판타지라는 소재를 통해서 ’가족의 의미’를 감동과 함께 전하고 있다. 황선미 작가의 조금은 색다른 느낌의 동화책이라는 느낌을 가져본다. 그 느낌이 새롭기도 하지만, 조금은 아쉬움이 남겨지기도 한 것은 이전의 동화에서 느꼈던 황선미 작가만의 느낌이 조금은 배제된 느낌이라서 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