쏙 사이언스 - 지구과학ㆍ생물 - 교과서 쏙 과학 상식
초등과학지기 글, 박기종,유태랑 그림 / 좋은책어린이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초등학교 선생님이 직접 뽑은 호기심 과학책!>

서울시 각 교육청 ’과학 영재 교실’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만들었다는 이야기만으로도 참 마음에 드는 책이다. 
아이들이 말을 할 줄 알고, 호기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수많은 질문을 해온다. 그 질문들을 가만히 들어보면 모두 과학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렇게 어린시절부터 우리 주위 사물에 대한 호기심과 질문을 통해서 과학과 친숙한 아이들이 왜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학년이 높아질수록 과학에 대한 어려움을 갖게 되는 걸까?

생소한 과학용어와 원리들 때문은 아닌가 싶다. 과학에 대한 호기심과 많은 질문을 하던 아이들은 과학이 주는 즐거움보다는 과학에 대한 어려움을 더 많이 호소하게 된다.
그러다보니, 엄마 입장에서 과학을 좀더 쉽고 재미있게 담은 책이 무엇일까?에 많은 관심을 갖지 않을 수가 없다.
과학학습만화를 구입해보기도 하고, 베스트셀러에 있는 과학도서를 접해 보기도 하면서, 과학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해본다.

여러 책을 접하다보면, 너무 재미위주의 내용에만 치중하거나, 너무 지식함양에만 치중되어 있는 책들이 눈에 띈다.
무엇보다 과학이라는 과목이 어렵다는 고정관념을 깨치고, 과학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책이 절실하기만 하다.
’과학 영재 교실’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직접 만들었다는 소개 문구를 보면서 이 책에 대한 흥미를 느끼게 되었고, 책을 보면서 과학이 학습이 아닌, 우리 곁에 가까이 있는 친밀한 존재라는 것을 알려주려는 선생님들의 노력이 보였다.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보고, 듣고, 접할 수 있는 과학 원리들을 교과서와 연결 지어 보고, 재미있는 만화와 읽을거리를 통해 과학을 딱딱하지 않게 만날 수 있도록 하려고 애썼어요."
(출처: ’쏙 사이언스’ 머리말에서 발췌)

지구과학, 생물 두 분야를 다룬 이 책에서는 초등3학년부터 6학년까지 교과서와 연관지어, 아이들이 늘 해온 던 질문들을 토대로 하여 과학을 다루고 있다.

질문에 대한 답을 쉽게 설명하듯 풀어 놓고, 그 질문과 연관된 교과 단원을 <교과서 속으로>를 통해서 교과 내용을 설명해주고 있으며, 만화의 잇점을 살려 아이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만화로 다시 한번 짚어주고 있다.
또한 <교과 관련 읽기 자료>를 통해서 내용과 연관된 그 밖의 지식을 다루어 줌으로 해서 지식을 넓혀주는 기반을 다져준다.

질문마다 해당 학년과 단원을 기재해 주었기 때문에, 교과 숙제에 활용할 수도 있으며, 미처 이해하지 못한 부분은 이 책을 통해서 다시한번 짚어보는 보충교재로 활용이 가능하다.

 

날씨에 따라 머리카락 길이가 달라진다? 공기의 무게는 얼마나 될까? 토성이 물에 뜬다? 하루살이는 정말 하루만 살까? 소의 방귀가 지구를 뜨겁게 한다? 사람의 눈은 왜 두 개일까? 머리가 크면 더 똑똑할까? 등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재미있는 질문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어, 아이들을 책 앞으로 앉힐 수 있을 듯 보인다.

앞서 머리말에서 김기명 선생님이 이야기한 것처럼, 과학은 우리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것들을 다루는 과목이다. 어렵다는 생각보다는 내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의 현상을 알아가는, 오히려 궁금증을 풀어낼 수 있는 즐거운 과목이 될 수 있는 분야이다.
과학 시험을 볼라치면, ’나는 과학이 싫은데...’ 라는 말을 먼저하는 딸아이가 ’와...그래서 그렇구나’ 라는 말을 통해서 과학이 주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

딱딱하거나 무겁게 다루지 않고, 재미있는 질문을 통해서 과학을 ’가볍게’ 접근할 수 있어 마음에 드는 과학 도서다. 
제목에 담겨진 ’쏙" 이라는 단어처럼 흥미롭게 담겨진 내용들이 아이들 머리속에 "쏙쏙" 기억될 수 있을 것 같다. 
책꽂이에 꽂혀진 많은 책들 중 이 책을 "쏙" 뽑아내어, 과학이 주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

(사진출처: '쏙 사이언스'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