삽살개 이야기 눈높이 책꽂이 1
고수산나 지음, 정현주 그림 / 대교출판 / 200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의 눈에 맺힌 눈물과 삽살개 입을 틀어막은 소년의 모습은 슬픔과 함께 강인함이 느껴진다. 처음엔 소년과 삽살개의 우정을 담은 내용일거라 생각하고 편안한 마음으로 책을 접했지만, 짧은 글속에 슬픔, 아픔, 전쟁, 역사 등 수많은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요즘 재기되는 독도에 대한 이야기를 떠올리게 했다.

독도에는 독도 경비병들과 함께 삽살개가 살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 전통개인 삽살개는 독도가 우리 나라 땅임을 일본을 향해 짖으며 알려 주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전통개..하면 진돗개를 먼저 떠올리곤 하지만, 덩치가 크고 털이 더부룩하며 눈을 가릴 정도로 털이 많은 삽살개 역시 우리나라의 전통개이다. ’귀신 쫓는 개’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삽살개는 용감하면서도 주인에게는 한없이 순하고 충성스런 개라고 한다.

우리나라 전통개인 삽살개가 멸종이 될 뻔한 이유는 일제 시대때 일본인이 조선의 개도 일본의 개가 되어야 한다는 이유로 일본 개 ’아키다’와 비슷한 진돗개는 남겨두고 옛날 조상 때부터 길러 온 삽살개는 다 죽였다고 한다.

이 책은 일제 시대를 배경으로 삽살개를 동생처럼 아꼈던 석이와 삽살개 복슬이 이야기를 담았다.



우리 땅을 일본인들이 마음대로 뺏어가고 농사를 지어도 일본인이 다 빼앗아 늘 먹을 게 없었던 시절.

"그 땅은 원래 우리 당이었어요. 당신들 마음대로 우리 땅을 빼앗아가고 이제는 농사도 짓지 못하게 하다니...그 땅은 우리 할아버지 때부터 농사를 지어 온 땅이란 말이에요."

"이런 건방진 자식! 일본 제국 땅이지 어째서 너희 집안 땅이냐!" 20p

땅도 그리고 이름도 글도 말도 다 뺏어갔던 그 시절.

"우리 중에서 조선 이름을 가진 건 복슬이 뿐이구나. 석아! 우리가 지금은 말도 이름도 다 빼앗기며 살고 있지만, 다시 찾는 날이 있을 거야."

"형! 그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어. 우리 땅도 다시 찾고 내 이름도 다시 찾을 수 있게 말이야." 24p

하지만 석이는 땅과 이름과 말 이외에도 형까지 빼앗겼다. 그리고 석이에게 남은 건 복슬이 뿐이였다.



석이는 이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오면 우리 나라도 해방이 될 거라고 믿고 있었어. 그러면 보고 싶은 형이 돌아올 테니까. 날마다 ’겨울아! 빨리 지나가라. 어서 해방이 되어라." 하고 주문을 외우듯 중얼거렸지. 35p

일본 사람들은 삽살개가 우리 민족의 정서를 잘 간직한 우리의 토종개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던 게지. 그래서 우리 민족의 혼을 없애 버리려고 작정을 하다 보니 삽살개까지 다 죽여버려야 한다는 것이었어. 37p

석이는 동생처럼 아끼는 복슬이가 죽일 수 없다고 생각하고 칡뿌리 캐러 다닐 때 봐 둔 조그마한 동굴에 복슬이를 숨겨놓았다. 나무 밑동에 묶어두고 혹시 짖을가 염려하여 입을 무명 천으로 묶어 놓았다.

하지만 끝내 복슬이를 죽이려는 일본 군인들에게 발각이 되고 석이는 복슬이가 짖지 않도록 입을 막았지만 들키고 말았다.



화가 난 빡빡 머리 군인이 석이에게 다시 총을 쏘려 했지, 하지만 이번에는 복슬이가 빡빡 머리 군인에게 달려들었어. 복슬이와 빡빡 머리 군인은 한 무더기가 되어 뒹굴었어. 복슬이는 군인의 팔을 문 채 떨어지지 않았어. "탕!" 50p



그 후 해방이 되어 형은 한 쪽 다리를 잃은 채 돌아왔고, 죽은 복슬이가 안타까워 석이는 수의사가 되었다.

이 할아비는 말이야. 아직도 삽살개를 보면 가슴이 뛴단다. 꼬마 석이처럼 말이야. 61p

나라를 빼앗겼던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아픔과 슬픔, 고통이 석이와 복슬이를 통해서 전해지는 듯 하다. 가까운 나라 일본이라는 표현으로 왕래도 잦아지고 서로 문화교류를 하면서 친하게 지내고는 하지만 아직 우리는 일본과 풀지 못한 숙제가 남아 있다.

’종군위안부’ ’독도’ 등 우리는 잊지 말아야하는 부분과 풀어야 할 숙제도 남아있건만, 간혹 잊고 사는 것은 아닐까 하는 안타까움도 있었다. 하지만 얼마전 독도 문제로 촛불 시위를 하는 국민들을 보면서 가슴 벅찬 감동을 느꼈다.

요즘 아이들에게 일본을 무조건 배척하라는 식으로 역사의 고통을 강요하고 싶지는 않지만, 역사를 바로 알아야 하며, 또 잘 못된 역사를 바로 잡아야하는 것은 꼭 필요하다.

표지속에 담겨진 석이의 눈속에서 해방을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 전해진다.
 

(사진출처:'삽살개 이야기'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