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가 남긴 한 마디 - 아지즈 네신의 삐뚜름한 세상 이야기 마음이 자라는 나무 19
아지즈 네신 지음, 이난아 옮김, 이종균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고도 찔리지 않는 자, 마음껏 세상을 비웃어라!
위선으로 가득 찬 자는 절대로 읽지 마라. 심장이 터질 수도 있다.
  (책 표지)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없는 사람은 과연 몇 명이나 될까? 사람들은 ’남보다 더..’ 잘 나고 싶어하는 욕심과 탐욕으로 나를 속이기도 하고 또 남을 속이기도 한다.
나 역시 나의 잘못은 흙으로 덮어버리고 꽁꽁 숨기려고 하면서까지 원하는 것을 갖고 싶어하곤 한다.
물론 그 결과는 늘 나쁘게 다가온다. 그것을 알면서도 사람들은 그 과오를 자꾸 반복하고, 그 과오는 세대로 세대로 이어지면서 계속 악순환을 반복한다.

저자 아지즈 네신은 동물과 파티샤를 통해서 사람들이 반복하고 있는 과오에 대해서 풍자하고 있다. 어떤 글은 비수를 꽂듯이 내 마음을 아프게 하고, 어떤 글은 권력을 쥐로 있는 이들을 비웃어주어 통쾌하고 속 시원한 느낌을 준다.

단편들 속에 담겨있는 깊은 속 뜻은 나와 주위를 돌아보게 하는 마법과도 같은 힘을 가지고 있다.

힘이 있다면 많은 사람들을 위해 좋은 일을 하고 싶었던 남자는 어느날 한 마음에서 파디샤로 뽑히게 된다.
그 마을은 까마귀가 머리에 똥을 싸주는 사람을 파디샤로 선출을 하는데, 마을 사람들은 까악까악 울어대는 까마귀를 향해서 자신을 선출해 달라고 울며불며 난리를 친다.
그렇게 선출된 남자는 자신을 파디샤로 뽑아준 까마귀에게만 좋은 일을 한다. 까마귀를 배불리 먹여주고 까마귀에게 집을 내어주게 하고, 결국 사람들의 불평을 날로 높아졌고, 배불리 먹인 까마귀는 칠면조만큼 켜져만 갔다.
또 다시 선거철이 되었고, 까마귀들은 자신에게 잘 해준 그 남자의 머리위에 똥을 쌌다.
하지만....그 남자는 거대한 똥 더미에 깔려 숨이 막혀 죽어버리고 말았다.

사람들은 모두 환호성을 지르며 기뻐했다. 그러나 기쁨에 들뜬 것도 잠시, 사람들은 다시 소리치기 시작했다.
"까마귀 형제여, 나를 파디샤로 선출해 줘. 까마귀 형제여, 제발 나를 파디샤로 선출해 줘."
17p

권력과 돈이 있어야만 좋은 일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좋은 일은 권력과 돈이 아닌 마음이 필요하다.
이 이야기는 권력을 쥔 자의 잘못된 정치활동으로 인한 비참한 결말을 풍자하였고, 권력을 탐하는 사람들의 무서움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삐뚜름한 모델> 을 읽으면서 나는 지금 아이들에게 어떤 모습의 모델로 비추어지고 있는가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하게 했다.
개미부부는 새끼 개미들에게 말한다.

"우리를 모델로 삼아라. 우리가 무엇을 하든지 그대로 믿고 따르려무나."

새끼 개미들은 부모 개미를 그대로 따라 여름이면 부지런히 먹이를 모아 땅 밑에 쌓아 놓았고 겨울엔 겨울잠을 쿨쿨 잤고 때가 되면 알을 낳았다.

"얘들아, 나는 이제 죽는단다. 너희가 아주 자랑스럽구나. 너희는 모두 개미가 되었다. 너희 중 어느 누구도 개미의 본성에서 벗어나지 않았어. 나는 내 본분을 다해 너희를 가르쳤다. 신께서도 너희를 만족스러워하실 것이다." 100p

물고기, 오리, 개, 소, 물소, 멸치, 돌고래, 낙타, 코끼리, 뱀, 양 등....모두 부모를 제대로 따라 했고, 그들의 부모는 숨을 거둘 때 자식들을 모두 자랑스러워했다.

아빠와 엄마가 아이들에게 말한다.

"얘들아, 인간다운 인간이 되기 위해 노력하거라. 절대로 인간의 본성에서 벗어나지 말아라."
’어떻게 하면 인간다운 인간이 되는 거예요? 그 비결을 저희에게 알려 주세요!"
"그건 아주 쉽단다. 우리를 모델로 삼아라. 엄마 아빠만 본받는다면 자연스럽게 되는 거란다."

세월이 흐른 뒤...
"안타깝구나! 너희는 우리가 원하는 대로 자라 주지 않았다. 너희 중 어느 누구도 온전한 인간이 되지 못했구나. 됨됨이 역시 형편없어. 이제 곧 우리는 죽는다. 지금까지 기울인 우리의 노력이 모두 헛되었구나. 신이 너희를 용서하지 않으실 것이다."

"왜 우리에게 그렇게 말씀하시는 거예요? 우리가 무엇을 잘못했나요? 우리는 엄마 아빠를 모델로 삼은 채 살아왔어요. 엄아 아빠가 무엇을 하시든지 그냥 그대로 따라 했을 뿐이라고요!"
106p

어른들은 아이들을 질책하고 꾸중한다. 더 잘나고 더 잘하고 더 뛰어나라고...
내 아이를 보면 마음에 안 드는 점이 눈에 띈다. 하지만 가만 보면 그 모습이 나를 닮아 있다.
누구를 탓하랴...내가 아이들에게 그런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말이다.
아이들은 부모를 보면서 자란다. 부모의 행동과 말투를 보면서.....
아이들의 모습을 탓하기 전에 지금 나의 모습이 아이들의 눈에 어떻게 비추어지고 있는지를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양치기의 학대를 참다 못해 도망다니던 아기 양이 늑대로 변해버린 이야기 <늑대가 된 아기 양>은 요즘 사회의 모습을 꼬집었다.
가끔 뉴스를 보면 학대를 받으면 살아오다 참다 못해 자신을 학대한 사람을 살인한 이야기를 접하곤 한다.
학대를 받던 사람은 아기 양처럼 제발 봐달라고 애원했을 것이고, 학대한 사람은 양치기가 양의 말을 듣지 못하는 것처럼 그들의 애원을 무시했을 것이다.

"옛날에는 아기 양이었지. 지금은 아냐. 너 때문에 늑대가 되었어!"
"넌 사랑스럽고, 귀엽고, 온순하고, 앙증맞은 나의 아기 양이야."
"이젠 너무 늦었어, 양치기"

양치기는 도망치려고 발버둥을 쳤다. 하지만 늑대가 되어 버린 아기 양의 갈고리 발톱에서 벗어날 수는 없었다. 날카로운 이빨이 양치기의 목을 물었다.
120p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는 말이 있다. 자신의 욕심과 주체할 수 없는 이기심과 절제하지 못하는 욕구가 선한 사람을 늑대로 만들 수 있다.

욕심,탐욕,권력 등으로 사회는 점점 이기적으로 변해간다. 그 이기심의 비침한 결과는 결국 나에게 돌아오게 되어있다. <당신을 선출한 죄>에서 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