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벨라 그리고 로사 그리고... 십대를 위한 눈높이 문학 9
벌리 도허티 지음, 고수미 옮김 / 대교출판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얼마전 TV에서 차인표 신애라 부부가 둘째 딸을 안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입양’ 하여 키우고 있는 둘째 아이는 엄마 품에 안겨 있었고, 신애라는 그런 아이의 모습을 사랑스러운 눈빛으로 바라보았고, 차인표는 엄마만 찾는 딸에게 서운함을 느낀다고 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입양’이라는 어색한 문화에서 이들은 용기와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두 아이를 입양하였고 새로운 가족이라는 울타리를 만들어 행복한 삶을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입양’ ’가족’  ’가난’ ’에이즈’라는 여러가지 문제를 두 소녀를 통해서 감동적으로 표현했고, 슬픔에 대한 표현을 절제하는 듯한 글 속에서 오히려 슬픔을 느끼게 하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아프리카’라는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는 두 아이지만, 그들은 서로 다른 문화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9살의 아벨라는 탄자니아에서 가난과 에이즈의 고통속에서 살아가고 있고, 
13살 로사는 영국에서 엄마와 행복함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었다.

아벨라의 바바는 에이즈로 일찍 돌아가셨고, 마마와 동생 니요타는 에이즈로 힘겨운 싸움을 벌이다가 끝내 세상을 떠났다.
"우리 아벨라, 강해야 한다."
영국으로 떠났던 외삼촌은 추방당해 영국인 여자친구와 돌아왔고, 영국으로 다시 돌아가기 위해서 아벨라는 영국으로 밀입국 시킨다.

로사는 아프리카 출신의 아빠와 영국인 엄마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빠는 영국 문화에 적응하기 힘들어 고향으로 돌아갔고, 로사는 그렇게 엄마와 단둘이 살았다.
할머니와 할아버지의 사랑과 엄마의 사랑을 독차지하며, 엄마와 함께하는 스케이트를 유난히 좋아하던 로사는 어느날 엄마가 입양을 하고 싶다는 이야기에 슬퍼진다.

"이 일에 대해 계속 말하지는 않으마. 하지만 너도 옮은 일을 하고 있다고 확신하니? 나는 로사가 버려졌다고 느끼는 게 싫다."
엄마의 대답은 듣지 못했지만 할머니가 정확하게 맞았다. 나는 정말로 그렇게 느끼고 있었다.
버려졌다고.
73p

아벨라와 로사의 이야기를 번갈아 가면서 전개시키면서 그들의 이야기가 드라마처럼 움직인다.

아벨라는 밀입국으로 영국으로 와 어려운 일을 겪으면서도 엄마의 바램처럼 강해지려고 노력하고, 의사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가 아픈 사람들을 치료해주겠다는 희망을 갖으면 온갖 아픔을 견디어 낸다.

로사는 입양에 찬성을 하였지만, 탄자니아에서 태어난 앤서니가 입양절차를 위해서 집에 방문하며 가족들의 사랑을 받는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나는 네가 귀여운 척하면서 바보같이 실실 웃는 게 정말 싫어.

하지만, 앤서니가 자신의 아픔을 진심으로 걱정하며 우는 모습을 보고 앤서니를 받아들이지만, 앤서니 아빠가 잘못을 뉘우치고 앤서니를 찾으로 오면서 앤서니와의 가족 만들기는 실패로 끝난다.

앤서니가 낚시대를 떨어뜨리고 남자에게 달려갔고, 남자는 허리를 굽혀 앤서니를 번쩍 들어 올렸다. 두 사람은 다시는 떨어지지 않을 듯 꽉 끌어안았다.
"아빠, 아빠." 앤서니는 자꾸만 되풀이해서 말했다.
"아빠, 우리 아빠."
남자는 눈을 꼭 감고 있었다. 얼굴은 눈물로 젖어 있었다.
247p

’가족’이 무엇인가를 다시한번 생각하게 하는 부분이였다. 가족은 함께할때가 가장 행복하다는...

아벨라는 영국 사회복지사를 통해서 입양 절차를 밟게 되었고, 로사의 엄마는 로사에게 필요한 아프리카 출신의 여동생을 입양하는 절차를 다시 밟았다.

그렇게 해서 아벨라는 내 여동생이 되었다. 나한테나 엄마한테나 아벨라한테나 아직도 쉽지는 않다. (중략) 우리는 가끔 싸우기도 한다. 나는 아벨라 머리를 쥐어뜯고 아벨라는 나를 할퀸다.
(중략)이제 아벨라 없이는 못 살 것 같다. 세상 무엇과도 바꿀 수 없다. 
나는 아벨라를 사랑한다. 정말로 좋아한다. 그리고 아벨라도 우리를 사랑한다. 아벨라는 내 동생이고, 우리는 언제나 한 가족이다. 아벨라는 우리 식구다.
325p

아무도 없는 영국에서 결코 절망하지 않으며 의사가 되겠다는 희망 속에서 꿋꿋이 살아가는 아벨라의 모습을 통해서 희망이 주는 커다란 선물을 보았다.
또한 로사를 통해서 새로운 가족을 받아들여야 하는 로사의 슬픔을 잘 느낄 수 있었다.
아벨라와 로사는 그렇게 가족의 소중함을, 희망이라는 선물을 느끼게 하는 작은 천사였다.

지금도 아프리카 곳곳에서는 가난과 아픔으로 고통받는 아이들이 있다. ’100원의 행복’이라는 저금통을 학교에서 받아들고 온 딸의 저금통에는 100원짜리 동전이 수북히 쌓여가고 있다.
우리의 작은 동전 하나하나가 그들에게는 희망과 꿈을 선물할 수 있다.
에이즈를 갖고 태어난 아기들과 에이즈로 부모를 잃은 아이들.....그들의 안타까운 눈망울 속에 희망을 선물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