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푸른숲 징검다리 클래식 24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박형규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한번쯤은 ’사람은 무엇때문에 사는 걸까?’ 라는 질문을 해 봤을 것이다. 과연 사람은 무엇으로 살아가고 있는 것일까?
쉽게 질문하지만 대답은 참 어렵다는 생각을 해 본다.
주위의 아이들 가진 나와 같은 처지의 엄마들은 ’애들 때문에...’ 라는 말을 하곤 한다.
돈을 쫓아서, 권력을 손에 쥐기 위해서, 명예를 얻기 위해서, 그리고 내 아이들이 행복하게 잘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 등 모두 제각각의 목표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

책을 읽기에 앞서 나 역시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 보았지만, 쉽게 대답을 찾기는 어려웠다. 나의 의지와 상관없이 태어났지만 이 세상에 태어났으니 살아가는 동안 후회없는 삶을 살아보고 싶다. 
인생의 반을 살아왔지만 그 방법은 아직 찾지 못했지만, 이 책속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을거라 생각된다. 

학창 시절 읽었을 때는 어떤 의미를 두고 있지 않았던 거 같다. 유명한 작가의 책이고 읽어야 한다는 의무감에 의해 읽어서인지 톨스토이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의미를 느끼지 못했던 듯 싶다.
이 책속에는 8편의 단편이 담겨져 있다. 각각 다른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사람이 살아가는 의미와 가치 등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가져야할 마음자세가 밑바탕에 깔려있다.
톨스토이는 종교적인 영향을 많이 받은 듯 보인다.
천사와 악마가 공존하는 작품속에는 톨스토이가 신아을 통한 사랑의 실천을 가장 중요시 했다는 그의 믿음이 그대로 드러난다.
또한 그 믿음속 가장 중요한 ’사랑’은 톨스토이의 마음을 엿볼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한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에서는 하나님의 뜻을 거역한 천사 미하일이 인간 세상에서 살아가는 동안 ’사람의 마음속에는 무엇이 있는지, 사람에게 주어져 있는 않은 것은 무엇인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지’를 깨달아간다.


’사람의 마음속에 무엇이  알게 되리라.’ 고 하신 하느님의 첫 번째 말씀을 생각해 냈습니다. 사람의 마음속에 들어 있는 것은 사랑이었습니다.

’사람에게 주어져 있지 않은 것이 무엇인지’알아내라고 하신 하나남의 두 번째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자기 몸에 무엇이 필요한지를 아는 힘이 주어져 있지 않았습니다.

"나는 깨달았다. 사람은 스스로를 살피고 염려하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사랑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

이제야말로 정말 깨달았다. 사람들이 자신에 대하여 걱정함으로써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은, 다만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 것일 뿐, 사람은 오로지 사랑에 의해서만 살아가는 것이다. 사랑 속에 사는 사람은 하느님 안에 살고 있고, 그 안에 하느님이 살고 있다. 하느님은 사랑이시므로."
 
페이지 : 49,50,51,52  


우리는 같은 공간에 많은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가고 있다. 그 사람들 중에는 악한 사람과 선한 사람이 공존하고, 이기주의와 이타주의가 공존하기에 사랑과 질투와 배척 등으로 살아가고 있다.
이렇듯 인간의 공존되는 두가지의 모습을 톨스토이는 책속에서 보여주어 우리들에게 그 삶의 진실을 찾아가길 바라는 듯 보인다.

서로 다른 성격을 지닌 주인공 <두 노인>을 통해서 보여주는 긍정적인 생각이 가지는 행복함을 보여주고, <두 형제와 황금>에서는 황금에 대한 서로 다른 모습을 보였던 두 형제의 모습을 통해서 신과 사람을 위한 진심은 황금이 아니라 오로지 노동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일깨운다.

<사람에게 많은 땅이 필요한가>는 인간의 과욕이 불러오는 결말이 보여준다. 톨스토이는 물질 만능 주의에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끝없는 욕심이 가져오는 현대인의 고통을 여과없이 보여주는 듯 하다.
그와 반대로 미하일에게 자신의 하나밖에 없는 외투를 건네주었던 세묜은 사랑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진실되게 표현한 듯 싶다.

사랑하는 자녀들이여, 우리는 말로나 혀끝으로 사랑하지 말고 행동으로 진실하게 사랑합시다. -요한의 첫째편지, 제3장 18절-

 

(사진출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