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년 1반 34번 - 종잡을 수 없는 사춘기 아이들의 마음을 잡아주는 이야기
언줘 지음, 김하나 옮김 / 명진출판사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토끼를 잡으려면 귀를 잡고,
                                                    닭을 잡으려면 날개를 납고,
                                                    사춘기 아이들을 잡으려면
                                                    그 마음을 잡아줘야 한다.
                       -책 표지 중-




생각해보면 시작부터 많이 힘들었던 것 같다.

굳게 닫힌 교문앞에 서 있는 아이의 모습이 담긴 삽화로 첫 장이 시작됩니다. 책을 읽다보니 교문이 굳게 닫혀진 학교는 어른의 세상처럼 답답하게 보입니다. 혼자 외톨이처럼 그 세상을 쳐다보는 아이는 우리 사춘기 아이들의 모습인 듯 보입니다.
책을 읽는 내내 마음이 아프다는 생각을 줄곧 했습니다.
사춘기의 아이들이 모두 1학년 1반 34번 같고, 나 역시 34번인 때가 있었습니다.
그 시절의 34번의 아이들 마음을 너무도 섬세하게 담아 놓았습니다.

주절주절 어렵게 적어 놓은 구절도 없습니다. 시처럼 짧은 글과 페이지마다 담겨진 예쁘게만 보이는 삽화가 전부임에도 불구하고, 책 속에는 사춘기 아이들이 담겨져 있습니다.
나의 사춘기시절 모습도...

초등5학년이 된 딸은 빨리 어른이 되고 싶다고 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마음대로 할 수 있으니까....
저는 말합니다. ’그때가 좋을때야....엄마가 어른이 되서 생각해보니까 학교 다닐때가 가장 좋은 때인거 같아. 그리고 공부가 제일 쉬운 일인 거 같아...’ 라고.
생각해보면 저 역시 학창 시절 빨리 어른이 되고 싶었고, 공부도 하기 힘들고 싫었습니다.
학창 시절이 제일 좋다고 말하는 어른들이 싫었던 저는 어른이 되어서 그토록 싫어했던 어른들을 쫓아 갑니다.

어른이 되면 자유로워질까?
어른이 되면 행복해질까?
학교를 떠나면 자유로워질까?
학교를 떠나면 행복해질까?
     29p

 

책 속의 34번은 자유를 원합니다. 그리고 어른이 되기를 원합니다.
어른이 된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34번의 모습을 보면서 저는 아직 온전한 어른이 되지 못한 듯 합니다. 
너무 큰 기대를 포함하여 아이들을 사랑하고 있으니까요...그것이 아이들의 어린 마음을 짓누르고 있는 것을 알면서도 말이죠.

아이들은 힘겹게 어른이 되어 갑니다. 낯선 세상과 만나고 낯선 사람들을 만나면서 어른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잘못된 어른들의 모습을 보면서 아이들은 그 속에서 희망을 찾고, 좀더 나은 사람이 되려고 노력합니다. 그리고 자랍니다.

"넌 어린 거니, 어리지 않은 거니?"

"난 아직도 잘 모르겠어. 내가 어린지 어리지 않은지."

"올챙이만 어른이 된 게 아닌 거야.
네가 올챙이들을 지켜주지 못했어도
올챙이들은 모두 개구리가 되어 뭍을 떠났어.
34번 너도 마찬가지야.
네가 어른들에게 자유를 구속당해서
행복하지 못하다고 투덜대는 동안에도
너는 매일매일 자라고 성장했던 거란다.
이제 너는 더 이상 어리지 않아.

그러니 누구 때문에 안 되고
무엇 때문에 못 한다는 변명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단다.
이제 누구 탓도 안 돼.
모든 것은 34번 너의 책임이란다."
205p



책을 읽으면서 어른이 나와 사춘기 시절의 나의 모습을 되돌아 보았습니다. 그리고 생각해봅니다.
지금 사춘기를 보내기 시작??다고 말이죠.
어른으로 가는 길목에 혼자 내버려 두지는 말아야 겠다고 말이죠.
가끔은 힘들고 지쳐서 울고 싶을 때가 있는 아이에게 저 앞에 행복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려주고, 행복한 일만 가득할 때 슬픔을 이겨내는 법을 알려주는 어른이고 싶습니다.

잔잔한 영상이 흘러가듯 아이에서 어른이 되어가는 34번의 모습이 파노라마처럼 흘러갑니다.
저자가 어린 시절의 경험을 바탕으로 그려낸 이 책은 누구나 겪었던 34번의 마음을 잘 대변하고 있습니다.
어른들은 그 마음을 공감하고 아이들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고, 34번인 아이들은 그 마음을 위로받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여러분은 어떤 어른이십니까? 그리고 어떤 어른이고 싶습니까?
어른이 된 저는 이제야 진짜 어른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사진출처: '1학년 1반 34번'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