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위한 신도 버린 사람들
나렌드라 자다브 지음, 김선희 엮음, 이종옥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에게 많은 감동과 용기를 전해주었던 <<신도 버린 사람들>>  큰 눈에 슬픔을 가득 머금은 듯한 어린이의 표정을 잊을 수 없었던 이 책이 어린이 도서로 출간되어 나왔다.
자신의 삶에 최선을 다하여 살았던 주인공 ’다무’의 용기와 감동을 이제 아이들에게도 전해 줄 수 있어서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더불어 지금은 법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아직도 남아있는 카스트 제도에 대해 어린이들도 알아야 하며, 사람은 어느 누구를 막론하고 차별을 받으면 안되며, <<세상에 쓸모없는 삶은 없다>> 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을 전해주고 싶다.

그러기에 <<어린이를 위한 신도 버린 사람들>>의 출간은 어른들에게도, 밝은 미래를 이끌어 나갈 우리 아이들에게도 아주 뜻깊은 일이라 생각된다.

’닿기만 해도 부정해진다’라는 의미를 가진 ’불가촉천민’ 으로 태어난 ’다무’
불가촉천민은 인도에서 수천 년 전부터 내려오는 신분 제도의 가장 낮은 직급으로 상층 카스트들을 위해 허드렛일을 해야하는 등의 ’마을의 의무’ 를 하며 개만도 못한 신세를 가진 신분이다.

마을의 의무를 하다 병이 난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도에서 가장 붐비는 도시 뭄바이는 다무에게 인생을 개척해야 한다는 새로운 의지와 용기를 배우게 된다.
신문 보급소 소장 강가람, 자신을 천민이 아닌 사람으로 대해준 미시바바 가족. 무작정 찾아간 철도 회사에서 사람들에게 인정받는 직원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다무의 인생을 바꾸어 놓은 것은 ’바바사헤브’ 라는 칭호를 듣고 있는 마하르 최고의 지도자이며 불가촉천민 출신인 암베드카르라는 지도자를 만나게 된 일이였다.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평등합니다. 우리 불가촉천민에게도 저수지의 물을 마실 권리가 있습니다. 여러분! 모두 깨어나십시오. 일어나십시오." 65p

’그래. 못할 건 없어. 우리라고 언제까지나 이렇게 짐승처럼 살수는 없지. 세상이 바뀌지 않으면 우리가 세상을 바꿔야 해.’ 66p

마을의 의무를 해야할 차례가 되어 마을로 돌아가 천대를 받는 동안 다무는 새로운 다짐을 하게 된다.

"난 우리 자식들에게 보다 나은 삶을 물려주기 위해 끝까지 싸울 거야. 우리 자식들이 인간의 존엄성을 가지고 살 수 있도록 만들 거라고." 115p

’절망은 순간이고 곧 지나간다.’ 124p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기 위한 다무의 굳은 의지로 다무의 아이들은 학교를 다니며, 열심히 공부했고 다무는 아이들에게 새로운 삶을 물려주기 위해 힌두교가 아닌 불교로 개종을 한다.

내 삶의 주인, 내 스스로가 주인인 삶.

큰 아들 자누는 공무원이 되었고, 셋째 아들 디나는 권투 선수로 성공했으며, 막내 츠호투는 최우수 해외유학생으로 뽑혀 인도 정부의 장학금을 받고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이들이 불가촉천민으로 마을의 의무를 다하며 살아야 하는 삶이 아닌, 새로운 삶을 살 수 있게 된 것은 아버지 ’다무’의 용기와 자신의 삶의 주인이 되고자 했던 굳은 의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었다.

사람들은 자신의 삶의 오점을 환경 탓으로 돌리는 경우가 많다. 가난하기 때문에, 외모가 잘나지 못하기 때문에, 사회적인 지위가 높지 않는 부모때문에....등등 자신의 과오를 환경 탓으로 돌리며 지금의 삶에 안주하려고 한다.
만약 다무가 ’마을의 의무’에 최선을 다하며 사는 그저 성실한 인물이였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나는 아이들이 이 책을 읽으면서 ’세상을 바라보는 눈’ 이 넓었으면 좋겠다는 생각과 다무처럼 ’내 스스로가 주인인 삶’을 살아가기를 바라며, 좌절을 이겨내는 용기를 가지길 바란다.

지구 곳곳에는 아직도 차별과 가난으로 힘겨운 나라가 있다.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사랑할 줄 아는 마음을 가진 아이로, 부모나 사회가 정해놓은 틀이 아닌 스스로가 원하는 삶을 개척하며 살아가는 아이로, 자신의 선택으로 실패하여 좌절한다 해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용기를 가진 아이로 자라나 주길 바라며 또 바란다.
’다무’를 통해서 우리 아이들은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살아가는 방법을....


"무지개가 뜨기 위해서는 비도 필요한 법이다."
무지개처럼 밝은 미래를 위해서 고통이나 눈물도 필요하다는 얘기였다. 다무는 평생동안 무지개가 뜰 수 있다는 희망으로 고통을 헤쳐나왔다
. 168p

   

(사진출처: '어린이를 위한 신도 버린 사람들'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