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스프링 캠프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22
정유정 지음 / 비룡소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춘기 딸을 둔 엄마라서일까? 유독 청소년 문학소설이나 성장소설에 관심을 갖는다. 사춘기를 겪고 엄마가 되었지만, 요즘 아이들을 이해하기란 참으로 어렵고, 이미 어른이 된 나는 사춘기 시절의 고민이나 감정을 잊어버린지 오래되었다. 이런 나에게 성장 소설은 딸과 나를 이어주는 끈 중 하나가 되었다.

낯선 세상으로 뛰어든 열다섯 살 세 애송이들이 펼치는 ’개판’ 여행이라는 글귀가 호기심을 자극한다. 십대들의 풋풋한 사랑과 그 비밀스러운 성장의 기록이라는 문구 역시 나를 잡아끌기에 충분하다.
읽다보면 책을 놓을 수가 없다. 긴박하게 돌아가는 전개가 흥미진진하다. 한마디로 재미있다.
책 속에 등장하는 3명의 애송이들은 각각 다른 환경 속에서 각자 다른 목적을 가지고 출발하지만, 그들은 ’성장’ 이라는 같은 결말을 얻으며,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한 결론을 찾은 듯 보인다.

1986년 8월 14일..

엄마의 재혼 그리고 엄마 뱃속에서 자라는 동생, 6년전 금방 오겠다고 집은 나섰지만 끝내 돌아오지 않는 아빠...모든 것이 혼란스러운 준호는 친구 규환의 심부름을 가게 된다.
운동권 학생으로 경찰에 쫓기는 형을 도피 시키기 위한 규환의 계획을 준호가 실행하게 된다.
하지만, 그 시작부터 준호의 계획은 엉망이 되어버린다.
늘 아빠에게 심한 구타를 당하는 정아, 광주학생운동으로 딸을 잃고 순식간에 범죄자가 된 정체를 알수 없는 할아버지, 부모의 과잉보호를 견디다 못해 뛰쳐나온 승주, 정아네 사냥게 루스벨트까지.
준호는 이들과 어쩔 수 없는 동행을 시작하게 된다.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던 이들은 여행을 통해서 조금씩 서로를 알아가고, 그들이 갖은 고통을 나누어 갖는다.
형을 도와주겠다는 목적으로 떠난 준호, 아빠에게 벗어나 새로운 미래를 건설하고 싶지만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는 정아, 엄마의 지독한 과잉보호를 벗어나 스스로의 힘으로 살고픈 승주.
각자 속해있던 울타리를 떠나 낯선 세상으로 달려가는 그들의 이야기를 읽고 있으면서,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두려움을 떨치고 앞으로 나아가려는 용기가 보인다.
나도 모르게 그들을 격려하고, 그들과 함께 조마조마해 하며 책을 읽어내려 갔다.

"네가 규환이 대신 어딜 간다는 거 알고 있어. 중요한 일인가보다, 짐작하고. 승주가 혹이고 나는 혹 위에 붙은 혹이라는 것도 알아. 알면서도 결심이 서질 않았어. 엄마를 생각하면 집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막상 가야지 하면 그게 죽기보다 싫었거든. 그 소굴로 돌아가는 게 너무나 끔찍해서.... 그냥 너 따라서 가는 데까지 가 보자는 생각만 들었어. 너도 언젠가는 집으로 돌아가겠지만, 그러면 나도 어떤 결정을 해야겠지만, 그때까지 철판 깔자 생각했어. 시간이 필요했어. 엄마한테서 떨어져 있을 시간. 냉정하게 내 인생만 계산해 볼 시간." 266p

형을 구하기 위한 시간이 촉박해지면서 이들은 더욱 서로를 믿고 의지하며 앞으로 나아갔다. 이들은 하나로 묶는데는 정체를 모를 할아버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죄인이 아닌 죄인이 되어버린 할아버지의 이야기는 이 사회의 모순을 보여주며, 또한 그 시절의 안타까움을 느끼게 해준다.

힘겨운 상황에서도 자신의 책임을 다하려는 준호의 모습은 저자가 우리 아이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모습이였을 것이다. 어쩌면 무모한 여행이였을지도 모르지만, 준호에게는 또다른 세상으로 나아가는 여행이 되었을 것이다.

이 또래의 아이들은 무수히 많은 고민을 안고 살아간다. 이들처럼 가족문제 일수도 있고, 성적, 미래, 이성, 친구에 대한 문제일수도 있다. 미래는 늘 낯선 세상이다.
낯선 세상으로의 여행은 두려움과 있지만, 희망도 함께 있다. 두려움을 떨쳐내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용기를 이 주인공들을 통해서 배울 수 있기를 바란다.

긴박한 스토리 속에서 긴장감이 흐르지만, 그 긴장감 속에 유익함이 묻어난다. 나도 주인공을 따라서 함께 낯선 세상으로 여행을 다녀온 느낌이다. 그 여행을 딸에게도 권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