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없어진 날 단비어린이 문학
조영서 지음, 이여희 그림 / 단비어린이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세대에만 해도 아빠는 과묵하고, 엄격하고, 때로는 낯설게도 느껴지는 존재였습니다. 그러나 표현하지 못하는 것일 뿐, 그 내면에는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이 누구보다 깊은 사람이었죠. 하지만 요즘 아빠의 존재는 조금은 달라져있습니다. 육아에도 참여하고, 아이들과 함께 놀아주며, 다정다감하죠. 물론 여전히 아빠와 함께 하는 시간보다는 엄마와 함께 하는 시간이 더 많기 때문에 예전못지 않은 소홀함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가족과 관련된 이야기는 동화책의 단골소재입니다. 가족의 여러 형태나 가족간의 대화 등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가족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하죠. 단비어린이 《내가 없어진 날》에서는 총 4편의 단편을 통해 아빠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에게 아빠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정말 좋은 기회가 될 거 같아요.

 

표제작 [내가 없어진 날]은 새아빠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생일이라 엄마와 함께 식사를 하던 중 마리는 엄마에게 동생이 생겼다는 소식을 듣게 됩니다. 마리에게 성이 다른 동생이 생기게 되는거죠. 마리는 엄마와 나, 둘뿐이었던 작은 울타리에 아저씨가 들어오고 이제 겨우 새 울타리에 익숙해지려는데 엄마가 멋대로 또 다른 울타리를 만드는 것이 화가 났어요. 이제 집에서 자신만 외톨이가 될지 모른다는 생각에 뭔지 모를 서러움에 눈물이 계속나던 마리는 엄마에게 악을 쓰며 소리를 질렀고 그로인해 교통사고가 나게 되죠. 엄마와 동생이 걱정되는 마리, 그리고 새아빠에 대해 알게 된 마리의 이야기가 따뜻하게 담겨있습니다.

 

 

[목욕탕에서 만난 아이]는 아빠의 부재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매주 일요일이면 할아버지와 목욕탕을 가는 시우는 동네에서 가장 오래된 목욕탕을 가는 것이 불만이었습니다. 친구들은 새로 생긴 으리으리한 찜질방에 가 보았다고 자랑을 하거든요. 시우도 몇 번 졸랐지만 할아버지는 들은 척도 하지 않았어요. 결국 시우는 낡은 목욕탕으로 들어서면서 빨리 허물어지라고 주문을 외웠죠. 냉탕에 들어간 시우는 초록색 공룡 인형을 들고 있는 어떤 아이와 만났지요. 그런데 그 초록색 고무로 만든 티라노사우루스는 얼마 전 시우가 잃어버린 것과 똑같았어요. 그 아이에게는 시우처럼 어깨에 돼지점도 있었지요. 아이는 아빠와 같이 목욕탕을 왔다고 했고, 아빠가 없는 시우는 친구들이 아빠랑 같이 가는 게 부럽다고 자기도 모르게 속 얘기를 하고 말았지요. 그렇게 아이와 함께 잠수 시합을 하며 놀던 시우는 감기걸린다며 나오라는 할아버지 이야기에 고개를 내밀었고, 아이는 보이지 않았어요. 시우는 할아버지를 통해 아빠도 어깨에 돼지점이 있었다는 걸 알게 됩니다.

 

 

[밀가루가 간다]는 아빠와 엄마의 다툼으로 엄마와 함께 이사하게 된 홍지이야기입니다. 이 이야기의 화자는 홍지가 좋아하는 하얀 북극곰 인형인 밀가루에요. 밀가루는 삼 년 전 제주도 테디 베어 박물관에서 아빠가 사준 인형이죠. 홍지와 밀가루는 단짝이 되었지요. 얼마 전 엄마 아빠의 다툼으로 홍지는 엄마와 함께 이사하게 되었습니다. 아빠는 그 다툼이후로 집에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이제 출발할 시간이 되었어요. 그런데 홍지는 밀가루를 아빠의 서재에 남겨두고 왔네요. 홍지가 밀가루 주머니에 남겨둔 쪽지를 본 아빠의 모습은 너무 감동적이었습니다. 홍지의 마음이 아주 잘 전달된거 같아요.

 

 

[생각났어, 네 이름!]은 폭력적인 아빠 이야기입니다. 폭력적인 아빠에게서 유로를 보호해주는 건 AI 로봇뿐입니다. 알파파-khr20660 이름뿐인 AI 로봇에게 유로가 지어준 이름은 바로 '대디'였습니다. 아빠의 역할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는 이야기였어요.

 

총 4편의 단편에서 다루는 아빠에 대한 이야기는 따뜻하게 때로는 안타깝게 다가옵니다. 이 동화책을 통해 아빠의 역할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게 될 듯 합니다. 남편에게 꼭!!! 읽어보라고 해야겠어요. 많이 변했지만 여전히 아빠와의 관계는 대면대면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동화책은 아이들에게는 아빠에 대해, 아빠들은 아이들과의 관계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합니다. 이 책이 그 해답의 실마리를 주고 있기에 강추해봅니다.

(이미지출처:'내가 없어진 날' 본문에서 발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