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스맨 학교로 출동/한권으로 보는 그림문화재 백과>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폴리스맨, 학교로 출동! 시공 청소년 문학 38
이명랑 지음 / 시공사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함께 걸어간다 생각했는데 어느순간 혼자가되었음을 깨달았을때의 당혹감이라니,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속에서 덩그라니 나만 남겨진듯한 패배감은 어느순간 예고도없이 불쑥불쑥 찾아와선 사람들을 당혹시킨다. 난 혼자가 아니야를 외치며  발버둥을 치면 칠수록 더욱더 나락속으로 빨려들어선 방향마저 잃어버린채 어디를 향해 내달려야하는지 감각마저 무뎌진다.

 

순탄하기만했던 초등학교를 지나, 성적이란 잣대로 사람을 평가하는 중학교의 강을 만나고 외고를 비롯한 특목고로 미래가 갈라지는 고등학교의 문턱에 다다를때면 아이들은 그러한 사회적 편견속에 갇혀버린 잣대로 평가당한채 누구는  성공의 그림자를 따라 길을 걷는가하면 벌써 문제아라는 낙인속에서  사회적 패배자의 그룹에 빨려들어가기도한다

 

아무리 스피드시대라지만 너무 빠르다. 무한한 잠재성을 미쳐 발견하지도 못한 아이들에게 가해지는 무력들이 더욱더 나락속으로 밀어버리는 형상이라니, 우리 아이들이 한없이 불쌍해진다. 하지만 그 패배자들이 자신의 길을 찾아가고 있었다. 많은 이들이 주목하기에 얼떨결에 만났던 이 책,  자신이 무엇을 해야하는지 미쳐 생각할 겨를도 없이  엄마의 손에 이끌려 밀려가는 우리 아이들이 읽어야만 하는 책이었다. 

 

상위그룹에 속한채 특목고만을 바라보며 열심히 달려온 윤상현은 고입의 마지막 고비를 넘지못하고 고배를 마셨다. 그건 오랜시간  함께했던  부류에서  떨어져나가야만 하는 현실과 스스로 가지게된 자격지심,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는 엄마의 따가운 눈길과 잔소리까지 감수해야만하는 실패였고 낙오였다. 그렇기에 특목고 입학에 실패하고 꼴똥학교 k고에 배정받은날 그는 철저한 문제아가 되기로 결심한다. 

 

5시 30분의 알람소리에 자동 반사하듯 침대를 박차고 일어나선 30개의 영어문장을 외우다 내가 이짓을 왜 하고 있지라는 자괴감을 휩싸인채 맞이한 첫날, 상현은 자신의 바램대로 지각을 하고 오리걸음으로 새로운 생활을 열었다. 그리곤 문제의 영어시간 친구들을 선동했다는 덕목으로 승준과 함게 폴리스맨의 특별관리대상이 되어버렸다. 그렇게 꼴똥학교에서 맞이한 첫날 최고의 꼴통학생으로 낙인찍혀버린것이다.

  

3년의 학교생활을 좌우하는 낙오자의 굴레가 너무도 간단했다. 학생과 친구의 됨됨이가 어떠한지 어떤 환경에서 어떤 모습으로 살아왔는지 아무것도 필요없었다. 너는 문제아라는 간결명료한 정의가 있을뿐이었다. ' 이런 제길' 과 동시에 자신도 모른사이 집어던진 걸레를 보면서 부들부들 떨며 ' 감히 감히 '만을 연발하는 선생님의 눈이 전부였다. 

 




 

사람을 평가하는것이 다 그러하겠지만 적어도,  선생님이 학생을 평가할때만큼은 조금 더 부드럽고 정감어린 눈길로 봐주길 바라는 마음을 싹둑 잘라버린 현실이었던듯, 스카이를 바라보지 않는, 아니 엄두를 낼수 없는 아이들에겐 그마저도 너무 큰 사치였다. 특목고를 실패한 낙오자와 자신의 꿈을 찾아가려하지만 폭주족의 소굴에 얽혀있던 낙오자는, 전직경찰관이었지만 이젠 주책바가지 노인네로 전락해버린 어른 낙오자와 함께 패배자 그룹을 형성했다. 그리고 그들은 달린다.

 



 

스카이를 외치며 달려가라 부르짖는 어른들의 기대는 아이들의 무한경쟁시대로 밀어내며 사교육의 바다에서 허우적 거리게 만들며 학교 공부를 불신하고 선생님을 기만하는가하면  학생들을 성적으로만 평가하는 한 부분만을 부각시킨다. 다 함께 앞으로 나아갈수 없는 경쟁시대엔 1등하는 아이들이 있으려면 10등 하는 아이도 있어야하고 꼴등도 있어야 하는법 공부를 못한다고 다른것도 못하란법이 없거늘, 모든 평가의 기준이 되어버린지 오래다. 성공하는 자보다 실패하는자가 더 많고 인정받는 아이들보단 실패했다 주눅들어야만 하는 아이들이 많은 학교 참으로 재미없고 슬프다. 안타깝다. 하지만 아이들에겐 어른이 만들어놓은 그 어두운 터널을 지나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 방법이 있었다. 나는 특목고에 가려고 영어 단어를 외운것이 아니었다. 좋으니까......... 그뿐이었다.    




 



 

소외된 노인과 문제아인 학생의 눈을 통해 우리는 사교육의 늪과 주택재개발의 현실, 노인문제등의 사회현상을 보았고, 하고자 하는길과 사회가 만들어준 기준에서 방황한채 갈길을 잃어버린 우리 아이들의 현실을 마주했다. 절대 특별하지 않았던 이웃, 주변에서 흔히 접할수 있는 캐릭터였기에 더욱 더  마음에 와닿는다. 유쾌한듯 싶다가 슬퍼지고, 단순하다 싶다가 의미심장해지는 행보들 현상이,  내 자리는 바로 여기다   라고 깨닫기까지 걸린 몇달의 시간을 함께한 폴리스맨과 새둥지 승준은 진정한 친구요 동지로 태어났다. 성적에 얽매혀 숨조차 제대로 쉬지 못하는 우리 아이들에게 이 책은 새로운 돌파구를 만드는 용기와 결단력을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