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똘레랑스 프로젝트 5, 핀란드 교육혁명>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핀란드 교육혁명 - 39인의 교육전문가, 북유럽에서 우리 교육의 미래를 보다 한국교육연구네크워크 총서 1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총서기획팀 엮음 / 살림터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 나라 똑같이 학력이 세계 최고 수준인데 한국은 가장 공부를 많이 해서 얻은 학력이고 핀란드는 공부에 목을 매지 않고 개인의 자발성에 기초해 얻은 결과 엿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한국 교육의 성취는 경쟁의 결과이고 핀란드 교육은 협력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핀란드와 한국은 책의 본문중 한 부분인 위 문장에서 알수있듯 세계최고수준의 학력을 가지고있다한다. 하지만 똑같은 결론이지만 그 과정을 들여다보자면 너무도 판이했다. 아이들이 행복해지는 것이 핀란드의 교육이라면 어른들의 욕심으로 무조건 길들여지는 쪽은 한국의 아이들이었다. 남들보다 조금더 앞서기위해 조금더 달리기위해 낙오하지 않기위해 우리 아이들은 지금 이순간도 숨찬 레이스를 펼치고 있는것이다.

 

우리민족은 예로부터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공부만이 출세의 길인양 가난한 삶을 대물림하지않기위해 나보다 좀 더 나은 세상에서 살아가길 바라는 부모의 마음으로 나는 비롯 몸먹고 몸입을 망정 자식의 교육만은 온 정성을 다 쏟아부었다. 그래서 대통령 선거를 앞둔 선거공약에서 빠지지 않는것이 교육정책이고 많은 국민들이 똑같은 혜택을 누리기위한 정책을 편다 강조하는쪽은 중앙정부요, 교육10대 도시를 표방하는 내가 살고있는 지역까지 모든 사람들의 눈과 귀는 교육이라는 화두에 활짝열려있음이다.

 

하지만 우리는 알고있다. 이길이 최선의 길이라 강조하며 채찍질하지만 우리 아이들이 너무 불쌍하고 고되다는것을, 정녕 이렇게 가야만하는걸까 부모조차 회의감을 안게된다는것을, 내가 앞서가기위해 친구를 밀쳐내고 내가 이겨야 하겠기에 누군가는 패배자를 만들어야만한다는 사실을 아이들에게 주입시키며 성공만이 보상이다 무조건 앞만보고 달려라 채찍질하며 아이들의 인성을 어떻게 논하고 그 인생이 행복할거라 생각하겠는가?

 

2009년 1월 그러한 한국 교육의 현실을 타파하고자 39인으로 구성된 교육희망 찾기 북유럽교육탐방단이 조직되어 8박 9일간의 일정으로 선진교육의 현주소인 핀란드와 스웨덴의 교육현장을 둘러보았단다. 그리고 그 결과물이 바로 핀란드 교육혁명 이 책이었다. 교육개혁을 꿈꾸고 교육운동에 헌신 참교육 실천을 위해 노력해온 교육윤동가, 교사, 교육위원과 시민단체활동가 언론인 시인등의 눈으로 직접 보고 느낀 교육현장은 우리의 교육현실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미래의 국가재산은 인적자원인만큼 어느나라 할것없이 미래 인재를 육성하는 교육에 무한한 관심을 가질터 거기에서 세계최고로 우뚝 자리한 나라가 핀란드였다. 게다가 아이들조차 행복한 나라라니 같은 상위권을 달리지만 정권이 바뀔때마다 아이들의 행복은 안중에도 없이 그 아이들을 담보로 갈팡지팡하는 교육정책에 만성적으로 시달리는 우리였기에 궁금증은 더해질수 밖에 없었다.과연 그들에겐 어떤비법이 숨어있는것일까?.

 

39인이 들러분 핀란드의 교육은 부러움 그 자체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와 국민이 하나가되어 아이들을 행복하게 만드는 나라였다. 학교의 외관부터 내용에서 질까지 어느 하나 흠잡을 데가 없었다. 상급학교로의 진급이 아닌 통합교육이 성공한 종합학교의 모습엔 끌고가는 수업이 아닌  한년 집단으로 편성하지 교과목 별로 자기 수준에 맞는 홈룸에서의 진행이었다. 

 

학교발전과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 발로뛰고 노력하는 교장, 전임교사와 보조교사까지 철저히 지켜지는 2인이상의 교사시스템은 아이들을위해 서로 협력하고 노력하는 학교의 모습이었다. 거기에 직업학교는 어떠한가, 학교 졸업과 동시 바로 사회에 진출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출수 있도록하는 시스템은 대입수능에 목을 맨 우리 아이들의 모습과는 너무도 대조적이었다. 그러한 그들의 교육에선 권위와 독선을 전혀 찾아볼수가 없었다.

 

또한 그들에게 사교육은 없었다. 공교육또한 모두가 무상이었다. 거기엔 중앙정부의 사회보장제도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과 국민들의 인식까지 모두가 공감하고 동조했기에 가능했던 일이었다. 그렇게 핀란드 교육현장에서 들려주는 그들의 교육은 이제 막 입시전쟁을 앞둔 부모의 한사람으로 무한한 부럼움을 사기에 충분했다. 투명성과 국가경쟁력 1위라는 파워가 우리에게도 전염이되 머지않은 시간에 공교육만으로 아이들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우리 아이들이 행복해지는 시간이 도래하기를 꿈꾸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