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뿌리깊은 나무에서
똘복이 대궐로 들어가 왕과 대립하며 악을 쓰면서 하던 말
천한 것들은 글을 몰라서 죽는게 아니다. 글을 몰라도 죽고 알아도 죽고 맞아서도 죽고 때려서도 죽는다. 그렇게 죽을 뿐이다. 글을 안다고 세상이 달라지는 건 하나도 없다. 알면서도 죽는게 우리 천한 것들이다.
그때 왕이 흥분해서 하던 말이..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알아서도 죽는다고 해도 몰라서 죽는 것과는 다르지 않겠느냐.적어도 대비할 수 있을 것이고 글을 안다는 것이 세상을 아는 것이니 어떤 대비를 할 수 있는 것 아니냐
딸내미가 뭐라고고해서 대충 들었지만... 둘의 그 불쫓튀는 대화를 보면서 참 맘이 뭉클했다.
그동안 생각못했던 것을 드라마가 많이 생각하게 만든다.
글을 안다는 것은 단순히 안다는 것 이상이다. 글을 안다는 것은 정보를 얻고 지식을 얻을 수 있는 문이 열리는 것이다. 설령 그 정보와 지식이 나의 밥과 목숨과 아무런 상관없는 별세계의 겻일지라도 내가 무언가를 알고 생각하고 고민한다는 것은 아무것도 모르고 사는 것과는 천지차이인 것이다.
내가 글을 통해 배움을 얻고 지식을 얻고 생각을 하고 깨닫게 된다면 설령 내가 서 있는 이곳은 아무런 변화가 없을지라도"나"는 변해있는 것이다. 내가 생각을 하고 고민을 하고 스스로 자존감을 가지고 나를 귀하게 여기게 되고 그리고 새로운 꿈을 꿀 수도 있다. 그것이 이루어지느냐 마느냐는 지금 중요하지 않다. 꿈을 꾼다는 것과 꾸지조차 못한다는 것은 다르다.
글을 배우고 책을 읽는것
그것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것은 그 자체가 즐거움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는 건 변함없다
다만 그 다음 내가 글을 알고 책을 읽으면서 세상을 넓혀가고 나의 무지를 알게되고 지식을 얻고 생각을 하게 되는 것 그것이 그 다음의 중요한 일이다,
아직 내가 뭐가 되고 싶은지 잘하느지 알지 못한다면 그래서 아직 막연하게 전공을 정할 수 없다면 그리고 너가 만약 문과라면... 물론 법학이나 경영학 통계학 외교학 등등 세상으로 나가는데 현실적인 도움을 주는 것을 선택하는 것도 좋지만 그게 아니라면 가장 기초적인 인문학을 공부하는 것이 좋겠다.
철학 역사 언어 문학 수학 자연과학등 기본적인 학문을 공부해두는 것 그건 지금은 미약해보일지 모르나 나중에 어디서 어떤 일을 하고 꿈을 펼칠때 든든한 뒷받침이 되어줄 수 있을것이다
한낱 구름잡는 이야기 밥이 되지 않는 탁상공론이라고 무시하거나 천대받고 있는 인문학이지만 그것들은 공기처럼 물처럼 삶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것이기에 사람들이 그 가치를 모를 뿐이다. 그것들이 뒷받침 되어 있어 인간에 대한 예의를 알고 자연을 경외할 줄 알고 역사를 통해 배우고 반성할 줄 안다는 것은 가장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길이 아닐까.
세상에서 성공하고 출세하고 스펙을 쌓고 페이가 높은 것도 정말 좋은 일이지만 (정말 좋단다 그런건....)그 아래 든든한 인문학적인 배경이 있고 그것을 고민하고 실천하려고 하는 마음이 있다면 금상첨화 아닐까 한다. 기본이 된 다음 성공을 꿈꾸는 것이지 기본을 무시하고 성공을 향해가기만 한다는 건 의미가 없고 그것자체가 사회에 해악이 될 수도 있응니까.
뭐든 열심히 최선을 다하는 건 나쁜 일은 아니다. 하지만 내가 건전한 사고와 가치를 가지고 사회가 지향하는 바와 일치하며 나가는 최선과 열정은 옳지만 그릇된 방향과 사고를 향해나가는 최선과 열정은 게으름보다도 더 나쁘고 무서운 것이니까..
지금 세상에도 최선을 다하고 열심히 노력하고 부지런한 분들이 많지만 어쪄면 그 분들께서 조금 게으르고 느린 것이 이 세상을 더 아름답게 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잖니
인문학이란 그렇게 세상살이에 기본이 되는 공부이면서 동시에 세상을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공부이기도 하단다. 게다가 나만 행복한것이 아니라 더불어 함께 행복할 수 있는 공부라고 생각한다. 인간에 대해 알고 인간에 대한 예의를 배우고 자연에 감사할 줄 알게 되는 것 그리고 나만 사는 세상이 아니라 모두가 함께 .. 틀린 것들이 아니라 다른 것들과도 서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그것이 인문학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예쁜 중기때문에 보기 시작한 드라마지만 보는 내내 뭔가를 생각하게 하고 나를 돌아보게 하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가 아는 세종대왕 그 분께서 우리가 아는 것 이상 위대하고 대단한 분이었다는 것을 세삼 깨달아가며 보게된다. 바보가 도 깨치는 소리라고 하는 "아하!'를 연발하면서 보는 드라마가 되었구나.
그렇게 고민하고 지옥같은 시간속을 견디면서 만든 한글 (물론 드라마라 더 극적이고 자극적인 것으로 과장되었겠지만) 이 얼마나 훌륭한 발명품이고 위대한 것인지를 세삼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 드라마를 보면서 내가 해야할 것 너희들이 해주었으면 하는 것들을 정리하게도 된다.
그분덕분에 쉬운 글자로 편하게 볼 수 있는 책을 이제는 조금 더 깊은 시선으로 함께 읽어나가면 좋겠다.
글을 안다는 것 그 것은 세상으로 나가는 문을 열 수 있는 열쇠와 같다.
그 문이 열린다고 해서 내가 달라질 것이 없을 수도 있다. 문을 열고 새로운 세상을 본다고 해서 내가 그 속으로 들어갈 수 없을 수도 있고 그저 그 세상을 부러워하고 열망하면서 스스로를 자학할 수 도 있겠지만 ... 그래도 그 문을 열어본다는 것.. 그것만으로도 설레는 일이 아닐까..
후회는 나중에 하고.. 지금은 그 문을 열어보고 싶은 열망만 가득하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