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서 말하는 돌봄노동과 상관없는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요사이 느끼는 것 중 하나
개개인의 선한 의도 혹은 선한 행위에 기대는 것은 참 위험하다.
단순하게 작은 원안에서의 세상은 아름답게 보일지 모르겠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선한 개인에게 너무나 많은 짐을 부과하고 있다. 동시에 누구에게나 모두를 만족시키는 선한 행위따위는 없다.
나는 좀 비관적이긴 하다.
사회에서 터지는 여러가지 사건사고들을 보면서
혹은 복지정책의 보이는 혹은 보이지 않은 다양한 사각지대를 알게 되면서
선한 의지따위보다는 강한 정책과 처벌이 더 필요하다고 느낄 때가 많다.
선한 의지들이 있다면....
사회구성원이 의식을 바꾸는 교육을 통해서...
뭐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그렇게 누군가의 선함을 기대하기에는 사회 구성원들의 의식을 바꾸어가는 시간을 기다리기에는 너무나 애가 타고 안타깝고 어이없는 일들이 여기저기서 펑펑 터지고 있다.
인권이 좀 눌리더라도, 비 인간적인 면이 많이 드러나더라도 강한 정책으로 일단 누르고 강제시키는 일들이 필요할 때가 많다.
돌봄경제가 담당하고 돌봄 노동으로 치부되는 곳에서는 일단 모든 정책이 그리고 모든 대처가 일이 터지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폭력이 일어나 누군가 다치거나 해를 입기전에 미리 대처할 수 없고
누군가 나를 지독하게 따라다녀도 그가 칼을 들고 내 목을 긋지 않은 이상 내가 할 수 있는 것도 없고 경찰이 해줄 것도 없다.
구속된 남편이 돌아오면 집안이 풍비박산되고 또 한번 폭력의 바람이 불게 뻔하지만 일단 그 남편이 돌아와 피바람을 일으키기전에 미리 준비할 대책이 없다.
일단 터져야 도움을 줄 수 있고 피해가정으로 폭력가정으로 인식이 되고 시스템이 돌아간다.
물론 아직은 제대로 알지 못하는 햇병아리라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런데 돌봄이라는 건 참 하찮게 여겨진다는 거다.
그건 돈이 되는 것이 아니다.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다.
누군가는 뼈를 갈아서 삶을 갈아넣어서 그 자리를 채우고 지켜나가고 있지만
그가 떨어져나가는 순간 또다른 그가 다시 그 자리를 채워도 아무렇지 않다.
미묘한 돌봄의 섬세한 감각따위는 돌봄을 받는 대상이 느낄 뿐이지만 그는 아무런 힘이 없다.
돌봄노동을 하는 사람도 돌봄을 받아야 하는 취약층도 어떤 힘이 없다.
그걸 지시하고 감독하고 통제하는 기관이나 상부는 늘 그렇듯 습관적으로 일을 하거나 그냥 관행대로 할 뿐이다.
그리고 그렇게 쉬운 하찮은 일을 하지 않겠다고 스트라이크를 일으키는 순간
모성이 없거나 공감능력이 떨어지거나 이기적인 인간이라고 욕을 듣기는 참 쉽다.
누구나 할 수 있지만 누구도 하고 싶어하지 않고 지금 하고 있는 누군가도 다른 일자리를 얻는다면 당연히 그만두고 싶어하는 일이지만 누구도 하지않으면 안되는 일
그것이 돌봄노동이고 그것의 가치다.
이러면 안되지만 가끔 강력한 제제를 가할 수 있는 법령이나 제도가 더 절실할 때가 있다.
인식의 전환은 그 다음으로... 강제하다보면 인식도 바뀌는 거 아닌가 하는 위험한 생각이 불쑥 들 때가 있다.
책은 쉽게 읽히지만 쉽게 들어오진 않는다.
많은 예시가 좋은 것만은 아니다. 모든 게 미국 제도여서 그랬던거 같다.
뭐 우리라고 많이 다르진 않지만 보편적인 듯 하지만 동시에 너무나 미국적이어서....
그래도 읽을만하다. 경제문제에서 돌봄노동에 대해 생각해본다는 건 당연하지만 획기적인 발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