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지코믹스 - 버트런드 러셀의 삶을 통해 보는 수학의 원리
아포스톨로스 독시아디스 & 크리스토스 H. 파파디미트리우 지음, 전대호 옮김, 알레코스 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제목을 글자 그대로 풀어보면, 로지코믹스, 로직(논리)에 관한 코믹스(만화)다. 만화를 보면서 좀 더 알게 되는 것은 이 책이 논리학에 관한 역사를 다루면서, 논리학의 역사에 관여한 주요한 인물들, 버트란드 러셀, 화이트헤드, 비트겐슈타인 등, 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다는 사실이다.  

사실 논리학의 역사에 관여한 인물들 중에서 내가 읽어 본 것은 러셀의 <서양철학사>, 화이트헤드의 <이성의 기능>과 <관념의 모험> 정도 인 것 같다. 하지만 로지코믹스에서 언급하고 있는 책들 중에선 없는 것 같다. 그나마도 최근에 읽었던 러셀의 <서양철학사>를 읽은 지도 한 십년이 되었으니, 기억나는 것이 있을 턱이 없다.  

근데, 대체 이 책을 왜 산 것일까? 곰곰히 생각해보면, 이 책을 산 것은 러셀때문이면서, 전대호라는 번역자 때문이면서, 수학사 또는 과학사에 대한 호기심 때문이었던 것 같다. 그러니까 내게 로직(logic)이라는 것은 과학(science)을 의미하는 것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막상 이 만화를 읽고나니 이 책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로직은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근본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이 책은 버트란드 러셀과 당대의 철학자들이 새로운 수학, 물리, 과학의 원리들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그 모든 학문들의 근본적인 '논리'의 토대가 얼마나 허약한 것인가를 깨닫는 과정을 보여준다. 러셀과 화이트 헤드는 <수학원리>에 이 모든 것들을 담아내려고 했지만 절반의 성공만을 거두는 데 만족해야 했다. 왜냐하면 이 책 자체가 미완성이었기 때문이다. 여기까지가 이 책을 통해서 내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었고, 그 이후에 참전과 반전, 논리와 광기 사이의 관계에 관한 이 책의 내용은 다소 실망스럽다.  

미완성이었던 <수학원리>를 흉내내는 것일까? 후속편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