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변빌라
전경린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1
지난 주 토요일, 도서관에 갔다가 우연히 눈에 띄어 집어 든 책이 <해변빌라>. 독특한 제목에 끌린 것이 사실이다. 분량 작은 책을 찾고 있었기에 걸려들었을 수도 있다. 점심을 먹고 저녁을 먹기 전에 다 읽을 수 있었으니. 읽은 후에 참으로 이상한 책이라는 느낌을 떨칠 수가 없었다. 흥미진진한 사건이나 그 흔한 갈등도 없는 밋밋한 내용에 많은 실망을 하고 말았다. 10여 년 전 읽었던 <엄마의 집>에 실망하여 더 이상 한국 문학 작품을 읽지 않게 된 기억이 새록새록 났기에.
더 이상 전경린 작가 작품을 읽지 않았던 이유는, 작가가 그리는 작품들 속 인물들이 하나 같이 똑같았기 때문이다. 작가의 소설 속 인물들은 하나같이 결핍을 안고 있는 여성들로 그려지고, 그녀들이 사랑하는 방식은 언제나 위험하다. 처음에는 무도덕한 사랑도 사랑이라고 당당히 주장하는 작가에 매력을 느꼈지만, 언제나 결핍을 매우려는 사랑 타령에 피로감이 몰려왔다. 전경린 작가와 더불어 나의 한국 문학 읽기는 끝나버렸다.
물론 전경린 소설을 읽기 시작하면 끝을 봐야 하는 가독성은 있다. 작가만이 구사할 수 있는 문체는 꽤 치명적이니까. 그래서 꽤 많은 작가의 소설을 찾아 읽었더랬다. 이 소설 역시 그랬다. 하지만 이 작품의 경우 이상하게도 별 내용이 없기에, 작가는 왜 이런 소설을 썼는지 궁금했다. 그래서 좀처럼 읽지 않는 ‘작가의 말’ 부분을 읽어야 했다. 작가는 다음과 같이 썼다.
“오해와 착각과 환상과 거짓과 허구와 진실의 충돌 사이에서, 타인의 이야기든 나의 이야기든 싫증나기는 마찬가지였다. 그런 이야기의 허무 위에서 문장을 쓰기 시작했다. 그래서 가급적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소설을 쓰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다.” (223p)
하! 정황만 있을 뿐, 갈등도 없는 소설을 쓰고 싶었다니! 하지만 “허무 위에서 문장을 쓰기 시작했다.”는 작가의 저 말로부터 나는 이 책을 다시 읽지 않을 수 없었다. 소설을 처음 읽고 든 생각이 ‘부유(浮游)하는 인물들의 허무’였기에. 재독, 삼독 하면서 밑줄들은 늘어갔다. 하지만 이에 더해 작가의 생각에 동의할 수 없는 내 생각의 편린도 같이 늘어가기만 했다.
2
“세포는 수생식물처럼 물 위에 떠 있단다. 생명은 유동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멈추어 있을 수 없어. 우리는 죽음에 너무나 익숙하고 동시에 재생을 꿈꾸는 존재이기 때문에 이렇게도 불안정한 것이다.” (p 25)
생물교사인 이사경이 즐겨 쓴 말인데, 어린 유지의 몸은 이 말에 예민하게 반응했다. 몸이 반응했을 정도로 이 말은 유지의 무의식 속에 각인됐다. 그도 그럴 것이 어린 시절 윤유지였다가 하루아침에 손유지가 된 그녀는, 이 충격으로 학창시절 줄곧 보이지 않는 사람처럼 행동한다. 성장한 유지는 연인 오휘와 결혼하지 못하고 오휘 어머니의 훼방으로 헤어지게 된다. 이후 그녀는 이사경의 집에서 백주희의 손자인 아기를 돌보며 보이지 않는 사람처럼 생활한다.
이사경과 친분이 있는 편 사장. 바닷가 폐해수욕장에서 ‘해변의 가능성’이라는 카페를 운영한다. 겉으로 보기에는 젊고 매력적인 해영을 연인으로 두고 있지만, 관계가 아슬아슬하다. 편 사장은 산 위의 알코올중독치료센터에서 내려온 진수를 거두어 카페에서 함께 생활한다. 그러던 어느 날, 진수와 해영은 눈이 맞아 편 사장의 돈을 갖고 도망간다. 편 사장은 마음이 아프지만, 돈으로 해영을 붙들어 둔 자신의 한계를 받아들인다.
이렇듯 바닷가 마을에 사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부유하고 있다. 사람들 사이의 관계는 “더 가까워지지도 않았고 더 멀어지지도 않은 채 한결같은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유지와 고모부, 이사경과 유지, 유지와 이린, 이사경과 백주희 등은 ‘한결같은 거리’를 유지하는 관계다. 소설의 커플들은 이 관계보다 못하다. 유지와 오휘, 편 사장과 해영, 진수와 상희(알코올중독치료 센터 커플) 모두는 사랑에 실패한다. 패잔병처럼 바닷가 주위를 떠돌 뿐이다.
소설 속 인물들의 부유하는 관계를 보면서 현대 사회의 인간관계의 단면을 보는 것 같아 많이 우울했다. 요즘 우리들은 수많은 모임과 일적으로 엮인 인간관계 속에서 살고 있다. 그럼에도 자신의 흉금을 털어놓을 단 한 사람이 없어 정신과를 찾는 사람들이 급격히 늘고 있다니, 참으로 아이러니 하다. 우리 각자는 부유하는 삶으로 더욱 고독하게 된 듯하다.
결국 쓸쓸히 홀로 죽는 고독사가 우리들 삶의 종착역일까. 그래서 소설 속 유지가 떠올리는 노부인(이사경 어머니)의 말이 의미 있게 다가온다.
“노부인이 했던 말이 생각났다. 제 상대를 못 만나면 남자는 바람처럼 들판을 떠돌다가 덧없이 세상 밖으로 사라지는 거다. 여자도 마찬가지야.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어 흩어지는 거지……” (p 90)
3
작가 전경린은 단언하는 것 같다. 제 남자를 알아보고, 제 여자를 알아볼 줄 아는 능력이 없다면, 우리들은 모두 부유하는 삶을 살 수밖에 없다고. 소설 속에서 말하듯이 ‘삶이란 부재의 사과를 깎는 일’이라면, 결국 우리는 “어디에도 뿌리를 내리지 않고 삶의 수면 위를 빙빙 돌며 (……) 자신마저 자기의 것이 아니라는 듯 초월적으로 떠 있(p 205)”게 된다고.
참으로 진부한 결론이 아닐 수 없다. 후기 산업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삶의 종착역은 일부 예견되어 있다. 각자 부유하는 삶을 살다가 쓸쓸히 고독사 하는 것. 이를 막는 유일한 한 가지가 남녀의 사랑이라니, 어찌 진부하지 않을 수 있을까. 하지만 노부인의 말을 도저히 반박할 수 없는 것 또한 진실이다. 그래, 늙고 실연을 당해도 서로를 알아 볼 수 있는 능력만 있으면 아무것도 아닌 것에서 벗어날 수 있으니까.
그래서 작가는 슬쩍 마지막에 복사가게 노인과 신상희 그리고 유지와 연조의 관계를 설정해 놓은 듯하다. 늙었다고, 실연당했었다고 사랑할 능력을 잃은 건 아니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은 실망스럽다. 참신하지 않아서다. ‘전경린식 사랑타령’의 새로운 버전처럼 느껴지기 때문. 그래서 그런지 마지막으로 해영에 실연당한 편 사장의 입을 빌어 전경린이 전하는 말이 계속 귓가에 멤돈다.
“그러면서 왜 사랑을 (계속) 하느냐고요? 말도 안 되는 사랑을 왜 하고 또 하느냐고요? 허영일지도 모르지요 하지만 그 외에 무엇이 있지요? 먹는 것, 입는 것, 꿈도 없는 수면, 걷기, 살랑이는 바람, 햇살, 온갖 향기, 미소, 하지만 타인의 살갖을 파고드는 사랑보다 더 강렬한 행복감은 없어요. 없지요. 그런 의미에서 난 중독자이지요. 하지만 그 동작이야말로 삶에서 최고가 아닌가요? 그 외엔 아무리 미화해도 일과 온갖 관계와 생활이란, 그저 인생의 노동일 뿐이니까요.” (p 187)
그녀의 작가 의식은 처음이나 지금이나 전혀 변하지 않은 듯하다. 사랑이외의 모든 것은 ‘인생의 노동일 뿐’이라고 여전히 말하고 있으니 말이다. (헬조선의) 현실을 도외시한 감상적 사랑타령으로 인생의 가치를 말한다는 게,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느끼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