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중순, 알라딘 합정점이 오픈했다는 소식을 듣고 잽싸게 구경르 갔다. 그리고 신촌에 갈 일이 생겨 한 번 더 간 김에 커피를 맛보고 왔다. 물론 몇 권의 책을 데려온 것은 두말하면 잔소리. 그니까 합정점은 3월에 2번 간 거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405/pimg_7046381051396826.jpg)
(합정역에서 내리면 6호선 방면으로 나오면, 바로 코 앞에 위치해 있다. 모든 알라딘 중고서점 중 역에서 가장 가까운 이점을 갖고 있다. 버스 정류장에서도 대번 보인다.)
알라딘 연시내점도 그렇고 합정점 역시 서점 내에 카페가 있다. 스페셜 커피가 요즘 커피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듯이 알라딘에서도 스페셜 커피를 선보이고 있다.
아마도 알라딘의 새로운 사업이라 회자되는 이 '카페 사업'이 알라딘 중고서점을 끼고 새롭게 론칭하는 모양새인데, 개인적으로는 매우 회의적이다.
일단 서점 내에 커피 전문점은 아무리 생각해도 묘수가 아닌 악수인 듯하다. 커피를 사서 먹는 사람들이 거의 없다. 가만히 추이를 지켜봤는데, 연신내점과 합정점 모두 10명이 입장하면 1명 정도가 커피를 구매한다.
커피가 싸면 모를까 4천원 가까이 하는 커피를 사서 책을 보면서 마신다?! 좀 아닌 거 같다. 반디 종로점 서점 내 커피 전문점도 별로 잘 되는 것 같지 않다.
헌데 결정적인 건, 알라딘 중고서점 내 카페에서 근무하는 인원이 너무 많다는 인상이다. 몇 잔 팔리지도 않는 거 같은데, 직원만 대따 많은 형세.
비용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부분이 상당한데, 바리스타를 도대체 몇 명이나 쓰는지 모르겠다. 카페 직원은 1명이면 족할거 같은데, 너댓명은 상주해 있는 듯.
개인적으로 알라딘 카페 사업에 더욱 회의적이게 하는 건, 커피 맛이다. 스페셜 커피 즉 즉석 로우스팅 해서 내려주는 수제 커피는 바리스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바리스타의 실력에 따라 원두의 맛을 실현하는 게 천차만별이기 때문.
스페셜 커피 전문점을 꽤 많이 돌아다니며 먹어 본 결과 상수동에 있는 OOOO커피 전문점이 최고였다. 대부분 스페셜 커피 전문점이라는 곳은 진짜 바르스타의 전문성이 의심이 들 정도로 형편없었다. 쓰거나 시거나 아니면 맹탕이거나.
알라딘 합정점 커피 역시 대따 맛이 없었다. 바리스타가 원두가 가진 고유한 커피의 맛을 잘 모르는 듯했다. 그냥 내가 여러 스페셜 커피 전문점에서 그냥 저냥 먹었던 커피 맛과 대동소이 했다.
물론 우리나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커피 맛을 모른다. 이건 마포의 한 유명 커피 전문점 바리스타가 내게 한 말이기도 하다. 그냥 분위기상 커피를 즐기는 것이지 맛은 모른다고.
그도 그럴 것이 커피 맛을 감별하기 위해서는 정말 많은 원두를 볶고 갈아 마셔봐야 한다. 그것도 바로 내려 원두끼리 비교를 해 봐야 간신히 그 구별점을 알 수 있다.
한 마디로 커피 맛을 구별하면서 즐기기 위해서는 진입장벽이 매우 높다는 거다. 집에 장비를 갖추고 여러 원두를 사다가 내려먹어 봐야하기 때문. 그렇지 않으면 스페셜 전문 커피점에서 여러 커피를 주문해서 비교해 마셔봐야 하는데, 이게 매우 돈지랄이 심하다는 거.
어쨌거나 알라딘의 카페 사업은 매우 의구심이 드는 사업이다. 적자가 더 커지기 전에 제고를 해 봐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나도모르게 해 보게 됐다. 적저에 허덕이는 알라딘 중고서점이 좀 안타까워 좀 많이 주절거려 봤다.
그렇지, 합정점에서 데려온 책들은 모두 9권이다. 그 목록은 아래와 같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405/pimg_7046381051396828.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5/64/coveroff/8972598941_2.jpg)
참고로 23호점인 합정점은 평균 책 단가가 꽤 높게 책정되어 있다. 22호점부터 단계적으로 점점 책 단가를 올리고 있는 듯한 인상이다. 24호점인 롯데 타워점은 알라딘 중고서점 지점 중에서 가장 높은 단가를 보이는 듯하다.
물론 해당 지점 임대료를 감안하지 않을 수 없지만, 책 단가가 너무 올랐다. 평균 정가의 50% 미만 할인률은 좀 심한 듯하다. (13000원 정가 도서가 8-9천원에 책정된 듯)
합정점 역시 신림점이나 종로점에 비해서 꽤 비싸다. 인기있는 책뿐만 아니라 오래된 책들 역시 정가의 50% 대로 수렴하고 있다. 70% 이상의 할인률은 옛날 한때의 좋은 전설로 회자될 기미가 보인다. 알라딘 중고서점 전체적인 기조인 듯하여 좀 슬프다.
그리고.. 4월 1일 만우절 날. MBC9시 뉴스를 보고 있는데 갑자기 중고책에 대한 내용이 나왔다. 인터넷 서점 1위 업체가 강남에 중고서점을 오픈했다는 기획기사. 알라딘 강남점도 함께 소개됐다.
이 뉴스를 보고 예스24 중고서점을 구경할 결심을 하고 어제 일찍 일을 마치고 강남역으로 향했다. 화면으로만 보던 예스24의 중고서점 1호점은 그야말로 입이 떡 벌어지는 크기와 디자인으로 알라딘 중고서점을 압도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405/pimg_7046381051396831.png)
(입구 쪽에서 본 예스 24 중고서점 강남점 전경. 롯데시네마 건물 지하 1층. 직직하여 나가면 롯네시네마로 연결됨.)
여러 시스템 면에서는 알라딘을 충실히 모방하고 여기에다가 교보와 같은 대형서점 컨셉을 그대로 차용하여, 대형서점에서 책을 파는 듯한 착각이 들게 할 정도로 책장 인테리어를 교보수준으로 해 놨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405/pimg_7046381051396833.png)
(탁자 위쪽의 서가들이 대형서점 서가를 방물케하는 책장들)
특히 들어 가는 입구 쪽 철학 코너에서부터 벽 면을 따라 이어지는 인문-철학-사회-정치-예술-종교-문학 등의 서가는 거의 교보 서가를 보는 듯했을 정도다. 책도 매우 깨끗하여 중고책이 아닌 새책을 30-40% 세일하는 대형서점 행사장 같았다고나 할까.
책 가격은 알라딘 보다 약 10% 정도 비싼 듯했다. 특히나 가격이 5750원, 4550원, 6750원 등으로 책정된 책이 많아 알라딘 보다 훨씬 가격을 세분화 한듯한 인상이다. 100원 단위가 아닌 50원 단위로 가격이 책정돼 있는데, 정가의 40~50% 정도.
가격 때문에 살 책이 별로 없어 보일 찰나, 균일가 코너가 눈에 띄었다. 여기는 무조건 1000원 아니면 2000원 인데, 책이 무척 많았다. 알라딘 균일가 책은 쓰레기 책들이 대부분인데, 여기는 건질 책들이 꽤 많았다.
그 중에서 난 4권을 추려 데려왔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405/pimg_7046381051396834.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319/80/coveroff/8970137106_2.jpg)
인터넷 서점 전체 1위 기업인 예스24. 하지만 중고서점 강자는 인터넷 서점 중 알라딘이 대빵이다. 전국에 걸쳐 23호점을 운영 중이니 그럴만도 하겠지. 중고서점에서 한 발 밀린 예스24가 알라딘에 도전장을 내민 형국이다.
앞으로의 추이가 볼만하겠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예스24의 중고서점 시장 진출로 영세 헌책방들은 또 한번의 타격을 받을까 우려된다. 모든 헌 책들(헌책같은 새책들)이 알라딘과 예스24로 빨려들어가는 기세이기에.
헌책 오덕 입장에서 보니, 이들 헌책의 가격이 절대 싼 가격이 나이라는 거. 결국 책시장의 대기업이라 일컬어지는 이들 알라딘과 예스24의 헌책방 경쟁구도는 헌책 가격과 영세 헌책방들에게 결코 좋은 소식이 아니라는 것만은 분명한 거 같다.
구매하는 책들도 거의 모든 책들을 다 사는 것처럼 광고 해 놓고, 정작 업체가 구매를 하는 건 매우 한정적인 책들이 주를 이루는 걸 보면, 고객을 우롱하는 게 이만저만이 아니라는 생각이다.
누구나 헌 책을 팔러 알라딘을 가봐서 알 것이다. 멀쩡한 책을 제고 운운하면서 사지 않는 알라딘 중고서점의 행태를. 예스24라고 다른 건 아닌듯하다. 살짝만 검색해도 알라딘과 동일한 체계를 적용하고 있는 듯해서.
그래놓고, 거의 모든 책을 바이백한다고 광고한다. 이런 사기에 넘어가지 말자. 바이백해 주는 책과 예스가 사 주는 헌 책은 지극히 한정적이라는 거. 것두 정가의 80-90%에 사는 책이 다수 라는 사실을 직시하자. 그러면 적어도 두 번 고생(갖고 간 책을 다시 들고 오는 짓)은 하지 않을 것이다.(물론 검색을 통해 팔 수 있는 책이 무엇인지는 알 수 있지만)
아, 예스24가 알라딘보다 불편한 점이 딱 하나 있다. 그게 바로 검색 시스템이다. 서가 위치만 알려줄 뿐 어디 몇째 칸에 있는 지는 알려주지 않는다. 그래서 알파벳 하나의 서가를 다 찾아 헤매는 수고를 해야 한다는 거. 아마도 이 체계는 개선해야 할 듯싶다.
여하튼 100여 미터를 사이에 두고 강남대로 한 복판에 경쟁이 붙은 알라딘과 예스24. 이 두 곳에 사람들이 모이는 걸 보면, 확실히 우리나라 책 값이 매우 뻥튀기 된 것만은 분명한 거 같다.
중고서점의 활황이 악법의 소산인 도서정가제를 없앨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예스24의 중고시장 진출은 그 나름의 의의를 가질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덧) 예스24 중고서점이 오픈했는데도, 알라딘 페이퍼에 올라오는 정보가 없어 대신 총대를 멨다. 아마도 사이러스 님이 서울에 살면 제일 처음 이 정보를 올렸을 거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