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음악은 음악인가?
우연히 nemos님의 글을 접하게 되었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고민의 일부분과도 겹치기 때문에 네모스 님이 "음악은 굉장히 추상적인 학문이다"라는 말이 수많은 의문을 꼬리에 꼬리를 물게 한다..
특히, 다음 글...내가 언제 어디서 저 글을 수첩에 적어 놨는지는 모르지만..이 문제의식이 아직도 해결이 되지 않아..답답함이 지속되고 있다. 아래는 이 고민을 던져 준 글~ (당최, 출처를 알 길이 없다. 강연에서 받아 적었는지, 아니면 책에 나오는 내용을 필사한 것인지..)
 |
|
|
|
당신이 베토벤의 5번 교향곡 <운명>이라는 음악 작품을 듣고 있다고 상상해 보라. 이 때 ‘음악 작품’이란 어떤 대상을 가리키는 걸까? 베토벤이 남긴 자필 악보일까? 하지만 미술 작품과 달리 악보에서는 적어도 미학적으로 감상할 만한 것이 별로 없다. 그렇다고 연주나 그 연주의 녹음을 음악 작품이라고 부르기도 어렵다. 연주는 그 자체가 작품이라기보다는 작품에 접근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악 작품은 구체적 악보나 공연 이상의 무엇, 즉 그것들로부터 독립적이면서 그것들을 결정하고 지배하는 추상적인 대상이라는 생각이 자연스럽다. 연주들에 공통되는 어떤 구조, 즉 소리 구조가 추상적인 존재자로 있다는 것이다. 베토벤의 <운명>의 서두 부분을 머릿속에 떠올려 보자. 구체적인 물리적 특성이 결여된 머릿속의 음악도 여전히 교향곡 <운명>이다. 또 원래의 악기에 의한 것과 전혀 다른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신디사이저 연주도 동일한 작품으로 인정된다. 그렇다면 이 모두를 동일한 작품으로 생각하게 하는 대상은 추상적인 무엇이어야 하지 않겠는가? 따라서 이 입장은 의외로 직관적이다. 내 눈 앞에 있는 책상의 경우에는 그것이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해 구체적인 책상 이상의 무엇을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음악 작품이 무엇인지 설명하기 위해서는 악보와 특정 공연만으로는 분명히 무언가 빠진 것이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책상의 이데아와 같은 추상적 대상이 존재한다고 믿지 않는 사람들도 음악 작품이 시작도 끝도 없이 영원불변한 추상적 존재라는 생각에는 동의해야 할 것 같다. 하지만 음악 작품이 작곡가에 의해 창조된다는 사실 또한 부인할 수 없다. 이 점을 고려하게 되면 음악 작품이 추상적 대상이라는 주장은 더 이상 직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게 된다. 이는 음악 작품이 무엇인가를 이해하는 일의 어려움을 잘 드러내 준다.
|
|
|
|
 |
음악은 참으로 심오하다...과연 음악은 영원불변하는 추상적 존재인가 아니면 한갖 작곡가에 의해 창조되어진 유물에 불과한가..소리의 존재는 있되 연주되지 않으면 실체를 확인할 수 없는 음악은 과연 무엇인지..
제발, 불쌍한 야무에게 가르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