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와 헤어질 시간이 됐다. 날이 저물기 때문에 헤어지려 한 게 아니다. 여전히 화창한 5월의 풍광이지만 귀갓길을 서두르게 된 건, 오랜만에 이뤄진 우리 부부의 여행(?)이었기 때문이다. ‘금속 공예가 정재식 씨가 산다는 삼막골부터 시작해서 오늘 근교를 다녀보자며 점심시간 다 되어 집을 나섰으니해 지기 전에 어디 다른 데도 한 군데 더 가봐야 할 것 같았다.

삼막골 오는 길에 그냥 지나친 추곡 약수를 들를 만했다. 우리 애들 어렸을 때 놀러갔던 추곡 약수. 이번 기회에 추억의 장소로써 찾아가볼 만했다.

그만 가 봐야겠습니다.”

내 말에 사내가 허허 웃으며 말했다.

다음에 오셨을 때는 여기서 하룻밤 주무시며 술도 한 잔 하기 바랍니다.”

사내 집 어귀에 주차돼 있는 우리 차를 조심스레 뺐다. 다시, 오던 길을 돌아갈 걸 생각하니 두려운 마음이 앞섰다. 그 비좁고 꾸불꾸불한 벼랑길. 가다가 맞은편에서 다른 차가 나타나면 정말 큰일이다.

다행히 그런 일 없이 벼랑길을 통과했다.

삼막골을 빠져 나왔다.

추곡 약수에 들렀다. 20년 전에 비해 많이 달라져 있었다. 반듯한 건물들에 포장된 도로에 주차장 시설까지. 하지만 평일이라 그런가, 인적이 없었다. 인적 없는 유원지에 오래 있을 수 없었다. 차를 돌려 부지런히 귀갓길에 올랐다.

차 안에서 아내가 말했다.

여보. 삼막골의 정재석 씨, 분명 어디선가 본 것 같은 모습이야.”

맞아. 내 생각도 그래.”

당신 젊었을 때 모습 같다는 생각이 들지 않나?”

그러네.”

그렇다. 사내는 지나간 젊은 시절의 내 모습 같았다. 직장에 매이기 싫어서 한창 갈등 많았던 나. 강에 다니며 그 갈등을 겨우 가라앉혔던 것 같다. 그럴 때 흐르는 푸른 강물을 바라보며 서 있던 와 삼막골 사내는 확실히 닮았다.

멀리 배후령 터널이 보였다. 오랜만에 내 과거의 어느 부분을 본 듯한 느낌 속에 터널을 향해 차의 가속페달을 밟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내한테 이런 물음도 던졌다.

제가 구봉산 바로 아래에서 7년째 농사짓다 보니까, 어느 때부턴지 산속 동물들과 교감이 오가거든요. 남들이 들으면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지만 사실입니다. 한 번은 까마귀하고 교감이 오간 적도 있어서 거 참!’이란 제목으로 글을 써서 블로그에 올린 적도 있습니다. 삼막골이야말로 구봉산 저리 가라할 정도로 산이 깊은데 저처럼 동물들과 교감이 이뤄진다든가 하는 게 없습니까?”

교감까지는 모르겠고 다만 친근감 같은 게 있지요. 예를 들어 구렁이가 저희 집에 나타날 때, 아내는 기겁을 해서 멀리 달아나버리지만 저는 그럴 때 자리를 지키고서 구렁이가 숲으로 무사히 되돌아가도록 안내해주지요. 하하하. 여기는 특히 구렁이들이 많이 출몰하는데 제법 큽니다.”

큰 놈은 얼마만합니까?”

가장 큰 놈은 1미터 80센티쯤 됐지요.”

그렇다면 사람으로 치면 어른만 한 놈이다. 사내 아내가 기겁을 해서 멀리 달아날 만하다. 사내가 얘기를 이었다.

여기는 동물들이 주로 밤에 찻길에 나왔다가, 목격되곤 합니다. 여기 오는 찻길이 구불구불하지 않지 않습니까? 그래서 밤에 차를 몰고 오다보면 구불구불한 한 굽이를 지날 때마다 노루·오소리·산토끼 등과 교대로 마주칩니다. 하하하.”

사내는 웃으며 얘기하지만 나는 상상만으로도 오싹했다. 상상해 보라. 캄캄한 밤에, 비좁고 구불구불한 외진 벼랑 위 찻길에서 맞닥뜨릴 산짐승들을. 그 중에는 분명 뱀도 있을 것이다.

그런 마주치는 동물들 중에 뱀도 있지 않습니까?”

그렇죠. 뱀도 있지요.”

내가 전에 차 몰고 산속 아스팔트길을 가다 보면 찬피동물인 뱀이 자기 체온을 높이느라 배 깔고 누워 있는 모습을 볼 때가 있었다. (‘뱀이 배 깔고 누워 있다니란 표현이 아무래도 이상하다. 하지만 팔다리가 없는 놈이라서 그렇게 표현할 수밖에.) 그런 뱀들이 차의 출현에 알아서 피신도 하지만 그렇지 못해 차바퀴에 깔려죽는 경우도 있었다. 납작하게 터져 죽은 그 끔직한 광경. 뱀은 여하튼 살아 있으나 죽어버리거나 웬만하면 맞닥뜨릴 일이 없기를 바라는 기분 나쁜 존재다. 그런 뱀에게 갈 길을 안내한다는 삼막골 사내.

어느 한밤중, 외진 삼막골 벼랑 위 찻길에서 맞닥뜨린 뱀이 알아서 다른 데로 가주기를 바라며 정차(停車)한 사내 모습이 선하게 그려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길로 계속 가면 어디가 나옵니까?”

이 또한 내가 사내한테 던진 물음 중 하나다. 사내 집을 찾아오느라 좁고 꾸불꾸불한 벼랑길을 힘겹게 지나왔는데 다시 그 길로 해서 돌아갈 걸 생각하니 영 마음이 편치 않았기 때문이다. ‘돌아갈 때는 편하게 이 삼막골을 빠져나가는 다른 길이 있지 않겠나기대했다. 기대는 무참하게 깨졌다. 사내가 이렇게 대답했기 때문이다.

없습니다. 그냥 끝나는 길이거든요.”
 

 

젠장, 그 좁고 꾸불꾸불한 벼랑길을 다시 차 몰고 가야 할 일을 생각하니 마음이 무거웠다. ‘가다가, 행여 맞은편에서 차가 오면 어떡하나?’하는 걱정이 뒤를 이었다. 그리 되면 한 쪽의 차는 후진해서 상대편 차와 교차되는 여유 공간까지 가야 하는데 그 아슬아슬한 교차라니 상상만으로도 식은땀이 흐를 것 같은 거다.

 

 

사내가 말을 이었다.

길이 소양호 물가에서 끝나죠. 그러니까 물가에서 배를 탄다면 소양호로 해서 순식간에 댐 선착장에 도착해 춘천시내로 쉬 갈 수 있다는 말입니다. 하하하.”

그렇다. 끝나는 길은 새로운 길의 시작이었다. 막히면 열렸다. 궁즉통(窮則通). 5월의 햇빛이 찬란한 날 오후, 나는 궁()의 어디메쯤에 와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 때는 청평사 인 줄도 몰랐을 뿐더러, 그저 김밥 먹으러 이 먼 데까지 낡은 버스 타고 와야 하나?’하는, 선생님들에 대한 원망뿐이었다. 하긴 그 즈음의 청평사는 625 동란으로 폐허가 돼 방치되다시피 한 상태였다. 그런 폐허를 소풍 장소로 정했다니 선생님들도 꽤나 소풍 갈 곳이 마땅치 않았나 보다. 소풍이 끝나고 다시 툴툴거리는 버스로 귀갓길에 올랐을 때 얼마나 찻길이 험하고 나쁜지 모처럼 먹은 김밥을 다 토해내는 줄 알았다. 그 때 험한 찻길 가까이 무심하게 흐르던 강물이 얼마 후 댐이 들어서면서 소양호가 된 게 아닌가.

 

 

소양강댐 공사. 1967년에 시작돼 1973년에 마무리된 대형 공사였다.

사내가 내 상념을 깨트렸다.

소양강댐 공사를 현대건설에서 맡았잖습니까? 저희 아버님이 현대건설 직원이었죠. 어머니는 함바식당을 하셨고요. 그래서 사실 저는 태어나기는 경기도 오산인데 부모님 따라 초등학교를 여기 학교를 다니게 된 거죠.”

그렇다면 정재식 어린이는 저 아래 학교(폐교)에서 공부 잘하는 어린이였을 게다. 초등학교에서 공부 잘하면 반장이나 부반장이다. 수업이 시작될 때마다 반 아이들에게 전체 차렷. 선생님께 경례!’구령하던 반장 어린이가 어언 지천명의 나이가 돼 황폐해져가는 모교의 지붕을 내려다보며 사는 게 아닐까.

 

사진제공 = 수자원공사

 

 

소양강댐(昭陽江dam)은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과 동면의 소양강에 위치한, 북한강 유역의 유일한 다목적 댐이다. 1967년 4월 15일 착공되어 1973년 10월 15일 완공되었다. 흙과 돌로 만들어진 사력(砂礫) 댐으로, 댐의 길이는 530m, 높이는 123m 이다.

이 댐이 완공되면서 저수량 29억 톤의 인공 호수 소양호가 생겨났다. 호수 전체를 한 바퀴 도는 유람선과 청평사로 가는 유람선이 운행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울대 국어국문과를 나왔으면 서울 어느 학교에서 국어교사를 하는 게 맞지 않습니까? 그런데 이 산 첩첩한 삼막골에서 금속공예를 하다뇨? 어떻게 된 겁니까?”

내 직설적인 질문에 사내가 답했다.

물론 처음에는 서울 강남의 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쳤지요. 그러다가 3년 만에 사표 내고 나왔습니다. ‘학급 담임을 몇 년 만 맡으면 아파트 한 채를 장만한다, 그 이상한 분위기에 도저히 적응을 못하겠더라고요.”

그 때부터 금속공예에 매달린 겁니까?”

아니죠. 다른 하고 싶은 것을 하다가또 다른 하고 싶은 것을 찾아 하다 보니 어느 새 저도 모르게 금속공예를 하고 있더라고요 하하하.”

이 세상에 자신이 원하는 대로 사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그리 살려고 해도 발목을 잡는 문제들이 한두 가지가 아닌데특히 먹고 사는 문제의 어려움. 그런 어려움에 개의치 않고 산 첩첩 삼막골에 살면서 금속공예하며 사는 사내다.

 

 

정작 나를 놀라게 한 건 사내의 다음 말이다.

저 폐교가, 제가 1학년 때부터 3학년 때까지 3년 간 다녔던 초등학교가 아니겠습니까?”

그렇다고요?!”

제가 다닐 때에는 저 아래, 지금은 수몰된 자리에 있었지요. 소양댐이 지어지면서 흐르던 강이 소양호가 되자 학교가 여기로 올라온 게 아니겠습니까?”

 

 

어쨌든 폐교가 된 자신의 어릴 적 초교(상평초등학교 청평 분교) 지붕을 내려다보며 사는 삼막골 사내. 무덤덤하게 그런 말을 하는 사내 앞에서 나는 갖가지 기억들의 소용돌이에 휘말려버렸다. 1964년에 나는 춘중 1학년 학생이었다. 그 해 가을 이 부근 청평사로 소풍 왔었다. 소양댐이 지어지기 전이라 강물이 흘렀다. 강변 비포장도로로 완행버스 타고 소풍 왔었다.

 

 

상평초등학교 청평 분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