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젊은 날에 아폴로 싸롱이 있었다.

 

춘천에서 못 보던 얼굴이었다. 서울 쪽 청년이 아니었을까? 먼 훗날 TV 드라마겨울연가의 배용준처럼 고급털목도리를 둘렀고 공지천에서 스케이트 타다 온 건지 스케이트 갑()도 그 끈이 한쪽 어깨에 걸려 있었다.

아폴로 싸롱 지하공간에 그가 나타난 것은 72년 겨울, 어느 날이다. 당시 겨울에는 공지천이 꽁꽁 얼어서 춘천은 물론이고 서울 쪽의 사람들까지 와 스케이트를 타다가 돌아가곤 했다. 대개, 상류층 젊은이들인 듯 보기 드문 자가용차까지 몰고 와 그렇듯 겨울 낭만을 즐기던 것이다.

어둑한 지하공간에서 별나게 하얀 그의 얼굴은 그가 춘천 사람이 아닌, 서울 사람이라는 걸 직감하게 했다. 그런데 그 날 낮에 공지천에서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그는 초저녁에 나타나 벽 옆 빈자리에 혼자 앉아 밤늦도록 음악을 듣고 있었다. 우리는 못 보던 얼굴의 서울 청년이 그런 모습으로 같은 공간에 있어서, 처음에는 괜히 긴장해 있다가 (촌스럽지만 일종의 텃세 심리가 아니었을까?) 서서히 긴장이 풀려가고 있었다. 그 때 기타 소리 전주에 이어 가야 할 사람이기에하며 장현의 석양이 흘러나왔다.

가야 할 사람이기에 안녕,

안녕이라고 말해야지

돌아설 사람이기에 안녕,

안녕이라고 말해야지

울먹이는 마음일랑 나 혼자 삭이면서

웃으며 말해야지 안녕 안녕

가야할 사람이기에 안녕,

안녕이라고 말해야지.”

이어서라라라라라하는 합창반주가 흘러나왔다. 그 청년의 숙인 어깨가 들먹이기 시작한 건 그 때부터다. 그는 소리 죽여 흐느꼈다. 마치 장현의 석양노래를 오열의 기점으로 삼은 둣이 말이다. ‘석양은 대중가요치고는 매우 길다. 5분은 넘는다. 5분 넘는 석양이 끝나고 다른 가수의 노래가 이어졌는데도 그의 숨죽인 오열은 그칠 줄 몰랐다.

무슨 사연일까?

그러다가 우리(나와 친구 녀석)는 지하공간을 나왔다. 돌이켜보면 얼마나 멋대가리 없는 우리였던가. 혼자 낯선 춘천의 어느 지하공간에서 흐느끼고 있는 그 청년에게 우리가 다가가 옆의 빈자리에 말없이 앉아주는 것만으로도 적지 않은 위로가 되었을 텐데그저 통금에 걸릴까 봐 그 공간을 나와 버렸으니 말이다.

그 시대는, 청춘의 낭만까지 자제시켰던 통금의 시대였다고 하면 변명이 될까?

 

내 젊은 날에 아폴로 싸롱이 있었다.    

 

이 수필에 나오는 아폴로 싸롱은 70년대 춘천 시내 한복판에 있었던 음악다방의 이름입니다. 당시 젊은이들이 커피 한 잔을 시켜놓고서 종일 팝송과 송창식 같은 우리나라 젊은 가수들의 노래를 감상했습니다. 흡연은 허락됐지만 음주는 허락되지 않았던 나름의 멋진 음악 감상실이었습니다. ‘싸롱’이란 이름 때문에 요즈음의 젊은이들에게 오해 살 수 있어서 뒤늦게 무심이 밝히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 젊은 날에 아폴로 싸롱이 있었다.

 

서양 가수들의 팝송만 흘러나왔던 게 아니다. 송창식의창 밖에는 비 오고요, 바람 불고요노래도 스산하게 흘러나왔는가 하면그렇다. 춘천 출신 대형 신인 가수 김추자의 님은 먼 곳에도 뜨겁게 흘러나왔다.

김추자는 사실 가수로 등장하기 전에도 그 이름이 춘천에서는 알려져 있었다, ‘춘천여고 응원단장 김추자로 말이다. 60년대 말 춘천 시내의 여러 고등학교가 참가하는 체육대회가 공설운동장에서 열리곤 했는데 그 때마다 춘천여고 응원단장으로 앞에 나서 신나는 응원 동작으로 그 이름을 떨친 게 계기다. 춘천여고에서 응원단장을 한 여학생이 한둘이 아니었을 텐데 유독 그녀만이 유명해진 건 바로 그 이름 때문이 아니었을까?

추자라는 이름이 춤을 추자의 준말처럼 여겨졌던 거다.

데뷔 처음월남에서 돌아온 김상사를 불렀을 때에는 신인 여가수인가 보다 하는 정도의 인식이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랑한다고 말할걸 그랬지하면서님은 먼 곳에노래가 나오면서 우리 고장의 대표적인 여학교 춘여고 출신이며 더구나 공설운동장 체육대회 때 화려한 몸짓을 보이던 응원단장 김추자라는 사실까지 뒤늦게 부각되었다.

딱히 즐길 거리도 없던 그 시절, 춘천의 갈 곳 없는 젊음들이 아폴로 싸롱 지하공간에땅 밑에 고인 물처럼 모여 김추자 그녀의 애절한 노래에 시름을 달랬다. 시끄러운 음악 속에서도 고고하게 시집(詩集)을 보는 여자애나, 그 여자애한테 접근했다가 낭패를 당한 내 친구 녀석이나, 괜히 한쪽 팔을 깁스하고 날마다 문 열고 등장하던 남자애나 모두 먼 곳에 있는 님을 그리고들 있었던 게 아니었을까. 모습들은 각기 달랐지만 말이다.

 

내 젊은 날에 아폴로 싸롱이 있었다.

 

이 수필에 나오는 아폴로 싸롱은 70년대 춘천 시내 한복판에 있었던 음악다방의 이름입니다. 당시 젊은이들이 커피 한 잔을 시켜놓고서 종일 팝송과 송창식 같은 우리나라 젊은 가수들의 노래를 감상했습니다. 흡연은 허락됐지만 음주는 허락되지 않았던 나름의 멋진 음악 감상실이었습니다. ‘싸롱’이란 이름 때문에 요즈음의 젊은이들에게 오해 살 수 있어서 뒤늦게 무심이 밝히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 젊은 날에 아폴로 싸롱 있었다.

 

싸롱의 문을 열고 들어서는 순간 무대에 등장하는 배우처럼 돼 버리는 탓에, 여자애들은 대개 고개 숙인 모습으로 들어설 수밖에 없었다. 자신에게 일제히 몰리는 시선들을 의식한 행동이었다. 다만 얼굴이 아주 예쁘게 생긴 경우에는 고개를 숙이기는커녕 나 보란 듯이 똑바로 쳐들고 들어오기도 했다. 물론 극히 드문 경우였다.

그런데 그 여자애는 달랐다. 누가 봐도 아주 예쁘게 생긴 얼굴인데 늘 고개 숙이며 들어왔다. 그뿐만이 아니다. 벽 옆의 빈자리를 찾아 앉은 뒤 시집(詩集)을 한 권 테이블 위에 펴 놓고 보는 모습이었다. 어둑한 실내라 벽 곳곳에 작은 전등이 설치돼 있는데 그 빛을 이용하는 것이다. 긴 머리를 정갈하게 늘어뜨리고서 시 감상에 몰두하고 있으니 지하공간의 그 누구도 말을 붙이기 힘들었다. 차 주문을 받는 종업원마저 말을 붙이지 않는다면 여자애는 아마 100% 미동도 않는 자세였을 게다.

그 여자애는 종업원한테 주문을 말하는 대신 종이쪽지에 써서 건넸다, 항상 블랙커피 한 잔에 신청 음악은 린 앤더슨의‘Rose Garden’였다. 경쾌한 리듬으로 시작되는 그 음악이 나오면 미처 그 여자애의 등장을 몰랐던 애들까지 뒤늦게 상황을 깨닫고 예쁜 그 여자애가 어디 앉았나?’둘러보았다.

싸롱에 들어오는 여자애들은 대개 둘이나 셋씩이었는데 그 여자애는 늘 혼자 들어와 시집을 보았다.

내 친구 녀석이 가만있기 힘들었다. 음악 감상은 핑계이고걸 헌팅할 속셈으로 아폴로 싸롱에 오는 녀석이라 기회를 엿봤다. 하지만 접근조차 허용치 않는 것 같은 그 여자애의 고고한 분위기에, 한 달 넘게 망설이다가 마침내 용기를 내었다. 싸롱 오기 전 나하고 운교동 동부시장 대폿집에서 막걸리 한 잔 걸친 덕이 아니었을까?

결론부터 말하겠다. 녀석은 여자애의 한 마디 말에 두 손 들었다.

모처럼 용기를 내 그 여자애한테 다가가 말을 붙이는 것 같더니 얼마 안 돼 뒤통수를 긁으며 돌아온 녀석이 내게 털어놓은 사태의 전말이다.

내가 공손하게 말을 건넸어. ‘잠깐만 대화 좀 나눌 수 없을까요?’그러자 여자애가 고개도 들지 않고 작은 소리로 이러는 거야. ‘저는 지금 책을 보고 있거든요.’그러고는 더 이상 말을 않으니 내가 두 손 들고 돌아올 수밖에.”

나는 그 말을 들으며 녀석의 낭패를 위로해주었지만 동시에 이런 의문이 들었다. ‘이렇게 음악 소리가 요란한 곳에서 시들을 감상하다니 그게 가능한 일인가? 혹시 연출이 아닐까? 자신은 외모도 아름답지만 내면의 미()도 갖췄다고 과시하고 싶어서 말이다.’

 

내 젊은 날에 친구 녀석과 예쁜 여자애와, 아폴로 싸롱이 있었다.

 

이 수필에 나오는 아폴로 싸롱은 70년대 춘천 시내 한복판에 있었던 음악다방의 이름입니다. 당시 젊은이들이 커피 한 잔을 시켜놓고서 종일 팝송과 송창식 같은 우리나라 젊은 가수들의 노래를 감상했습니다. 흡연은 허락됐지만 음주는 허락되지 않았던 나름의 멋진 음악 감상실이었습니다. ‘싸롱’이란 이름 때문에 요즈음의 젊은이들에게 오해 살 수 있어서 뒤늦게 무심이 밝히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 젊은 날에 아폴로 싸롱이 있었다.

 

비좁고 가파른 층계를 내려가 문 열고 들어가는 싸롱이라, 다른 데 없는 특유의 장면이 있었다. 오직 한 명씩 문 열며 나타날 수밖에 없는 장면이다.

따라서 아폴로 싸롱의 문을 열고 들어서는 순간 이미 와 앉아 있는 이들의 눈길을 일제히 받을 수밖에 없었다. 흐르는 음악에 심취해 있는 모습들이었으므로 작은 거동이라도 눈길을 끌 수밖에 없었는데 그렇듯 혼자 출입문을 열고 들어서는 경우야 두말할 필요가 없었다.

과장되게 표현한다면 홀연 무대에 나타난 배우같았다고나 할까.

그렇기에 여자애(여대생이나 대입 재수생)가 그 문을 열고 나타날 때에는 부끄러운 듯 대개 고개 숙인 모습이었다. 혹 얼굴이 아주 예뻤다면 고개 숙이기는커녕 쳐들고 나타나기도 했지만 그런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남자애들은 그와 달리 괜히 날카로운 눈매를 짓거나 담배를 입에 물거나 한, 나름대로 터프한 모습으로 그 문을 열고 나타났다. 그런 남자애들 중 특이한 애가 하나 있었다. 한쪽 팔 전체를 하얗게 깁스한 환자 모습으로 짐짓 노려보는 표정을 지으며 나타나던 것이다.

그즈음 극장가를 누비던무법자 영화의 한 장면을 연상시키는 장면이었다. 악당들한테 심한 폭행을 당해 몸이 온전치 못하게 된 주인공이 복수의 날을 기다리는 바로 그 장면 말이다.

그 남자애가 지하공간에 등장할 때 톰 존스의‘I WHO HAVE NOTHING' 이 처절하게 울려 퍼지던 첫날을 나는 기억한다. 아무 것도 없는 빈 털털이지만 당신에 대한 사랑 하나만은 충분하다는 가슴 아픈 외침. 하필 그 순간 한쪽 팔을 하얗게 깁스한 모습으로 등장한남자애는 팝송 내용 속 사내가 현실로 나타난 듯한 착각마저 일으켰다.

 

그 날 하루만이 아니었다.

틀어달라고 DJ에게 신청한 애들이 많았는지 한동안 아폴로 싸롱에는 ‘I WHO HAVE NOTHING' 가 수시로 울려 퍼졌던 거다. 그렇기에 그즈음 한쪽 팔을 하얗게 깁스한 채 문 열고 등장하는 남자애는 제철을 맞은 듯 자주 그런 처절한 장면을 우리들한테 보였다. 요즈음으로 치면 무법자가 등장하는 뮤직비디오영상이 반복되는 것 같았다.

순간저 녀석이 거짓으로 한쪽 팔을 하얗게 깁스하고 이 싸롱을 오는 게 아닐까?’하는 의심이 내게 퍼뜩 들었다. 깁스야, 재료를 사다가 집에서 혼자 해도 되지 않나. 왜냐면, 그래야만 남달리 터프한 사내의 등장으로 보일 테니까.

자신을 일제히 지켜보는 눈길들 중에 여자애(여대생이나 대입 재수 여자애)들의 눈길도 섞여 있으니 그런 노력을 쏟을 만했다. 안타까운 것은 아폴로 싸롱에 오는 여자애들 수가 남자애들에 비해 극히 적었다는 사실이다.

 

내 젊은 날에 아폴로 싸롱이 있었다.

 

이 수필에 나오는 아폴로 싸롱은 70년대 춘천 시내 한복판에 있었던 음악다방의 이름입니다. 당시 젊은이들이 커피 한 잔을 시켜놓고서 종일 팝송과 송창식 같은 우리나라 젊은 가수들의 노래를 감상했습니다. 흡연은 허락됐지만 음주는 허락되지 않았던 나름의 멋진 음악 감상실이었습니다. ‘싸롱’이란 이름 때문에 요즈음의 젊은이들에게 오해 살 수 있어서 뒤늦게 무심이 밝히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 젊은 날에 아폴로 싸롱이 있었다.

 

아폴로 싸롱은 건물 지하라 지상에서의 출입이 다소 번거로웠다. 일단 건물 현관으로 들어선 뒤 함정처럼 마련된, ‘자형 층계를 천천히 돌면서 내려가야 했다. 천천히 내려갈 수밖에 없는 이유는 층계가 비좁고 가팔랐기 때문이다. 그래서 층계를 내려가기 전 걸음을 멈추고 서서혹시 층계 아래에서 올라오는 이가 없는지살펴야 했다.

층계의 끝자락에 다다르면 여닫이 싸롱 문이 눈앞을 가로막듯 나타나 그 문을 여는 순간 지하공간의 음악이 큰 파도처럼 와락 덮쳐들었다. 그 음악이 본시 잔잔한 것이었다면 그러지 않았겠지만 귀청 떨어질 듯 요란한 팝송인 경우가 잦아, 사실은 그 여닫이문에 다다르기 전 층계 내려갈 때부터 귀에 들려왔다.

 

 

심지어는 건물 밖 골목에까지 그 음악이 들려오기도 했다. 톰 존스의 ‘Delilah’‘I WHO HAVE NOTHING’ 같은 경우가 그러했다. 우리나라 토종 가수 조영남이 번안해 부른 게 있어 그 스토리가 잘 알려져 있는 Delilah. ‘자기가 없는 새에 다른 사내와 불륜을 저지른 여자를 살해하며 울부짖는 어떤 사내의 스토리였다.

“I saw the light on the night that I passed by her window”

하며 시작할 때부터 톰 존스의 목소리는 격하고 우렁찼다. 그녀 집 창가에 닿기도 전에 이미 불륜 사실을 확신한 듯한 절규다.

노래 중간에 “My my myDelilah. Why why why Delilah” 할 때는 지하공간의 딱히 갈 데 없는 젊음들이 따라 부르기도 했다. 절정은 사내가 그녀를 살해한 부분이다. “She stood there laughing. I felt the knife in my hand and she laughed no more.”

그녀가 나를 보며 웃고 서 있었는데, 잠시 후 나는 내 손에 칼이 쥐어 있고 그녀가 더 이상 나를 보고 웃을 수 없게 되었음을 깨달았다는 뜻이니, 칼로써 연인을 살해한 순간을 그처럼 멋지게 표현할 수가 없었다. 그런 뒤 톰 존스는 다시 절규한다.

“My my my Delilah. Why why whyDelilah”

구약성경의삼손과 데릴라이야기에서 따왔다는 톰 존스의 Delilah. 당시 인구가 10만을 겨우 넘은 좁은 춘천에서 방학을 맞았으니 딱히 갈 곳 없는 젊음들이, 평지의 물이 땅 밑으로 고이듯 지하공간에 모여 그렇게 시간을 보내었다.

 

72년 즈음의 그 겨울내 젊은 날에 아폴로 싸롱이 있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OcE_Lbq7JU

 

I saw the light on the night that I passed by her window.

I saw the flickering shadows of love on her blind.

She was my woman

As she deceived me

I watched and, went out of my mind.

My my my Delilah

Why why why Delilah

I could see that girl was no good for me

But I was lost like a slave that no man could free.

At break of day when that man drove away I was waiting

I crossed the street to her house and she opened the door

She stood there laughing

I felt the knife in my hand and she laughed no more.

My my myDelilah

Why why why…Deliah

So before they come to break down the door

Forgive me Deliah I just couldn't take any more.

 

I saw the light on the night that I passed by her window.

I saw the flickering shadows of love on her blind.

She was my woman

As she deceived me

I watched and, went out of my mind.

My my my Delilah

Why why why Delilah

I could see that girl was no good for me

But I was lost like a slave that no man could free.

At break of day when that man drove away I was waiting

I crossed the street to her house and she opened the door

She stood there laughing

I felt the knife in my hand and she laughed no more.

My my myDelilah

Why why whyDelilah

So before they come to break down the door

Forgive me Deliah I just couldn't take any more.

 

이 수필에 나오는 아폴로 싸롱은 70년대 춘천 시내 한복판에 있었던 음악다방의 이름입니다. 당시 젊은이들이 커피 한 잔을 시켜놓고서 종일 팝송과 송창식 같은 우리나라 젊은 가수들의 노래를 감상했습니다. 흡연은 허락됐지만 음주는 허락되지 않았던 나름의 멋진 음악 감상실이었습니다. ‘싸롱’이란 이름 때문에 요즈음의 젊은이들에게 오해 살 수 있어서 뒤늦게 무심이 밝히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