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폐허를 응시하라 - 대재난 속에서 피어나는 혁명적 공동체에 대한 정치사회적 탐사
레베카 솔닛 지음, 정해영 옮김 / 펜타그램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난이 주는 축복


이 폐허를 응시하라 - 대재난 속에서 피어나는 혁명적 공동체에 대한 정치사회적 탐사 


  미국 캘리포니아 산불이 일주일째 지속되고 있다. 사망자와 피해자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 어마가 카리브해 섬나라와 미국 플로리다에, 그 이전에 허리케인 하비가 미국 텍사스에 엄청난 피해를 안겼다. 인도네시아 발리섬에서는 아궁화산이 분화로 하루에도 천여 건의 화산 지진이 일어나 주민 12만명 이상이 대피 상태이기도 했다. 지난 몇 달간 허리케인과 지진 등 세계는 재난이 끊이지 않았다. 자연재해는 나라를 가리지 않고 속속 이어졌다.

 자연재해만이 아니다. 10월에만도 총기난사 사건이 계속 발생해 역사상 최악의 총기 난사라는 미국 라스베가스를 비롯해 스웨덴과 버지니아 주립대에서도 사건이 발생했다. 14일 소말리아 자살 폭탄테러는 수백만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세계 곳곳에서 각종 테러 역시 끊이지 않고 있다. 

  뉴스는 끊임없이 세계에서 발생한 재난을 보도하고 있다. 그러고 보면 온갖 사건 속에서 ‘재난’이 멈추지 않고 있다는 걸 느낄 수 있다. 리베카 솔닛의 『이 폐허를 응시하라』는 최악의 재난 속에서 사람들이 보인 행동을 조사하고 해석한 책이다. 100년이란 시간 동안 일어난 재난, 그 상황을 겪은 사람들은 분명 다르지만 그들의 행동에는 분명 공통의 특징을 찾을 수 있다. 리베카 솔닛은 이 점에 주목한다. 관점은 재난의 디스토피아가 아니라 유토피아, 휴머니즘 관점이다. 그리하여 이 책의 주제를 리베카 솔닛은 서론에 명시한다.


이 책은 평범한 사람들이 재난에 훌륭하게 대처한 이야기를 다루며, 그러한 대처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다룬다. 지금은 널리 이야기되고 있지 않지만, 이 주제는 최악의 상황이 닥쳤을 때 우리가 어떤 존재인지를 말해줄 수 있는 주제다.


  수많은 재난이 있었고 이로 인해 사회질서가 무너지는 일 또한 허다했다. 정신의학은 재난의 영향을 트라우마로 일컬으며 약한 인간을 가리키고, 재난 영화는 재난에 직면해 흥분하고 광폭한 모습의 인간을 주로 묘사한다. 하지만 재난 연구를 통해 리베카 솔닛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발현되는 인간본성이 있으며 두드러진 본성은 “회복력과 임기응변 능력, 관대함, 동정심, 용기 같은 것”이라 말한다.

  저자가 주로 조사한 대표적인 다섯 가지의 재난을 보면 재난이 발생 후 권력자·지휘부는  재난에 처한 사람들을 ‘문제’로 규정하며 대응 방식을 편다. 곧 이들을 폭도로 간주하며 또다른 폭력을 행사하는 식이다. 하지만 평범한 시민들은 패닉 상태에 빠진 가운데서도 점차 이를 이겨내고 무료급식소, 응급처치소를 세우는 등 다른 이를 돕고 재난을 복구하기 위한 즉각적인 활동을 한다. 이러한 이타주의의 사례는 언론에서도 자주 다루는 소재이기도 하다. 폐허 속에서는 어김없이 평범한 “영웅”들이 발생하고 이들의 동기는 재난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와 이타주의의 발현이다. 엄청난 재난을 겪은 후의 사람들은 단순히 서로를 돕는 것에 그치지 않고 좀더 구조적이고 체계적인 형태의 조직을 갖추는 것으로 나아간다. 이로써 다양한 형태의 운동조직이 갖추어지고 서로 연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이른바 ‘강력한 시민사회’로의 성장이다.

  언제나 재난에는 보통의, 시민들이 있었다. 하지만 재난 극복에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할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재난의 심각성을 부추기거나 특정한 이들을 문제시하는 방법으로 위기를 타개하려는, 프레임 전환을 활용하기도 한다. 그들은 연대의식보다 위기극복보다 그 상황에서도 궁극적으로는 자신의 이익, 정권유지를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보통의 인간에 기대어, 그들의 인간 본성의 순수성을 이타성을 믿으며 우리는 재난을 극복해 간다. 물론 소수 이기성을 보이는 사람들은 있을 지라도.


위계질서와 기존의 제도는 이런 상황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위기를 극복하는 데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시민사회는 이타주의와 상호부조를 정서적으로 훌륭하게 입증할 뿐 아니라, 도전에 대처할 수 있는 창조성과 자원을 실천적으로 동원하는 데에도 성공적이다. 대재난에는 수많은 사람이 수많은 결정을 내리는 이런 분산된 권력구조가 적합하다. 재난이 엘리트들에게 위협적인 한 가지 이유는 권력이 현장의 민중에게 넘어가기 때문이다.


  리베카 솔닛이 꼼꼼하게 조사하고 재난을 경험한 이들의 인터뷰를 통해서 이러한 특징들을 알려주었지만 사람들은 이미 알고 있었을 것이다. 언제나 재난이 닥쳤을 때 우리가 기댈 곳은 네 이웃들이었다는 점을 말이다. 인간의 선함에 이타성에 측은지심에 기대었다고 말이다. 리베카 솔닛은 이러한 시민들의 연대의식, 공동체에 대해 “축제” 또는 “혁명”과 같다고 말한다. 재난이 주는 축제로 재난상황에서 제대로 된 제 역량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넘어서서 조작을 일삼는 지도층이나 체제를 무너뜨린다는 점이 있다. 체제의 변화, 이것이 바로 혁명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긴박한 순간들에 대하여 두 가지 사실을 강조할 수 있다. 첫째, 재난은 가능한 것,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잠재되어 있던 것을 입증해 준다. 우리 주변 사람들이 가진 회복력과 관용, 다른 종류의 사회를 즉석에서 꾸려가는 능력이 바로 그것이다. 둘째, 재난은 우리들 대부분이 연대와 참여와 이타주의와 목적의식을 얼마나 간절히 갈망하는지를 보여준다. 그렇기에 재난 속에 경이로운 기쁨이 있는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prenown 2017-10-16 09: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결국은 휴머니즘입니다. 재난속에서 피어나는 자발적인 시민들의 연대와 관용, 그리고 인류애.

모시빛 2017-10-16 19:48   좋아요 0 | URL
넵. 동감입니다. 자발적 시민들의 연대로 상까지 받은 국민들이 있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