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올해 들어 전자책을 주로 사서 읽고 있다. 정확히 읽는 것 보다는 사놓고 있다. 참...  스트레스를 받으면 걸림돌이 없이 해버린다. 전자책으로 출간이 되었으면 하는 것들이 있는데, 아무래도 학술서적은 그런걸 기대하긴 힘들까?   전자책이 좋은 것 중 하나는 만화 볼때다. 만화는 금방금방 넘어가는데 한 권 끝내고 다음권 드는 행위도 시간이 아까운 탓이다. 물론 몇초 차이지만.  이전에도 한번 말했던가.  아래께 부턴 센스 앤 넌센스를 읽고 있다. 진화론 내의  다른 방향의 관점? 학파? 를 다루고 있다. 재미나며, 이 책에서 다룬 진화론 약사는 좋은 것 같다.  다윈의 종의 기원 부터 진화론의 발전과정을 이야기 하는게 가장 흔한 방식인데 반해 이 책은 진화론의 오용사례를 말하며 진화론을 이야기 해서 오히려 잘못 빠질 수 있는 오류를 경계하게 만든다.    얼마전에 읽은 1분과학에서 윌슨이 동성애에 말했던 이야기를 읽었는데,  그 이야기가 에드워드 윌슨의 문제작 <사회생물학>에 있었다는 사실은 이제야 알았다.  원서로 읽는건 당연히 불가하고 완역을 막연하게 기대하고 있는데, 가망이 있는 건지 모르겠다.


2. 7월에 정기 인사발령으로 부서를 옮겼다.  이전 부서에 비해 일 자체는 줄었다고 봐야겠지만, 뭐 난 여전히 힘들다; 사람에 여전히 적응 안되는 것도 있고. 일 자체도 처음 해보는 거라 긴장이 되어서 더 그런 듯도 싶다.  어딜가건 육개월은 몸이 아파가며 적응을 하는게 습관이 된 듯 하다. 가능한 그전에 끝내도록 해보는 수밖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4월에 좀 들추다가 멈춘걸 기억하고 자기 전에 2칙을 읽다. 그때도 뭐 일이 있었나. 다시 읽기 시작한다.


7칙 <완전한 사람은 평범할 뿐이다>

 하! 소풍을 가건, 파티에서 흥을 즐기건 결국은 일상으로 돌아간다.  일상은 평범한 듯 하면서 버거운 상대다.  그런 일상을 묵묵하게 해나가는 일. 그런 평범함 속에 사람은 완성된다. 나는 그런 그런 묵묵함과 평범함을 가지고 싶다. 난 항상 느끼지만 너무 나약한 것 같다.  어머니가 항상 잘 해왔으니 잘 할거라며 기운을 주시지만. 부족함을 항상 느낀다.


8칙<아무리 바빠도 느긋하라>

 아무리 급박하더라도 그 속에서 느긋함을 가져야 일을 제대로 치를 수 있다.  적당한 긴장감과 스트레스는 필요하지만 그 이상은 해만 된다.  아, 물론 난 전혀 그렇지 못해서 고민이지만.  도대체 작은 일에도 왜 이렇게 어려워 하고 스트레스를 받을까.  그리고 느긋한 속에서도 긴장감을 잊지 말라. 방심하다가 한대 맞을 수도 있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분 과학 - 세상에서 가장 놀라운 꿀잼 과학 이야기
이재범 지음, 최준석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4개의 주제를 웹툰으로 재미있게 풀어 내고 있다. 너무 단순화해서 설명하는 측면도 없지는 않을 것이지만, 쉽게 전달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근래에 과학서적을 읽어서 그렇게 낯선 주제는 없지만, 이 책에서 정리하면서 도움을 받은 면은 좀 있다.  


 두번째로 다루고 있는 ‘운동’에서  멍게를 예로 드는데 유생일때는 헤엄쳐 다니다  어느정도 커니면 바위에 정착하여 살게 되는데, 이때는 멍게는 자신의 뇌를 먹어 버린다.  즉 움직일 필요가 없자 많은 운영하는데 많은 품이 드는 뇌를 먹어 치운 것이다. 그리고 코알라의 경우 두개골의 크기에 비해 뇌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다고 한다.(60%가 뇌가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40%는 뇌척수액이 있다고 한다.)

 이 예가 말해주는 것은 뇌는 우리가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것이라는 말이다.  지금 보다 직접적인 생존의 위기가 있었을 시절에는 어떤 지점에서 거대한 육식동물이 자주 다니는지 어디에서 딸기가 나는지  잘 살펴야 했다.  어떻게 움직여야 생존에 도움이 될지 살펴야 했고 그러기에 많은 품이 드는 뇌가 필요했던 것이다. 그러면서 우리는 운동을 너무 과소평가(운동=다이어트)하고 있다고 한다.  요즘에는 여러 편리한 기기 탓에 움직이는 활동이 확연하게 줄어 들고 있는데,  최근 치매 인구 증가율이 11.7퍼센트에 달한다는 연구결과를 연과지으며 운동이 단순 살을 빼기 위해서가 아니라 뇌를 위한 것이란 점을 강조한다.   

이렇듯 새로운 사실을 알려주는 것도 있지만 알고 있는 사실(멍게의 예 등)을 생각못하고 있던 사실과 연관지어 새로운 진실의 가능성을 알려주는 재미가 있었다. 

인상 깊은 주제를 고르라면 위에 언급한 ’운동‘과 함께 우유, 야옹, 커피 등이다.  우유가 생각보단 위험할수도 있다는 점을 알려주어서  자주 마시는 라떼도 좀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물론 우유를 꾸준히 마셨을때 이야기겠지만 그래도..). 그리고 커피를 마시면 피곤함을 덜 느끼는 이유를 새롭게 알게 되었다. 

피곤함을 느끼게 하는 기제가 몸을 많이 움직일때 생기는 아데노신이 아데노신의 수용체와 결합되는 것이데, 커피의 카페인이 아데노신과 비슷하게 생겨 대신 아데노신 수용체에 결합하면서 피곤함이 없어진다는 것이다. 다만 카페인으로 인해 갈 곳 없어진 아데노신을 수용하기 위해 아데노신 수용체가 더 많이 생기고 그래서 더 많은 카페인이 필요하게 되는 악순환에 빠질 수도 있다고 한다. 그것에 대한 팁으로 여기선 커피냅(커피+낮잠) 이야기 한다.  카페인이 우리 몸에 들어 와서 효과가 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20분 가량인데, 일단 커피를 마시고 20분간 낮잠을 잔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피로를 해소하여 아데노신의 수치도 낮아진다. 그러는 사이에 낮잠 전에 마신 카페인이 아데노신 수용체를 찾아간다. 그런식으로 몸을 속여 카페인을 늘리게 되는 악순환 대신에 피곤함을 해소 할 수 있느 팁도 알려 준다. 실현가능한 것인지, 대부분의 사람에 적용이 되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재미있는 사실이다. 

굳이... 구입할 필요는 있나 싶고 근처 도서관을 이용하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띠를 조여라! 청춘의 유도 대항전 1
카와이 카츠토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캠퍼스 라이벌로 나왔을때도 본적이 있고,  주인공만 친미의 얼굴로 뒤바꾸어 해적출간한 책을 본 기억도 난다. 벌써 오래전 추억이다.  이제 가능하면 전자책으로 사고자 하고, 만화는 또 그냥 전자책으로 사는게 보기에 더 편해서 이 책도 정발된 걸 알고 나선 전자책 출간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이렇게 나와 있어서 구입했다. 


1권을 보는데...  거의 다 내용이 기억났다.  즐겁게 보고 좋은 추억으로 가지고 있는 것들도 생소할 때가 있기도 한데 전혀 그렇지는 않은 것을 보니 예전에도 정말 재미있게 봤던 모양이다.   내가 유도를 좋아하는 것도 아니지만 이 만화를 재미있게 보았고 지금도 재미있게 보는 이유는 청춘의 이야기라서.  풋풋함과 상큼함, 뭐가 앞에 두근거리는 일이 있을 것만 같은 친구들의 이야기라니. 어찌 즐겁지 않을 수 있을까. 


두근거린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ransient-guest 2023-07-23 04: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원래 일본어는 띠를 꽉 묶어! 라고 알고 있는데 띠를 조여라! 보다 더 생동감 있어 좋은데 말이죠 ㅎㅎ
 
검은 얼굴의 여우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85
미쓰다 신조 지음, 현정수 옮김 / 비채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만에 책을 읽고 리뷰를 써본다. 가면 갈 수록 시간은 없어진다. 실질적으로 마음을 독서에 쓸 수 있는 시간.  심지어 이런 장르소설을 읽는데도 쓸 힘이 없다.  


 이 작품의 작가는 나와는 영 타율이 안 맞는 작가였다. 처음에 <작자미상>이란 책으로 인상 깊게 접했으나 그 이후로 접한 이 작가의 작품은 나와는 영 안 맞았다. 기본적으로 호러에는 크게 관심이 없던 탓도 크긴 했다. 그러다가 간만에 만난 이 책은 재미있게 읽었다. 


작품의 주인공은 당대 지식인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인데 자신의 조국이 말한 이상과 실제는 다르며,  여러가지 전쟁의 참상으로 방황을 하는 인물이다.  그래서 시대의 밑바닥에서 시작한다는 마음으로 탄광촌에서 일을 하게 된다.  주인공이 탄광촌에서 탄광부로 일하기 시작하는 과정에서 부터 당대의 사회상이 담겨져 있다.  뒤에 참고문헌을 보니 많은 공부를 한듯 보였다.   그러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살인사건들에 주인공이 개입을 하게 되면서 벌어지는게 주된 뼈대긴 하지만 탄광촌에서 흔히 믿는 미신적 요소가 첨가되면서 호러적 분위기도 당연히 감돈다.   거기다 사건의 전개에는 당대 조선과 일본의 폭력적 관계에서 비롯된 사회적 요소들도 더해져 있다.  추리소설로서는 아쉽고 호러적인 측면은 내가 안 질리고 볼만한 수준.  일단 이야기라는 측면에선 나쁘지 않다. 


   그리고 일반 일본인이 일제강점기의 시대를 다루거나 하면 찝찝한데    주인공이가 주인공 근처에 있는 등장인물들이 이에 대해서 단순 동정적인 차원은 넘은 인식을 가지고 있어 그렇게 불편하진 않았다. 


후속작도 번역되어 나와 있어 구입은 해 뒀는데 언제 읽을지는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