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담 -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만나다 대담 시리즈 1
도정일 외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몇 달 전부터 좋은 책이라고 이리저리 추천해주는 것을 많이 보았고, 마침 이 책을 살 때 쿠폰행사를 하고 있었던 것 같은데, 겸사겸사해서 사게 되었는데, 읽기는 8개월이 흐르고 나서야 집게 되었다. 기대가 큰 만큼 심심했던 구석들도 없지는 않았다. 


 솔직히 읽기 전이나 읽고 난 후에도 인문학과 자연과학에 어떤 괴리가 있는지는 실감이 나지 않는다. 그렇구나... 하는 정도? 그리고 다루고 있는 것들이 많아서 그런지 다 소화 시키지 못한 것 같다. 뒤에 쟁점들을 정리 해둔게 있어서 그걸 참고해서 다시 한번 보면 좋을 것 같기도 하다. 그렇기는 해도 개인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던 주제에서는 좀 더 자세히 보기는 하였는데, 제일 흥미롭게 봤던 것이 동성애에 대한 부분. 주로 사람들이 말하기를 동성애를 보고 반자연적이라 하는데, 그러한 근거가 되는 자연 쪽에서는 다양하고 유연한 섹슈얼리티가 있다고 하는 것이 매우 통쾌한 느낌마저 들었다. 동성애에 대해서는 특별히 옹호하는 입장은 아니지만, 야만이라 억압하고 놀리고 조롱하는 꼴을 보면 참을 수가 없어서 말이지.


 이 책이 맺고 있는 결론부분처럼  다양한 생명체와 문화가 공존하는 호모 심비우스의 세계가 되면 좋겠다는 아주 간단한 감상만을 가지고 끝냈다. 이런 책이 ‘그런 책’이 되어버리고 넌 어차피 경쟁이 될 능력이 안되니까 시험이나 쳐서 공무원이나 해먹으라는(그러면 이것도 힘들지 않나?-_-), 아주 비아냥거리는 말을 들으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니코마코스 윤리학 새 번역본이 나왔다길래, 오늘 학교에서 오는 길에 구입. 사는 김에 탁석산의 글쓰기 1,2,3권 이어서 나온 4,5권도 사려 했으나, 안 보여서 못 샀다.

아직 <대담>은 반 정도만 읽었는데, 이 책 마저 다 읽고 다음 주(정도일듯?;)부터 시작해야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늘빵 2006-11-10 0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거 땡겨요. 탁씨 4,5권은 다 읽었는데 리뷰를 아직 못쓰고 있어요. 넘 바빠요.
 

 

 

 

 

 

 

동물농장은 다 읽었고, 뭘 읽을까 하다가 대담을 잡았다. 지난 3월달 쯤에 구입했었는데, 이제서야 잡네.  오만과 편견도 아직 못보고 있는데... 여튼 지금도 꾸준히 팔리고 있는 듯한 모양이고... 평도 좋으니까 기대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태우스 2006-11-05 2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만과 편견, 저 읽었어요. 하지만 전 대담을 아직 시작도 못하고 있다는 거....
 
동물농장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
조지 오웰 지음, 도정일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렸을 적에는 조지오웰의 <동물농장>을 시튼동물기 이었던가……. 그런 류인줄 알고 있었더랬다. 당연히 시간이 지나가면서 동물농장의 대충 내용은 알게 되었지만, 여전히 그런 이미지가 있었던 건 사실이었다. 그래서 ‘한번 직접 책을 읽어봐야겠다’ 라는 생각은 가지고 있어도 표지에 있는 오웰의 얼굴만 봐도 지루해지기에(--;) 볼까 하다가도 나중에 읽어야지 하면서 미루어 두다가 오늘에서야 읽게 되었다. 분량을 얼마 되지도 않았고, 재미도 있었기에 금방 읽었다.  결국 느낀 건 모르면 당한다는 것.


 언제나 그와 같은 부패를 막기 위해서는 견제와 감시가 있어야 되는데, 복서와 다른 동물들의 맹종이 결국 돼지들의 부패를 키워준 꼴이 되었지 않은가.  그런데 지금은 100년 전보다도 더 교활해진 것 같다. 사람들이 의식이 깨어날수록 그런 기만의 수단은 좀 더 교활 해지기 마련인건가? 세상 참 피곤 하지만, 속는 것도 썩 유쾌한 것도 아닌걸…….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yonara 2006-11-09 1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왜 이리 고전으로 밀고 나가시는지... ㅎㅎㅎ
밑에 쓴 리뷰의, 얄팍한 '나무'같은 책에 질리셨는지... ㅎㅎㅎ ^^;

가넷 2006-11-09 19: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잡히는 대로 읽다 보니 그렇네요.,(--;) 나무는, 아무래도 베르나르에 질려서 더 그런것 이였지만, 특별히 얄팍한 책에 질리지는 않았어요.
 
파우스트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1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정서웅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우스트라 하면 유명한 대문호 괴테의 필생의 역작이라고 많이 알려져 있어서 다들 제목과 작가의 이름은 다들 알고 있다. 고전으로 널리 읽히고 있기에 한번쯤 읽어 볼까 하는 생각은 들었지만, 쉽게 잡히는 책은 아니었다. 그러다가 마침 작품 해석(을 빙자한 그냥 감상문;)을 해서 제출하라는 과제에 냉큼 파우스트를 선택해서 읽었었다. 1,2부로 되어 있고 내가 주로 읽던 형식이 아니라 약간 낯선 감도 있었지만, 젊은 날에 초고를 완성 하였다던 1부는 생각보다 재미있었다. 신과 악마의 내기부터 시작하여 파우스트의 악마와의 계약과 함께 젊음을 다시 얻고, 한 여자를 낚는다거나(?) 하는 것들. 다른 어떤 해석은 접어두고 보아도 나름 매력 있는 이야기 전개가 아닌가.  2부터는 뭔지 모를 이야기들이 많아서(아마도 내가 무지 한 탓에 그런 것일 테지만;) 그냥 눈 뜨고 뭔가가 지나간 느낌으로 읽은 부분이 많다.;  그리고 2부 중반부터는 아주 지겹기 까지 하다. 그리고 시시한 결말이라.


 다 읽고 나서 생각해보면 파우스트의 모습이 상당히 공감이 가더라는 것? 이중적인 욕구를 가진 모습과 방황하는 모습들을 보면 딱 나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도 별 것 없는 것 같기는 하다.


 하지만 과연 마지막에 노년의 파우스트 처럼 ‘멈추어라 너는 너무도 아름답다’ 라며 진리와 구원을 얻게 될까? 정말로? 그럴 것 같지는 않은데…….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yonara 2006-11-03 1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고전을 펼치면 늘 그 무게감에 짖눌려서 제대로 읽지를 못하겠더군요.
그래서 맨날 가벼운 스릴러나 자기계발서적만...
전 고전을 진지하게 읽는 사람들이 부럽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