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장 - 은유, 기계, 미스터리의 역사
샌디프 자우하르 지음, 서정아 옮김 / 글항아리사이언스 / 2019년 11월
평점 :
요즘에는 의사가 쓴 책이라는 문구로 소개되는 책들이 제법 된다. 의사가 쓴 책이라고 하면 흔히 건강서적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다 그렇지는 않다. 이 책도 자신이 겪은 에피소드와 엮어서 심장에 관련된 의학기술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서술한 것이다. 심장이라는 몸의 기관은 예전부터 감정과 영혼등이 거하는 장소라 간주해왔다. 그러한 의미에서 심장을 비유하여. '~는 ~의 심장'이라는 식으로 많이 지칭되고 한다. 물론 지금은 그러한 역할을 심장이 하지 않는 다는 점은 알고 있지만 그러나 생물학적 심장과 은유적 심장은 여전히 중첩되는 부분이 있다.
책의 초반에 소개 되는 다코쓰보심근증이라는 것은 '상심증후군'이라고도 불리며, 연인과의 이별, 배우자와의 사별과 같은 극도의 스트레스나 슬픔에 반응하여 심장이 급격히 약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증세는 심장마비와 유사하다.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정상적인 심장에 아드레날린 수용체가 분포하는 양상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아드레날린 수용체 분포의 밀도가 높은 곳일 수록 감정에 취약하다는 것이다.
'심장은 사실상 정서적 삶의 기록지다.(p.36)'
이런 은유적 심장은 그것을 기계로 보는 관점이 서서히 확산되면사, 그 신비는 다소 사라지지만 여전히 심장이라는 곳은 신비스러운 기관이다. 책의 분량 대부분이 2부인 '기계'에 할애 되어 있으며, 심장에 대한 의학적 접근 가능성의 발전을 보여준다. 그 과정에서 다소 소름끼치는 과정을 거치는 경우도 많았다. 자기실험을 한다거나 사형수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다거나 하는... 그런 집요함이 기술의 진보를 이루었고, 인간에게 질환에 대한 해방을 다소간 제공하고 있긴 하지만.
이런 이야기는 위에서 언급한 측면이 마음에 걸리는 것을 제외하고는 재미있었지만, 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저자의 에피소드가 중간중간 뒤섞이며 이해되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지만 그 기술의 기본 원리나 의학에서 차지하는 의미는 어느정도 선에서 알 수 있을 뿐이다.
책의 말미에서 저자는 이러한 기술적 진보가 현재는 답보 상태에 있으며 이러한 정체에 활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패러다임을 전환시키는 것이며, 그것은 심장질환에 있어서 사회심리적 요인을 강조하여 보자는 것이다. 심장의 건강을 위하여는 여러 건강한 생활습관이 당연하게 필요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필요한 것은 용기다.
은유로 말해지는 것과 비슷하게 '상처받은 심장은 사람을 죽게 할수 있으며', '실존의 고통이 우리를 억누를 때 심장은 삶을 주도하고 방어하는 기관으로서 빠르고 인도적 죽음 선사하는 안전판이 되어주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