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지난 2년여의 시간동안 몸담았던 네이버 책 커뮤니티 북꼼이 오늘부로 문을 닫았다. 마지막 애정을 담아 남긴 쓴소리는 그저 허공의 울림으로 끝났고, 그곳에 누군가 남긴 댓글을 확인하려 카페메인에서 글의 링크를 눌렀을 때, 그곳은 폐쇄된 카페라는 메시지가 떴다. 폐쇄 사실을 결국 이런 방식으로 확인하게 된다. 예상치 못했던 일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허망함은 어쩔 수 없다.

북꼼으로 처음 선정됐을 때, 나는 매우 기뻤다. 온라인상에서의 커뮤니티 활동이 그리 익숙지 않았기에,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커뮤니티, 라는 것 자체가 신선하게 느껴졌었고 그 사실만으로도 벅찼다. 열심히 해보겠다며 처음으로, 운영진을 해보겠다고 손도 들어봤고, (정말 나답지 않은 짓이었다.) 이곳이 아니었으면 만나지 못했을 좋은 인연들도 정말 많이 만났다.

그럼에도 북꼼의 마지막을 알리는 글에 나는 그동안 고마웠어요, 라는 말을 남길 수가 없었다.

처음, 이곳에서 만난 사람들은 모두 나와 비슷한 기분이었던 것 같다. 적어도 내가 만나고, 소통했던 사람들은 그랬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이렇게 모여있다는 것의 신선함. 즐거움에 조금은 들떠 있었다. 그래서 우리는 함께 많은 것을 기대했고, 이 곳을 정말 좋은 곳으로 만들어나가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그래서 이것 저것 즐거운 일들을 많이 도모하고 계획했었다. 하지만, 이 곳을 만든 사람들은 우리와 기대가 달랐다. 우리가 한달에 두권 받는 책의 리뷰를 잘 생산해내주고, 매달 올라오는 오늘의 책 리뷰도서 리스트에 안정적인 리뷰를 공급해주는 사람들이길 바랐다. 그 이외의 활동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비판의 목소리에는 소통, 혹은 개선의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

결국 여러가지 크고 작은 문제들에 부딪쳐 그곳을 좋아하던 초기 멤버의 대다수가 그 곳을 떠나게 됐다. 그리고 나도 곧 그곳에 대한 애정을 버렸다. 그들은 내게 그곳을 좋아하는 한명의 사람이기를 바랐던 것이 아니라, 네이버,라는 곳에 컨텐츠를 공급해주는 1명의 리뷰어, 컨텐츠 생산자이기를 바랐다는 것을 너무 늦게 깨달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북꼼의 운영은 오히려 운영은 순조로웠다.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도 없었고, 우리와 재미있게 놀아달라고 투정부리는 사람도 없었다. 운영진들과 힘들게 만들어놓은 북꼬미언 의견창구 같은 제도는 당연히 남아있지 않았다. 지정도서의 리뷰도 잘 생산됐다.

그런데 사람들은 더 이상 그 곳을 찾지 않았다. 조회수가 0 혹은 1인 글들이 파다했으며, 서로 누가 누군지도 모르는, 그런 곳이 돼버렸다. 그 곳에 여전히 애정을 가지고 있던 몇몇 사람들은 이제 무안해서 간단한 글도 못남기겠다는 얘기를 했다. 그 곳에 애정을 가지고 글을 남기는 일이 오히려 어색한 기현상이 벌어졌다.

그렇게 얼마간 북꼼을 운영한 후 네이버는 오늘의 책 리뷰어를 따로 뽑는다는 공지를 냈다. 많은 사람들은 그 때 북꼼의 운명을 예감했는지도 모르겠다. 우리가 신기가 있어서인가, 물론 아니다, 그간 네이버에게 북꼼의 존재가 무엇이었는지를 알고 있던 사람들에게 그것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그리고 얼마 후, 북꼼을 폐쇄하겠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일언반구, 의견을 구하는 절차도 없었고, 전체 공지메일이나 쪽지를 날리지도 않았다. 나를 비롯한 몇몇 사람들이 글 혹은 덧글로 불만을 표현한 후에야 겨우 공지메일을 날렸을 뿐, 그 외의 목소리에 대해서는 듣는 시늉도 하지 않았다. 아쉬움을 표현하는 많은 사람들의 인사에도 따뜻한 한마디조차 없었다. 그저 정해진 날짜가 되자 모두 탈퇴시켜야 폐쇄가 가능하오니 강제탈퇴를 양해바란다는 쪽지가 왔고, 그 다음날 카페가 사라졌다. 그게 마지막이었다. 아무리 스스로 비참해진다고 하더라도, 토사구팽, 이라는 단어를 떠올리지 않을 수가 없다.

공교롭게도 현재 네이버는 네티즌으로부터 굉장한 질타를 받고 있다. 그들의 오만함을 지적하는 목소리에 대해 그들은 '억울하다'라고 항변하고 있다. 그들이라면, 억울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은 든다. 그것은 그들이 사이트를 운영하는 데 지극히 실리적이며, 유저를 사람으로 대하는 철학 자체가 결여돼 있기 때문이다. 그런 자세라면 네티즌의 질타의 이유는 모를 수 밖에 없다. 그러니 억울할 수 밖에. 하지만 북꼼의 폐쇄는 그 원인이 그들에게 있음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유저들을 대함에 있어, 그들을 단순히 컨텐츠 이용자/생산자라 여기고, 그러므로 그에 대한 대안이 생길 때에는 언제든 버릴 수 있는 존재라 여기는 것. 그렇기에 그들이 그 곳에 애정을 갖고 '사람'으로서 남겼던 시간과 추억들은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치부해버릴 수 있는 것. 이러한 철학의 부재가 이 모든 일들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건 아닌가 싶다. 그저 좋은 컨텐츠를 많이 생산해내주거나, 혹은 주는대로 고분 고분 잘 이용해주길 바라는 것.

이런 모습이 현 정부와 닮아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나뿐일까? 국민들이 그저 말 잘 듣고, 시키는대로 순조롭게. 그렇게 살길 바라는 것, 그래서 가끔 당근 같은 것 (북꼼에 비유하자면 책 두권) 던져 주면서 그저 필요한 것만 쏙쏙 빼낼 수 있는 대상으로 삼는 것. 비판의 목소리는 듣지 않는 것. 겸허한 듯 사과하지만 결국은 이전과 변함없이 행동하는 것. 정말 소름이 끼칠 정도로 닮아 있다. 그리고 그들의 내실을 채워주는 컨텐츠 생산자로서의 나를, 고분고분 컨텐츠를 이용하는 유저로서의 나를 바랐듯, 그저 적절히 소비해주고, 적절히 세금을 내는 것이, 그들이 바라는 국민으로서의 우리의 역할일 것이다.

그렇다면 다음단계는? 북꼼이 거쳐온 모습이 어느 정도는 우리의 이미 도래한 듯한 미래를 보여주고 있지 않는가. 더 이상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지 못한다면 아무렇지도 않게 버려질 수 있는 존재. 오버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만, 지난 한달 조금 넘는 시간동안, 북꼼의 모습을 보며, 네이버의 모습을 보며, 현 정부가 하는 태도를 보며, 돌아가는 모양새와 근저에 깔린 기본 철학(이라는 말이 좀 아깝지만)이 어쩌면 이렇게도 비슷한가, 라는 생각을 지속적으로 해왔었다.

사실 멍청하게도, 13일이 다가오기 전, 생각을 돌이켜주길 바라는 마음도 있었다. 그래도, 내가 한때 좋아했던 곳이 이런 곳이라고 믿고 싶지는 않은 순진한 희망. 가능성이 0.00001%도 아닌 0%라는 걸 알면서도 괜스레 한번 더 기대해보는 것. 어제 마지막 글을 남기고도, 혹시나, 혹시나, 생각을 돌려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었다. (나로서는 이명박과 비슷하다는 게 최고의 독설이었건만 ;;;;) 그렇지만 기대는 무너졌다. 이렇게까지 했는데 반성하지 않는 이명박 정부에게 기대하지 않듯, 그들에 대한 기대도 접었어야 했는데, 내가 어리석었다.

그리고, 나는 네이버에 올렸던 모든 리뷰를 지웠다. 30개 가량의 도서 리뷰와 50개 가량의 영화 리뷰를. 유저의존도가 높은 검색컨텐츠 기반으로 성장한 네이버이기에, 결국 그 기반을 무너뜨리는 건 이 방법 뿐이라며, 매우 귀찮은 절차를 거쳐야 함에도, 나는 한시간 내내 그 글들을 모두 지웠다. 더 이상 당신들에게 컨텐츠 생산자로 남아있지는 않겠다며. 물론 내 컨텐츠가 없어도 네이버는 문제 없이 운영이 될 것이다. 그렇지만, 혹시나 누군가 나의 의견에 공감하길 바라는 마음, 그리고 그저 내가 작은 시작이었길 바라는 마음이 내 안에는 강하게 남아 있다. 뭐, 그래도 공룡 네이버는 끄떡도 하지 않을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댓글(23)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순오기 2008-07-16 06: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이런 가슴 아픈...명박스런 네이버라변 뒤끝이 좀 짱이어도 상관없어~ 웬디양이 좋아요! 나도 뒤끝 백만년? 순오기잖아~ ^^ 나라도 밤새도록 하나씩 찾아서 지웠을거얌~ 토닥토닥~

웽스북스 2008-07-16 20:15   좋아요 0 | URL
그죠그죠 정말
리뷰가 더 없는게 한스러웠어요
더 지웠어야 됐는데

끝장 뒤끝!

Jade 2008-07-16 1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웬디양님 뒤끝은 저도 만만치 않아요 ㅎㅎ (근데 왜 주제가 뒤끝으로 ㅋㅋ)

웽스북스 2008-07-16 20:15   좋아요 0 | URL
방점에 뒤끝에 있는거 맞아요 실은 ㅋㅋ

2008-07-16 10: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웽스북스 2008-07-16 20:17   좋아요 0 | URL
리뷰로그는 전체 비공개로 돌리시면 되긴 하는데
문제는 리뷰로그에 리뷰를 쓰면 그게 네이버 책 쪽으로 자동등록이 되서 검색이 된다는거에요. 그러니까 번거로우시더라도 네이버 책 쪽으로 들어가셔서, 내가 쓴글 보기를 누르시고, 하나하나 누르셔야 해요= 이게 좀 귀찮은게 이걸 눌러도 내글을 다시 찾아야 된다는거 -_- 그래도 건승하십셔! 무사 삭제!!

(혹시나 다른 분이 삭제방법 궁금해하실까 하여 이 덧글 공개해놓을게요)

2008-07-16 20: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비로그인 2008-07-16 11: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이버 심하군요. 굳이 폐쇄까지 한 이유가 궁금하네요. 어이없으셨을듯...

웽스북스 2008-07-16 20:18   좋아요 0 | URL
관리하기 귀찮은 거죠 뭐 -_-

마노아 2008-07-16 16: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 사정이 있었군요. 정말 네이버스럽고 명박스럽네요. 웬디님 토닥토닥! 님좀짱이에요!

웽스북스 2008-07-17 12:51   좋아요 0 | URL
앗 괜찮아요 마노아님 ^_^ 님좀고마워요~

2008-07-17 12: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07-17 12: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07-17 12: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07-18 01: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사과나무 2008-07-18 0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달에 북두권... 北斗拳 왜 나는 이런 말장난을...
여기 이렇게 숨어 계시는 줄은 꿈에도 몰랐소.

웽스북스 2008-07-18 01:11   좋아요 0 | URL
아아아아아 제가 역시 제가 존경하는 말장난의 대가다워요 저는 한밀이에게 유머를 배웠지만 언제나 민간사님의 고차원적 유머를 동경하고 있었던거 아시죠? 이런 무릎을 치게 하는 개그라니!!!! 감탄!!!!

반가워요 ㅋㅋ 안그래도 네이버 블로그에 여기 링크해놓아야하나 말아야하나 막 고민하고 있었는데 말이죠 ㅎㅎ

사과나무 2008-07-18 1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이버에서 구축한 관계 때문에 남아 있긴 하지만
요즘엔 싸이클럽 쪽으로 옮겨야 하는 게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들고
베틀 준비 클럽도 만들어야 하는 게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들고...

웽스북스 2008-07-18 13:19   좋아요 0 | URL
베틀준비클럽이요? 개그? ㅋㅋㅋ
제가 여기 알라딘 쪽에 계신 맞수를 한명 알아요, 조금 다르긴 하지만 ㅋ

그런 의미에서, 알라딘으로 넘어오세요!!!

사과나무 2008-07-18 18: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배틀(battle)이 아니라, 베틀(loom)이요. 베짜는 베틀.
베틀.. 언젠간 꼭 이루고야 말리!

웽스북스 2008-07-19 23:47   좋아요 0 | URL
으흠, 뭔가 심오한...ㅋㅋ
그걸 왜 준비클럽을 만드시는 거에요?
으흠, 제가 이해력이 부족한가...

구단씨 2008-07-19 09: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웬디양님 여기서 다시 보게 되네요..^^ 뻑공입니다 기억하실런지..
북꼼을 다녀가면서도 애정이 웬디양님만큼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북꼼이 사라진다는 것은 많이 아쉬운 일이었지요..혹시나 했지만 결국은 문을 닫았군요...

웽스북스 2008-07-19 23:47   좋아요 0 | URL
반가워요 뻑공님
제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나쁜 기억력의 소유자이지만
뻑공님은 당연히 기억하죠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