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ow-White and the Seven Dwarfs: A Tale from the Brothers Grimm (Paperback) - 1973 Caldecott
랜달 자렐 지음, 낸시 에콤 버커트 그림 / Square Fish / 198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러스트는 정말 10점 만점인데 내용이 봐왔던 백설공주 결말과는 좀 달라서 별로-_-;;;

 

 읽다보니 점점 왕비가 불쌍해지는 동화라고 할까... 자기 딸도 아닌데 자신보다 이쁘면 괜히 시기하게 되는 게 여자의 본성 아닌가? (죽이려고 한 건 너무 극단적인 선택이긴 하지만;;) 요즘 심야치유식당이라는 책을 보고 있는데 그 안에서도 나와 비슷한 생각이 나왔다. 이쁜 여자가 많은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아등바등 거울의 눈치까지 봐가며 노력하는 왕비. 하지만 그녀의 노력은 그 누구도 알아주지 않는다. 그런데 백설공주는 난쟁이들의 밥과 침대도 다 훔쳐가는데도 끝끝내 이뻐서 살아남는다. 정말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가 없다 ㅠㅠ 아니 그것도 참 억울할 텐데 이 책에선 심지어 왕비에게 마법구두를 신겨서 춤추다 죽도록 만들어버린다 ㅠㅠ

 앞에서도 말했듯이 이 책은 특히 알록달록한 것을 좋아하는 여자애들이 들고 다닐 만한 책이다. 저 표지에 있는 백설공주의 모습을 보아라. 디즈니에서 뿌리박힌 그 뽕빨단발 이미지가 아니다. 그리고 인물 얼굴의 주름 하나하나마저 굉장히 세밀하다. 왠지 기독교 그림체가 물씬 풍기지만 (안 그래도 오늘 버스 정류장 앞에서 이 책을 보고 있는데 어떤 할머니가 '학생 기독교 믿어?'라고 물어봤다... 씨ㅂ...) 이 동화에 대한 추억이 있는 어른이라면 고이 소장할 만한 물건이긴 하다. 이 책이 백설공주가 아니라 '미녀와 야수'였다면 내가 당장 질렀을 것이다 ㅋㅋ

 

 

Who's been ~ing 문구의 변형형태들이다.

Who's는 아무래도 Who has를 줄여서 그렇게 표현한 것이 아닐까 싶다.

백설공주가 의자에 앉아서 음식을 다 먹고 나서 잠이 든 후이니 현재로는 완결된 형태일 수밖에... ㅎ

eat off of ~는 '~ 위에 있는 무언가를 게걸스럽게 먹어치운다'는 뜻이다.

 

 김정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The Pied Piper of Hamelin
로버트 브라우닝 / Project Gutenberg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Children should not have to grow up in a place where there is no honesty, where promises can be broken so easily and where greed and wastefulness rule.

 

 

 

 주제 넘는 말을 좀 해보겠습니다. 이 책은 꼭 구입하십시오.

 별 다섯 개가 아닙니다. 별 다섯개 플러스 알파 다섯 개입니다.

 장난이 아닙니다. 제가 인간보다 책을 더 좋아하는 케이스인데요, 왠만한 책을 이렇게 소개하는 경우도 별로 없습니다.

제가 25년 인생에 있어서 별 만점 알파 다섯 개를 준 경우는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몽테크리스토 백작>밖에 없었습니다.

학원에서 한 번 쓱 읽고 돌려주기 너무 아까운 책이었습니다.

 아래에 책을 구입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이 책을 한 번 보시면 구입할 수밖에 없으실 겁니다.

 http://www.maillife.co.uk/view/product/maillife_catalog/362/BER8051

 

 주인공은 부모가 살아있는지도 죽었는지도 모르는 천애 떠돌이이다. 그는 하멜린 변두리에 있는 쓰레기산에서 살면서 구걸을 하다가 다리 병신이 되어버린다. 그의 옆에서 같이 지내고 보살펴 주는 엠마 덕분에 간신히 목숨을 보존하고 있다. 그가 하는 일이라고는 망보기, 그리고 피리를 불면서 구걸하는 것 뿐이다. 어느날 쓰레기산에서 대형 쥐들이 쳐들어오자 그들은 하멜린으로 떠내려오게 되지만, 하멜린 사람들은 그 아이들을 때리고 욕하며 개를 풀어 괴롭힌다. 더이상 숨을 곳이 없게 되자 궁여지책으로 그들은 쥐를 때려잡기 시작한다. 그들이 목숨을 걸고 쥐와 싸우는 것을 본 하멜린 사람들은 고아들을 쥐 퇴치용으로 부려먹는다. 그리고 그런 하멜린에 피리 부는 사나이가 나타난다. 그는 어떻게 고아들을 포함한 모든 아이들이 살 만한 세상을 만들 수 있을 것인가...!

 이 책을 읽고 다시 반문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현재 아이들이 잘 살 수 있는 나라인가? 아니, 적어도 아이들이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나라인가?

 솔직히 난 우리나라 학교에서 이런 것만 가르치는 듯하다고 생각한다. "정직하면 손해본다, 약속지켜봤자 배신당한다, 튀지 않아야 사회생활이 좋아진다." Paul 선생님이 말했듯이 길가에서 영어 좀 썼다는 죄로 맞고 다니는 세상이다. 본인도 유치원 시절 skate를 skate라고 발음했다는 죄로 친구들에게 놀림을 당했던 기억이 있다. 딱히 화를 내지는 않았지만, 내가 그 때 어떤 생각이 들었는지 무서우리만큼 선명하게 기억하고 있다. '아, skate는 스케이트라고 불러야겠구나. 그래야 애들 사이에서 이상한 취급을 당하지 않겠구나.' 솔직히 이 학원을 다니면서 정말 절실히 후회하고 있다. 어차피 이상한 취급 받을 거, 그냥 도전할 걸 그랬다. 공부와 영어책 읽기는 내가 제일 좋아하는 일이고, 내 유일한 취미이자 특기라고 할 수 있는 일이다. 그 때 이후로 지금까지 난 학교에서 줄곧 평범하게 살려고 했고, 그만큼 내 머리와 혀는 퇴화되어 버렸다. 난 왜 그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추락하려 했는가.

 '내 아이는 나처럼 살게 하지 말아야지.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게 밀어줘야지.'라고 언제나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가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음은 내가 제일 잘 알고 있다. 난 살아도 한국에서 살 거고, 죽어도 한국에서 죽을 거다. 한국의 모든 곳을 내 다리로 누벼보고, 한국에 있는 사람들을 마음에 새긴 뒤에야 한국에서 떠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 이 사회에서 내가 만일 결혼해서 아이가 생긴다면... 글쎄. 적어도 지금 한국 학교의 현실만은 절대 보여주고 싶지 않다.

 피리부는 사나이는 주인공에게 하멜린을 아이들이 살 수 있는 곳으로 만들어달라고 부탁한다. 하멜린의 시장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들이 일년에서 하루 넘게 정말 치열하게 노력한다. 내 미래의 아이는 아직 태어나지 않았다. 내가 꼰대가 될 때쯤에도 태어날 수많은 아이들이 에델바이스가 피어난 어느 깊은 산골에서 아직 잠들어있다. 내가 할 수 있는 한 모든 노력을 기울여 아이들을 포함한 모든 노약자들이 잘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 것이다. 그래서 난 요즘 '주간경향'과 '녹색평론'을 보고 있다. 짬짬이 환경운동이나 인권운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투표에 참여하고 있다.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나 자신의 변화 뿐만 아니라 나라 정책의 변화도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무상급식정책같은 것만 실행되도 굶주림에 지친 아이들이 학교에서만이라도 먹을 수 있고, 공부에 집중할 수 있다.

 지금 나는 매우 행복하다. 다섯 손가락으로 꼽을 만하지만 진정한 친구도 생겼고 애인도 있다. 그러나 밤에 잠을 자다가도 과거의 장면이 떠올라 눈물범벅이 된 채로 깨어날 때가 가끔 있다. 가끔 오래 전에 겪었던 폐쇄공포증이 뻥, 하고 터져버릴 때가 있다. 내 마음 속 깊은 분노와 어둠이 날 지배하려고 할 때가 있다.

 적어도 사람들이 나같은 일을 당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진심으로 그렇게 생각한다.

 

 P.S 쓸데없이 잡설이 길어져서 단어장은 시험 끝내고 정리;;; 너무 말이 많았습니다...

 

 

언젠가 우리는 쉬게 될 거에요.

- 연극 바냐 아저씨 중 마지막 씬에서 소냐의 대사.

 

<단어장>

 

short- (말)퉁명스러운

rubbish- 쓰레기

scavenge- 쓰레기 더미를 뒤지다

ermine- 하얀동물 종류의 모피

lame- 절름발이

shuffle- 한쪽 다리를 질질끌다

locust- 메뚜기

hurl- 비난을 퍼붓다

bay- 개가 끙끙거리는 소리를 내다

eaves- 처마

invasion- 침략

occupation- 점령

nip- 꼬집다

gutter- 시궁창

agtate- 마음을 뒤흔들다

lanky- 흐느적거리듯 움직이는

jester- 어릿광대

serene- 고요한

nook- 고요한 장소

cranny- 구멍

cavalcate- 행진

 bereft- ~을 상실한

spruce- 가문비나무

ledge- 절벽에서 튀어나온 바위

indignation- 분개

 

김정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eowulf (Paperback) - Verse Translation
Michael Alexander / Penguin Classics / 200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위에 있는 책이 아니라 밑에 있는 이 만화를 읽고 후기를 쓴 것입니다.

아무리 뒤지고 또 뒤져도 이 그림을 찾을 수가 없어서 ㅠㅠ

의외로 베오울프 꽤 얄샹하게 생겼죠?

한 끼로 햄버거 대여섯개 쳐묵쳐묵할 것 같은 근육질 캐릭터가 아니라서 안심이었어요^^...

 

  유명한 시인 하디가 베오울프를 번역하면서 노벨상을 탔죠. 제 블로그에 가면 베오울프의 후기가 적혀 있습니다. 주소만 올리고 다른 잡설은 접겠습니다. http://vasura135.blog.me/80146901607

 생각보다 전투씬이 매우 액티브했고, 그란델을 필요 이상으로 잘 그린 듯합니다. 전반적으로 어두운 만화 분위기에 맞춘 나레이션도 인상적이었고요. 옛날이야기를 할 때 주로 나올 듯한 썰풀이가 제법이네요. 그리고 예전과 달리, 죽기 전에 자신이 획득한 금화를 보려고 한 베오울프를 약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 들었습니다.

 그렇지만 아직도 씁쓸하네요. 그란델을 죽임으로서 시작된 용사의 전성기가 한 인간의 눈먼 욕심으로 인해 끝나다니.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인간들을 사랑하고 지키는 것이 진정한 용사의 마음가짐 같습니다. 전 언제 저 지경에 도달할까요?

 

김정원

 

 

<단어장>

 

shun- ~을 꺼리다

swamp, fen- 소택지

fastness- 요새

majestic- 당당한

slew- slay(죽이다)의 과거

allegiance- 충성

exploit- 위업

forge- 용광로

braggart- 허풍선이

cloak- 가면

compel- ~를 강요하다

wanton- 무자비한

scope- 식견

denizen- 거주민

succumb- 복종하다

cub- 동물의 새끼 or 새끼여우사냥

respite- 유예

infest- ~으로 들끓다

lair- 짐승의 굴

combat- ~에 반항하다

dint- 힘

hoard- 저장

deteriorate- ~을 악화시키다

custody- 보관

appease- ~을 달래다

feud- 원한

wield- ~을 휘두르다

daunt- ~을 위압하다

oath- 멩세

pyre- 장작더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r Jekyll and Mr Hyde (Paperback) Usborne Classics Retold 5
John Grant,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지음 / Usborne / 2007년 1월
평점 :
품절


 

Evils didn't just go away because you wanted them to.

 

 

아무리 찾아봐도 이 책 표지는 나오지 않아서 따로 찍은 책의 인증샷.

지킬의 표정이 단연 압권이다...

 

 지킬 박사와 하이드를 전부터 보고 싶었지만 어릴 적엔 무서운 것을 싫어했었고, 나이가 들었을 땐 왠지 손에 잡히질 않아서 읽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학원에 이 책이 꽃혀있길래 틈나는 대로 내내 읽어보았다. 책이 얇은 편이지만 생소한 단어들이 좀 많아서 고생했었다;;; 모르는 단어들이 하도 많아서 여기에 다 적을 수 없다. 부끄럽다 ㅠㅠ  (그러나 에드가 앨런 포의 왠만한 단편보다는 쉽다는 말을 덧붙이고 싶다.) 은근히 구어체가 많고 묘사가 풍부한 책이었다. 원문 그대로에서 풍겨나는 포스라고 해야 할까. 여러 모로 원문으로 읽지 않았으면 큰일날 뻔했다.

 모두가 아실 것 같지만 대충 지킬은 자신을 실험 대상으로 쓰다가 하이드를 만들어 버렸다. 젊었을 때 잠시 의사일와 방탕을 겸한적이 있었던 지킬은 나이가 들어서도 그 때의 시절을 계속 그리워한다. 결국 과학의 힘으로 순수한 선과 순수한 악을 분리해낼 궁리를 한다. 결국 그는 하이드라는 또 다른 캐릭터를 자신의 안에서 창출해냈다. 여기에서 지킬은 순수한 악을 자신에게서 몰아내려 했다고 거짓말을 하지만, 이 고민은 결국 자신의 명성을 스스로 버릴 용기가 안 났던 그의 소심한 성격에서 시작된 것 같다. 

 흔히 지킬과 하이드가 한 사람의 몸 안에 동시에 존재하는 현상을 정신분열증으로 이해하기 쉽지만 좀 더 전문적으로 들어가보자면 이 현상은 중다성격이다. 복합성격이라고도 한다. 정신분열증은 망상이나 환각 등의 증세를 보이지만, 중다성격은 한 개인이 철저하게 구별되는 전혀 다른 성격을 나타낸다고 한다. 또한 한 성격이 나타나는 동안에 다른 성격은 잠재되어 있는 중이라고 한다. 이 책뿐만 아니라 <이브의 세 얼굴>이라는 영화도 있는데, 그 것 또한 중다성격 장애가 어떤 것인지 잘 보여주는 영화라 한다. 개인적으로는 기시 유스케의 <13번째 인격>이라는 책도 추천해주고 싶다.

 

 

이 책도 한 번 손에 잡으면 뗄 수 없는 흑마법같은 책이다.

서평은 여기에! http://vasura135.blog.me/80096898820

 

 원래 이런 으스스한 책을 좋아하지만, 이 책도 에드가 앨런 포의 <검은 고양이> 다음으로 재밌었다. 읽는 내내 긴장하면서 본 보물같은 책이었다.

 

P.S 흠. 혹시 더 소개해주실 책이 있나요? '정신분열증 말고' 해리성 이중인격 장애에 관련된 책이...

 

또 P.S

 

"Ms. Grey…"
"Please, call me Andrea," the woman smiled in a friendly fashion.
"MS. GREY," Jessica spat back. "Do you understand why the state is charging you with fraud?"
"I rather got the impression it was because you wanted them to."

 Witness For The Defense라는 제목의 어느 글에서 찾았습니다.
 여기도 보면 문맥상 "네가 (사기꾼같은 내 모습을) 원했기 때문에 그렇게 되었다고 표현하는 게 낫겠군." 이라는 뜻으로 해석이 됩니다.
 그리고 보통 특별하게 동사가 등장하게 될 경우엔 to 다음에 동사가 와요.
 "These people are gathering together because you wanted them to be there." 이렇게요.
 언뜻 보면 저 위엣 글의 뒤에는 '~이 되다'라는 뜻의 (be) 동사가 생략되었을 수도 있겠군요.

 

김정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t's a Dog's Life, Snoopy (Paperback)
찰스 M. 슐츠 지음 / Ballantine Books / 2001년 4월
평점 :
품절


I never knew love could be so much trouble.

 

 

명언이다.

 

 찰리 브라운은 운수가 더럽게 없는 배경인물이다. (만화에서조차 주인공은 스누피다.) 위에 올려진 사진에 대한 설명을 더하자면 이렇다. 찰리 브라운은 빨간머리 여자아이를 짝사랑하고 있고, 그 아이에게 짝사랑을 전달하기 위해 윙크를 한다. 그러나 빨간머리 아이가 눈치채지 못한 건지 아니면 찰리 브라운이 마음에 안 드는지 모르겠지만 그 시도는 통하지 않고 결국 선생님이 양호실에 찰리 브라운을 보낸다. 결국 안과를 찾는 상황까지 오자 가뜩이나 걷기 싫어하는 찰리 브라운은 이 사실에 대해 매우 불편해한다. 

 

 

이렇게 되지 않은 걸 다행으로 생각해야지, 찰리 브라운!

미국에 얼마나 소송이 많은데! 성희롱은 중죄야!

 

 참 많은 걸 생각하게 하는 만화이다. Paul 선생님은 이 책이 상당히 철학적이라고 말씀하셨다. 하지만 내가 보기에 이 만화는 또한 상당히 정치적이기도 하다. 미국어의 속어, 스누피가 쓰여질 당시의 유행어 등도 살짝씩 반영했기 때문에 미국 사회를 이해하지 않고선 소화하기 힘들 것이라 생각된다. 아무튼 신문에서 연재될 법한 짧고 소소한 만화가 이렇게 깊은 의미를 담고 있는 경우 자체가 드물 것이다. 머리가 다 크고 나서 읽어보니 이해하지 못했던 내용들이 새롭게 다가와 나를 한참동안 생각하게 했다.

 

 P.S 주말동안엔 <지킬과 하이드>에 도전할 생각이다. 월요일까지 다 읽을 수 있을진 모르겠지만 노력해보겠다 ㅎ 

 

김정원

 

<단어장>

 

royalty- 저작권

fraction- 분수

reciprocal- 상호간의

squadron- 비행중대

poll- 선거

squirrel- 다람쥐

gratify- 기쁘게하다

stall- 멎게 하다

valediction- 고별사를 말하는 대표학생

salutatorian- 내빈에 대한 환영사를 말하는 대표학생

claustropobia- 폐소공포증

nail- 못

banter- 농담하다

shag- 야구에서 공을 잡아 던져주다

legion- 부대

trivia- 하찮은

enzyme- 효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