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러브크래프트 전집 1 ㅣ 러브크래프트 전집 1
H. P. 러브크래프트 지음, 정진영 옮김 / 황금가지 / 2009년 8월
평점 :
바로 그때, 옆방 수술실에서 소름끼치는 비명 소리가 들려 왔다. 지옥의 문이 활짝 얼려서 저주받은 고통의 울부짖음이 쏟아져 나왔다고 밖에는 그 혼란을 설명할 길이 없다. 그 상상할 수 없는 불협화음은 살아 있는 생물체에서 나오는 극한의 공포와 절망을 담고 있었다. 그것은 도저히 인간의 목소리라고 할 수 없었다. 인간이라면 그런 소리를 낼 수 없다. 해부대에 시신이 놓여 있다는 생각도 잊은 채, 나와 웨스트는 겁에 질린 짐승처럼 시험관과 램프와 증류관 따위를 내동댕이치고는 밖으로 뛰쳐나가 정신없이 어두운 시골길을 질주했다. 마을이 가까워지면서 우리는 밤새 술을 마시다가 그제야 귀가하는 술꾼 행세를 했지만, 그럼에도 매순간 입 밖으로 부서지는 비명을 완전히 억누를 수는 없었다.

관련 미화 중 제일 마음에 드는 짤 ㅋ 저자는 이 작품을 쓰레기로 언급했다는데 완전 내 취향이다. 원작에 충실한 편인 영화도 있다는데 궁금함.
인간 혐오가 있다고 들었는데 책을 보면 동물 혐오는 없었던 거 같다. 벽 속의 쥐를 보면 깜씨는 주인은 계속 살려낸다. 벽 속의 쥐는 이승열의 영미문학관으로 한 번 들어보는 거 추천한다. 이승열이 이런 걸 아주 잘 해요. 개인적으로 검은 고양이 소설을 한 바퀴 꼬아 패러디 잘한, 굉장한 수작이라 생각한다(그러나 내 취향은 어디까지나 리애니메이터이다.). 문제는 사람이죠.
깜씨라는 이름 때문에 인종차별 논란이 있었다고 하는데, 난 그건 아니라고 봄. 인간을 혐오하는 명칭을 동물에게 붙였다고 하나, 이는 동물혐오라고 볼 순 없음. 항상 음침한 소설만 쓰는 러브크래프트가 유머가 출중해서 어느 날 흑인을 묘하게 비꼬는 것도 아니라서. 정작 이 깜씨라는 고양이가 활약을 한다고 해서(주인만 아니라 모리스의 목숨도 살리려 시도함) 흑인 미화의 의도가 보이는 것도 아니잖음? 톰 소여를 언급한 스친 말대로, 본인도 인종차별 단어라는 걸 인식도 안 하고 만든 명칭일 수 있음. 톰 소여를 지어낸 작가는 인종차별 반대주의자였음.
다만 러브크래프트에게는 약간 식인에 대한 문제의식이 보임. 실제로 식인을 하는 원주민이란 아주 소수였음. 그리고 식인은 증오에서 나온 의식이라기보단, 오히려 아주 사랑하고 존경하는 사람에게서 그의 능력과 정신을 계승받으려는 의식이었음. 라이벌에 대한 감정이라고 보면 좋을듯. 그러나 러브크래프트의 왜곡되었으며 그 어떤 지인의 충고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는 강한 인식으로 인해 훌륭한 소설들이 태어났으니 그도 그 나름대로의 삶을 살아냈다고 봐도 될 듯.
93세의 노인인데 크툴루 신화에 나오는 것 중 하나를 마법 영창으로 물리쳤다는 주제는 인상깊었음. 표면으론 온갖 인간혐오가 나왔으나, 여혐은 드물고 특히 더니치 호러처럼 노인이 영웅으로 등장하는 경우도 있음. 마술사 마법사는 개인적으로 별로이지만.. 자연을 개척하는 어떤 마술주의를 연상하게함. 그리고 마술을 시행하는 주체는 결국 자연소재를 인용하는 인간임. 결국 크툴루 신화도 인간찬가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