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음 한국사 : 16세기, 성리학 유토피아 - 조선 2 민음 한국사 2
한명기 외 지음, 문사철 엮음 / 민음사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민음한국사의 두번째 출간된 책 [16세기, 성리학의 유토피아]를 읽었다. 전 편과 마찬가지로 묵직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세련된 편집으로 인해 가독성이 좋았다. 두 권째 읽다보니 제목이 다시 눈에 들어온다. 그랬다. 15세기의 조선의 절정은 때가 일렀고, 16세기의 조선은 성리학의 시대였다. 때가 이른 조선의 절정은 그 시기를 그리워하게도 만들었고 성리학의 국가인 조선의 모습은 조선을 굳건하게도 만들었지만 명분만을 좇아 도리어 조선을 초라하게 만든 것은 아닌가 싶은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유토피아'라는 말이 살짝 서글픈 느낌이 드는 것은 그런 이유였다.

 

15세기에 이어 성종에 대한 재인식을 하게 되었다. 사극 드라마나 귀동냥으로 들은 성종의 모습은 실제 성종의 업적에 비해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것은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 임금으로서의 성종의 능력에 대하여 무한한 궁금증이 생긴다. 더 많이 알려지면 좋겠다.  16세기는 세계사적으로 볼 때 많은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연산군의 등장으로 내상은 입었지만 조선은 임진왜란에 이르기까지 외침 한 번 없었다는 점이 외국의 변화 모습과 비교했을 때 신기했다. 16세기의 조선은 '성리학의 시대'라고도 하고 '사화의 시대'라고도 하는데, 여러 사화들을 겪으면서 나라 안의 기틀을 성리학으로 단단히 하느라 미처 국제정세를 살피지 못한 점이 책을 읽으며 새삼 안타까웠다. 어쨌거나 성리학을 강화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부계 사회의 특성이 조선 땅에서 자리잡아 내상 치료는 그럭저럭 잘 해낸 것 같았다. 여자로서 그런 성리학의 수용이 마딱찮은 것도 사실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사상가들을 배출해냈다는 사실만 보자면 가치나 의미도 큰 것이 사실이다. 다양한 사상들이 다양한 시각에서 배출되고 존중되었더라면 더 좋았을 텐데 권력을 탐하면서 그러지 못했다. 붕당이 붕당 자체로 나쁜 것이 아니라 권력을 탐했기에 나빠졌다는 생각을 했다. 지금도 마찬가지가 아니겠는가!  기득권을 차지하기 위해 전란을 부추기거나 부추기려는 세력이 그때에만 있는 것은 아닐 터, 씁쓸하다. 그런 면에서 성리학의 발달은 조선을 유지하게 된 원동력이기도 했지만 조선을 도태시킨 원인이기도 했다.

 

선조 대에 이르러 왜적이 쳐들어왔을 때 명나라가 조선이 일본에 지는 척 한게 아닌가 의심할 정도로 터무니없이 무너지는 현상은 그런 이유에서였을 것이다. 이이 한 사람만 강병을 주자한 것이 아닐 것인데 묵살하려는 정계의 의도가 그런 결과를 만들었을 것이다. 15세기를 읽으며 한 사람의 인물을 뽑자면 망설임없이 세종을 뽑았듯, 16세기를 읽으면서는 이순신을 뽑았다. 세종이 앞의 책에서 많은 부분 그 업적과 능력이 기술된 반면 이순신은 임진왜란 속에서 적은 분량에 소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동아시아 정세가 묘사된 것을 읽자하니 이순신이라는 인물이 참으로 위대하게 느껴졌다. 동시에 이 책의 매력이 드러나는 부분이기도 하다. 직접 기술하지 않아도 숨은 이야기를 느낄 수 있다.

 

'성리학'이라는 다소 재미없는 내용이기에 사실 전편에 비해서는 덜 재밌게 읽었지만 두번째로 읽어서 그런지 제목을 비롯하여 '16세기의 초점'이나 사진 자료 등을 더 잘 활용하면서 읽게 되었다. 시간에 흐름에 따라 명확한 주제를 드러내는 편집은 다시 한 번 신뢰감을 주었다. 앞으로 출간되는 시리즈도 계속해서 찾아 읽을 참이다.

 

 

이런 페이지, 정신이 확 들 만큼 반가운 구성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