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밍웨이의 글쓰기]라는 책은 우연히 도서관에서 책구경을 하던 중에 눈에 띄여 골라본 책이다. 사실 글쓰기에 대한 책들이 무척 많은데 다들 나와는 맞지 않는 글쓰기법을 너무 세세하게 기술하여 몇 장 읽지도 못하고 덮어버리는 경우가 많아서 이번엔 얇고 가볍게 그러나 '헤밍웨이'라는 타이틀 때문에 선택했는데 지금까지는 잘 읽고 있다. 글쓰기 법을 문화강좌에서 말로 할 것을 글로 길게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헤밍웨이가 각종 글에서 글쓰기에 대해 언급한 글을 엮은 책이라 뭘 배운다기 보다는 느낀다는 마음으로 읽고 있다. 다만, 엮은이의 글은 그렇다쳐도 옮긴이의 글이 왜 헤밍웨이의 글보다도 앞서 위치했는지 알 수가 없다. 소설도 아니고 번역이 유달리 어려울 것 같지도 않은데 뒤에도 없어도 되지 않을까 싶다. 엮은이의 말이면 충분하다.

 

밑줄(실제로는 도서관 책이라 밑줄 긋지 않고 다이어리에 옮겨적었다.)그은 부분을 정리해 본다. 원본 출처는 책을 참고^^

 

생쥐 : 그럼 상상력은요?

Y.C. : 정직성과 더불어 좋은 작가가 반드시 갖춰야 할 요건이지. 경험을 통해 더 많이 배울수록 더욱 참된 상상력을 가질 수 있지.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상상력을 펼쳐 보임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그가 말하는 것이 실제로 일어난 일을 그대로 옮겨 적은 것이라 믿게 만들 수 있다네.

 (17쪽)

-> '신뢰할 수 있는 상상력'이라는 말을 새겨야겠다.

 

  처음부터 장황한 글을 쓰거나, 뭔가를 과시하려는 것처럼 글을 쓰기 시작하면 복잡한 무늬와 장식들을 잘라내고 처음에 썼던 단순하고 진실한 평서문 하나로 다시 시작하면 된다는 사실을 깨우쳤다. (25쪽)

->헤밍웨이의 말이 무슨 말인지는 이해하겠다만 번역만 두자면 뭔 소린지...우려가 현실로!

 

생쥐 : 하루에 집필하는 양이 얼마나 되나요?

Y.C: 가장 좋은 방법은 글이 잘 풀리고 다음에 무슨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있을 때, 바로 그때 중단하는 걸세. -----항상 글이 잘 풀릴 때, 멈추게.  (47쪽)

->선입견을 깬 그 한 마디 '글이 잘 풀릴 때, 멈추게'

 

  연필로 글을 쓰면 세 가지 관점에서 내가 원하는 것이 독자에게 전달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먼저 글을 전체적으로 다시 읽어볼 때이고 그 다음은 타이핑을 할 때 글을 손 볼 기회가 한 번 더 있다. 그리고 교정지를 볼 때 다시 고칠 수 있다. 처음에 연필로 글을 쓰면 교정할 수 있는 기회가 3분의 1이 더 많아진다. 3할대는 야구의 타자에게도 무척 높은 승률이다. 무엇보다 좋은 점은 글의 호흡이 길어져서 더 쉽게 개선시킬 수 있다. (61-62쪽)

-> 나도 연필 사랑하는데...?라며 막 끼워 맞추기 하는 중^^

 

  나는 글쓰는 일이 정말 좋습니다. 글을 쓸 때처럼 행복할 때가 없어요. 내가 매일 쓴 글자 수를 세는 걸 보고 찰리가 놀려대는 건 나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글에 대해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지요. 아니면 자신이 원하는 대로 422단어를 정확하게 썼을 때 얼마나 행복할 수 있는지 모르기 때문일 겁니다.

  1,200단어나 2,700단어를 쓴 날은 믿을 수 없을 정도의 행복감을 느낍니다. 400-600단어 정도가 내가 훨씬 더 잘 쓸 수 있는 속도라는 것을 알고 나서는 그 정도에 늘 만족합니다. 하지만 320단어밖에 못썼을 때도 기분이 좋습니다. (68-69쪽)

->정말 아름다운 문장이다. 이 글로도 충분히 헤밍웨이의 글이 얼마나 훌륭한지 알 수 있다.

 

"먼저 작가에게 해를 입히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것이 무엇인지 말해주시겠어요?"

나는 심오하게 말했다.

"정치, 여자, 술, 돈, 야망이지. 그리고 정치, 여자, 술, 돈, 야망이 결여된 것이라네." (95쪽)

글쓰는 일은 정말 어려워요. 산문을 쓰는 일은 전적으로 매달려 해야 하는 일이고 가장 좋은 글들은 모두 잠재적 의식 속에서만 만들어집니다. 그러니 잡무, 서평, 평론 등등의 일로 바쁠 때에는 아무것도 쓸 수가 없지요. (107-108쪽)

-> 그러니까 나는 지금 아무것도 쓰지 않는 상태라는 말씀이시다...

 

칸타나 호텔이나 팜플로나 또는 스페인에서 편지를 써주게. 자네는 편지를 쓰고 싶지 않나? 나는 편지가 쓰고 싶네. 편지를 쓰는 건 일은 하지 않으면서도 뭔가 해냈다는 느낌을 주는 아주 멋진 방법이거든.(109쪽)

-> 아, 그렇구나. 그래서 내가 편지를 쓰는 것일 수도 있겠구나. 결국은 불안을 숨기기 위한 제스처라는 말이구나.

 

생쥐 : 그건 대학에서 가르치는 글쓰기 방식이 아닌데요.

Y.C. :  난 그런 건 잘 모르네. 대학에 다녀 본 적이 없거든. 하지만 글을 쓸 줄 안다면 어떤 빌어먹을 놈이 대학에서 글쓰기를 가르치겠나. (126쪽)

-> 글쓰기 어쩌고 저쩌고 책이나 강좌에 대한 의문들이 확 올라온다.

 

상징적 표현이란 건 없다는 거죠. 바다는 그저 바다입니다. 노인은 그저 노인일 뿐입니다. 소년은 소년이고 물고기는 물고기입니다. 상어는 그냥 상어이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사람들이 말하는 상징적 표현이란 것은 모두 헛소리입니다. 그 이상의 의미란 자신이 알고 있을 때, 그 이상을 보는 것이지요.(139쪽)

-> 또 한 번 헤밍웨이에게 퐁당!

 

개인적인 비극은 잊어버리게. 우리 모두 애초부터 실패한 인생이네. 특히 자네는 지독하게 상처를 입어야 진지하게 글을 쓸 수 있을 걸세. 지독한 상처를 입으면 그걸 활용하게. 숨기려 들지 말고, 과학자처럼 그 상처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게. 자네 자신이나 자네 가족들에게 생긴 상처라고 해서 그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는 안 되네. (152쪽)

-> 사연팔이라고 생각해서 드러내지 않는 것이고, 그런 글들을 썩 좋아하지 않는다. 중요해서 숨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전혀 중요하지 않아서 드러내지 않는 것이다. 헤밍웨이와 처음 생각이 반대가 되었다.

 

신비주의는 불가사의하고 알 수 없는 일을 의미한다. 세상에는 많은 신비가 있다. 하지만 능력 부족으로 쓴 애매모호한 글들은 신비롭고 불가사의한 일이 아니다. 사이비 서사적 특질을 주입하여 부풀려진 저널리즘 역시 문학이 될 수 없다. (180쪽)

 

사실 명언집 같은 책 별론데, 이 책을 읽으면서 헤밍웨이에 대한 애정이 더 깊어졌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