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고전 독서법 진경문고
정민 지음 / 보림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민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이야기에서 벼리를 처음 알게 되었으니 지금 벼리는 중고등학생 쯤 되지 않았을까? 벼리의 이름을 오랜만에 들으니 반가웠다. 이 책은 그렇게 다정한 아버지의 목소리로 이야기한다.
 
책을 잘 읽는 방법에 대한 궁금증은 책에 흥미를 가진 사람이라면 한 번 쯤 가져봤을 것이고, 아마 거기에 대한 답은 대부분 유보한 상태일 것이다. 나 역시 그러하다. 정민 선생님은 고전문학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통해 책을 잘 읽는 방법을 하나 하나 짚어준다. 사실 독서법에 대한 책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건 어른을 대상으로 하건 많이 나와있는 편이지만 전적으로 한국적인 방법을 제시한 이 책이 매우 신선하게 느껴진다.
 
<책 이야기>에서는 '책'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우리 나라를 중심으로 중국, 이집트, 서양의 책에 대한 여러 정보들을 통해 책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느끼도록 하고 있다. 다짜고짜 독서법에 대하여 이야기 하지 않고 이렇게 '책'을 사랑하는 마음가짐을 짚어주는 것이 좋았다. 어떤 것의 방법론을 익히기 전에 그것에 대한 애정을 갖게 하는 것이 교육의 첫 걸음이 아니겠는가? 이 책에 나온 '침자리'에 대한 에피소드를 보면서 우리의 조상들이 얼마나 책을 소중히 다루었는지 느껴졌다. 정민 선생님이 말씀하신대로 옛날엔 책이 귀해서 못 읽고 요즘은 책이 흔해서 못 읽는다는 말이 맞는 것 같다. 책을 좀 귀하게 여기면 좋겠다.
 
<책, 어떻게 읽어야 할까>에서는 독자들이 특히 자녀를 둔 부모들이 가장 궁금해 할 독서의 올바른 방법에 대하여 이야기 한다. 우리는 익히 독서 방법 중 정독, 통독, 발췌독 등을 알고 있다. 하지만 그 중에 어떻게 읽는 것이 바람직한지 궁금해한다. 선생님은 정독할 책은 정독하고 통독할 책은 통독해야 한다고 운을 떼며 시작하지만 결국 가르침을 받다보니 쉽지 않은 그러나 아주 튼튼한 책읽기의 방법을 익히게 된다. 정민 선생님을 정민 작가님이라고 하지 않고 선생님이라는 호칭을 붙인 이유를 알 것 같았다. 무언가 가르쳐주고 싶은 내용이 있을 때 성급하게 그것을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지 않고 어린 독자들을 잘 다독이며 따라오게 한다는 느낌이 들었다. 가령, 책을 읽는 방법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 이 책의 제목에 걸맞게 어려운 고전을 예시로 들 수도 있건만 '여우누이'나 '만화 삼국지'로 말문을 열어 독자들이 두려움을 떨치고 가르침에 따르게 한다. 선생님도 아주 좋은 선생님이다.
 
다양한 그러나 그 중 골라하는 방법으로서의 다양함이 아니라 하나 하나 모두 따라야할 다양한 방법들이 지루하지 않게 제시된다. 박제가나 이덕무, 박지원, 이익, 정약용 등 우리에게 잘 알려진 위인들의 예화부터 양연이나 허조 등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분들의 독서법까지 아주 많은 예화들이 실려있다. 물론 내용에 걸맞는 그림자료들도 흥미를 끈다.
 
마음이 급한 독자는 이 쯤에서 사실 빨리 다 배우고 싶은 마음에 서둘러 읽을 수가 있는데 그것을 말리고 싶다. 많은 독서법을 선생님이 알려주시지만 사실, 그것들 중 우리가 골라 실천해야 할 것이 아니라 모두 체화할 필요가 있는만큼 천천히 읽어 이 책부터 이 책에 나타난 방법대로 읽으면 좋겠다. 여러 번 읽고, 옮겨 적어도 보고, 작은책으로 만들어보면서 말이다.
 
<책 아닌 것이 없다>는 책세상에 대한 이야기를 펼쳐놓는다. 책이 곧 세상이라는 말로도 해석이 되는데, 삶을 살 듯 책을 손에서 놓지 않고, 책에서 손을 놓지 않듯 삶을 살아간다는 것의 아름다움이 느껴진다. 세상을 넓게 사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 책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 말이다. 많은 옛사람들의 독서 습관과 그에 얽힌 이야기가 흥미롭고도 의미있게 담겨 있는 이 책이 초등학생 어린이가 있는 집에 한 권씩 꽂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일찍부터 책읽는 튼튼한 방법을 습관 들이고 싶다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