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 수염 생쥐 미라이 보림문학선 9
창신강 지음, 전수정 옮김, 김규택 그림 / 보림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쥐 띠인 아들은 남들보다 한글을 빨리 떼었다. 미라이를 보며 아들을 떠올렸다. 사실 이른 나이에 한글을 뗀 아들이 좀 못마땅했다. 감성을 잃어버릴까 염려되었기 때문이다. 미라이를 보며 위안을 받았다. 미라이 같은 현명한 아들이길 바라는 마음이 들었다.

 

쥐에 대한 동화는 많다.  옛이야에도 많고 유명한 그림책 <프레드릭>을 비롯하여 많은 그림책의  주인공이 되기도 한다. 이야기 속에서 쥐들은 영리하고 부지런하다. 약삭빠르기도 하고 익살맞기도 하다. <파란 수염 생쥐 미라이>에 나오는 쥐들은 이 모든 유형들이 나온다. 권력욕에 빠진 미자자, 우직하지만 마음 따뜻한 미후, 뭔가 어정쩡한 또우즈 집안의 쥐들, 마음 착한 형 미상인, 그리고 현명하고 인격적인 미라이까지 다양한 유형의 인물들이 마치 우리 사람 세계를 보는 것과 같다. 물론, 사람도 나온다.

 

책은 무척 두껍지만 이렇듯 다양한 인물들이 갈등과 해결을 통해 오밀조밀 엮이며 이야기를 진행시키기 때문에 전혀 지루하지 않다. 중국 작가의 소설을 읽는 경우도 많지 않지만 중국 작가의 동화책을 읽는 것은 처음인데 굉장히 흥미롭게 읽었다. 구성이 돋보인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우리는 이 책을 읽으면서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쥐 미라이를 보면서 즈루이와 그의 딸 리리가 그랬듯이 독자들 역시 마음의 변화를 느끼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인간다움'이다. 우리가 잃어버린 인간다움 말이다. 서로 소통하지 못하는 사람들, 상대를 이해하지 못하고 자신의 입장만 주장하는 모습들을 돌아보게 하는 것은  작은 파란수염 생쥐 미라이이다. 단지 그가 인간의 언어로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에 신기한 것이 아니라 그가 인간의 마음으로 이야기 하고 있기 때문에 신기한 것이다. 

 

  그렇다면 미라이를 통해 작가가 말하고픈 '인간다움'이란 무엇일까. 이야기 속에서 우리는 이런 저런 많은 가치들을 발견하게 되지만 그중 가장 드러나는 가치는 '존중'이다.  상대방을 존중하는 마음을 잃어버린 우리 인간들이 '존중'하며 살아가는 쥐 미라이를 통해 인간다움을 재인식하게 되는 것이 이 이야기의 주제라 할 수 있다. 그 변화를 가장 드러내는 것이 리리이지만 사실 즈루이도, 다른 쥐들도 모두 '존중'이라는 가치를 여러 사건들을 통해 배워가고 있다. 물론 책을 읽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이다. 서로의 언어로 서로를 감동시킨다는 행위가 얼마나 아름다운 것인지 깨닫게 된다.

 

 책을 읽는 내내 미라이에게 푹 빠진 우리 가족은 얼른 아들이 자라서 이 책을 읽어보기를 바란다. 다섯 살 난 아이가 읽기에는 무리가 있는 내용이라 그 아이를 기르는 어른들이 읽어보았지만 책을 읽고 우리는 우리 아이가 딱 미라이처럼만 인간다웠으면 한다.  할머니와 엄마의 이 바람이 아이를 기르는 가치관에 묻어나는 것을 희망해야겠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두꺼운 양장본인데 책갈피 끈이 없다는 것이 많이 불편했다. 무슨 이유인지 잘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