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일드 Wild - 송인섭 교수의 AI시대의 감성 창조 교육법
송인섭 지음 / 다산에듀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의 학생들은 하루 15시간 동안 학교와 학원에서 미래에 필요하지도 않은 지식과 미래에는 있지도 않을 직업을 위해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는 엘빈 토플러의 말은 들을 때마다 뒤통수를 얻어 맞는 듯 섬뜩하다.  알파고 이후 우리에겐 더욱 더 가까운 두려움으로 다가오는 인공지능은 이제 더 이상 눈 가리고 안 본다고 없어지는 대상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확실한 미래로 자리잡았다.

 

책에서는 인공지능과 더불어 살아가야 할 인간의 덕목으로 자생력을 꼽고, 자생력의 가운데에 통찰력을 두고 통찰력있는 융합력, 통찰력있는 창의성, 통찰력있는 리더십을 자생력의 3요소로 꼽았다. 그러면서 각각의 요소에 필요한 덕목을 부연 설명하여 알기 쉽게 풀어놓았다. 바로 이 자생력이 이 책의 제목인 'WILD'이다.

 

내가 가진 직업이 프레이와 오스본 교수의 말에 따르면 미래에도 1%미만으로 로봇에게 대체된다고 하니 일단 나는 좀 안전한 걸로 치고, 그럼 내 아이는? 지금 내 아이에게 가장 부족한 게 무엇일까? 내 아이도 쓸데없는 것을 배우느라 십 여 시간을 공부하는 셈인 건가? 그건 내가 가장 싫어하는 비효율적, 무의미한 행위인데 그걸 내 아이에게 시킨다는 건 정말 죄짓는 기분이다.

 

이 책에서는 인공 지능에게 없는 인간의 능력 중 하나가 '동기'를 갖는다는 점으로 꼽았다. 그렇다. 로봇은 인간이 프로그래밍하는 대로 할 뿐, '~하고 싶다.'는 없을 테니까. 하다 못해 '공부하기 싫다.'는 생각도 못할 것이고 말이다. 그런데 내 아이는? 또 묻는다만 내 아이에게 동기가 확실한지 난 확신하지 못한다. 공부를 왜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건네 보니 다행히 엄마가 시켜서 한다는 말은 안나왔지만 돈을 벌려고 라는 실망스런 답이 나오긴 마찬가지였다. 이런 아이 괜찮을까요 선생님?

 

송인섭 교수는 여러 사례들을 제시하며 자신이 실해한 자생력 프로그램의 과정을 보여주어 읽으면서 태현이라는 아이의 사례는 내 아이의 모습과도 다소 겹쳐서 더 관심있게 볼 수 있었다. 다른 부모라면 다른 아이의 모습에서 내 아이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으리라. 다 읽고 나서 아이에게 사례가 나타난 부분만 한 번 읽어보라고 주고 나왔다. 내가 생각하는 아이의 모습과 자기가 생각하는 아이의 모습이 같은지 다른지 부터가 궁금했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시도해보지 못한 홀랜드 직업흥미검사를 한 번 해보고도 싶어졌다. 한의원에서 체크리스트를 하나씩 체크하면서 내가 공통적으로 어디가 나쁜지 알게 된 것처럼 어떤 검사지는 나의 상태를 진단해 줄 수 있을 테니까 말이다.

 

우리 아이는 몰입을 잘 하는 편인데 책에서 집중을 잘 하는 것처럼 보여도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고 하여 뜨끔했다. 책을 열심히 읽길래 같이 이야기나 나눠보자고 이것저것 물었더니 이상한 소리만 했던 경험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자생력이 몰입과 깊은 관련이 있다하니 좀더 아이를 새롭게 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급해서는 절대 안 될 일이다.

 

살다살다 이렇게 새로울 수 없을 정도의 새로운 내용은 아니었지만 사레들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었고 그것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 드러나 있어 그저 겁만 먹기 쉬운 인공 지능 미래 시대를 어쩌면 생각보다 쉽게 함께 잘 지낼 수도 있겠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마치 우리가 지금의 코로나와 함께 잘 지낼 수 있을 지도 모를 것처럼. 그런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