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가시노 게이고의 추리소설과 중드원작 소설을 올해 내도록 꾸준히 읽는 중이라 우리나라 역사 소설을 손에서 놓은지 꽤 되는데 어쩌다보니 지난 달엔 오랜만에 우리나라 역사 소설 두 권을 연달아 읽었고 공교롭게도 두 권 모두 한 출판사의 소설이라 한 번 비교해보면 재밌겠다 싶은 생각이 들었다. 사실 읽은 지가 한 달 가까이 되다보니 내용적인 면에서는 비교가 좀 어려울 수도 있겠지만 추리소설의 형식이 가미된 터라 이 글을 위해서라면 내용을 잊어버린 게 다행일지도 모르겠다.

 

 

 

     

 

 

 

 

 

 

 

 

 

 

 두 소설 모두 남편과 같이 읽었는데 [살아서 가야한다]는 남편이 먼저 읽었고, [밀찰살인]은 내가 먼저 읽고 난 다음 남편에게 권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는 [살아서 가야한다]의 몰입도에 더 높은 점수를 줬는데 남편은 [밀찰살인]의 개연성에 무척 깊은 인상을 받은 듯 [밀찰살인]을 읽으면서 연신 '이 책 재밌다!'며 말하곤 했다. 읽는 이에 따라 더 재밌고 덜 재밌는 책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새삼 다시 알게 되었다.

 

  [살아서 가야한다]의 배경은 병자호란 즈음이며, 신분이 전혀 다른 두 남자가 청나라에 잡혀가서 신분 떼고 오직 몸으로 일하는 고된 살이를 하던 중 양반인 강은태와 노비인 황천도의 신분을 바꾸는 순간을 기점 삼아 이야기가 급박하게 전개된다. 신분을 속이며 사는 황천도와 그를 끊임없이 의심하는 이들과의 대립구도는 팽팽한 긴장감을 주며 문득문득 마주하는 문장이 그 긴장감을 더욱 고조시켜 앉은 자리에서 끝을 봐야하는 류의 소설이다.  그날 잠을 미뤄가면서까지 끝을 보게 만든 스토리의 힘은 큰 매력이다만 남편은 아내도 의심하는 사람을 어찌 아비가 못 알아보나 의아해했다. 그럴 수도 있겠다만 나는 강은태의 아버지도 황천도가 강은태가 아니란 것을 알아봤을 거라 생각했다. 다만 알아본 티를 낼 수 없었으리라 추론해본다. 그것은 곧 멸문을 뜻하는 것이니까. 그렇게 보면 개연성 문제도 납득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밀찰살인]은 정조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포도부장 오유진과 정조의 뮤즈(?) 정약용이 정조 중독 사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펼쳐지는 심환지와의 팽팽한 머리싸움, 속도전이 재미를 주는 소설이다. 수많은 역사서를 쓴 작가답게 역사와 허구를 섞는 솜씨가 무척 능숙하다. 정순왕후와 심환지가 정조 암살 주범일 것이라는 주장에 대한 반대 근거로 나오는 정조와 심환지가 주고받은 밀찰을 대곤 하는데 그 밀찰을 도리어 그를 범인으로 모는 도구로 착안한 점이 새롭다. 남편은 그런 내역까지는 몰랐던 것 같고 이야기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빨려들어가는 것 같았다. 하지만 나는 정조의 이야기는 광해군의 이야기만큼이나 이젠 좀 식상하다 느낀 참이라 좀 피로하다. 하지만 앞서 말한 착안점에 대해선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우리 아들도 좋아하는 박영규 선생님, 박수 짝짝짝!

 

  두 역사 소설은 모두 추리 소설의 형식을 띠고 있어 이 글의 제목 그대로 '재미주의 역사 소설'이다. [살아서 가야한다]는 말 그대로 재미에 올인하며 읽었고, [밀찰살인]의 경우 정조에 대한 색다른 시선을 경험했다. '세종대왕과 더불어 대왕의 칭호를 쓰는 유일한 조선의 왕! 아버지 사도세자에 대한 한과 애정이 컸던 왕!'으로만 알았었는데 독선과 술수로도 그를 설명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앞의 책이 소설에 방점이 찍힌 역사소설이라면, [밀찰살인]은 역사에 방점이 찍힌 역사소설이라고 나름의 구별을 했다. 어쨌거나 재미주의 이 두 역사 소설은 최근에 읽은(이라고 썼더니 내가 우리나라 역사 소설을 최근에 읽은 게 언제더라,,,,,,김탁환?) 역사 소설 중 추천하고픈 책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