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콘의 한 꼭지였다. 여자가 군대에 대해 많이 알아서 군필자들이나 쓰며 낄낄거리는 용어들을 사용하는 데 웃음 포인트를 둔 모양이었다. 여자가 물었다. 너, 보직이 뭐였어? 남자가 대답했다. 당번병. 그러자 여자가 말했다. 와, 꿀 빨았네.
와, 그 꿀은 정말 빨만했다. syo의 인생에서 가장 행복했던 순간 베스트 10을 꼽으면, 3~4개는 군대에서 겪은 일일 것이다.
syo는 친구들이 예비군도 꺾여드는 나이, 스물 일곱에 입대했다.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함께 공을 차던 어린 날의 친구는 syo가 병장을 달았을 때 대위가 되어 있었다. 그런 나이였다. 그럼에도 부대에는 syo보다 한 살 많은 선임이 있었다. 이소룡을 닮은 그 사람은 서른 먹고 집으로 돌아 갔지만, 군대에 있는 내내 뭔가 의심스러울 정도로 건강했다. 무려 한 살이나 어린 syo는 평생을 책상물림으로 살다 보니 과체중 저체력으로 항시 비실거렸고, 그 탓에 최고 연장자도 아니면서 영감 컨셉을 강요 받으며 부대생활을 했다.
그건 너무 좋았다. 야, 영감님 허리 나가신다, 니들이 들어드려. 야, 나이 많은 사람한테 그러는 거 아냐, 화장실 청소는 니들이 해. 지금 생각하면 선임들도 좀 안 된 것이, 두세 살 많으면 어떻게 눈 딱 감고 막 해볼 수도 있었겠으나, 제대하면 이제 2학년에 복학할 애들한테 대학까지 마치고 온 노인은 그래도 함부로 하기가 어려웠던 거라, 뭐 시키려다가도 막상 syo의 주름진 얼굴을 마주하면 그저 입맛을 다실 뿐, 결국은 자기 손으로 하고 마는 자율형 선진 부대문화가 자동으로 정착되었다. 그들도 설마 주민번호 앞자리가 8로 시작하는 인간이랑 먹고 자고 뒹굴 일이 인생에 있으리라고는 상상도 못했을 것이다. 착한 자식들, 내가 수학 과학 가르쳐서 대학 보낸 애들이 꼭 니들 나이였단다. 이렇듯 가만히 있어도 한껏 스위트한 군 생활이었는데, 갑자기 바뀐 보직은 마치 초콜릿에 꿀을 발라 준 양상이었다. 아 달다 달아.
당번병이라는 보직은, 요즘 인구에 회자되는 공관병과 유사하다. 공관병은 보통 별을 단 군인들의 집에 상주하며 할 일 못할 일을 도맡아 하는 아이들인데, 당번병은 지휘관들이 근무하는 곳 바로 옆 방에서 하루종일 이런 저런 시중을 들다가 지휘관이 퇴근하면 내무반으로 돌아가는 아이라고 보면 된다. 전화 연결부터, 서류를 넣고 빼는 일, 그리고 지휘관의 그날 기분을 살펴 전파함으로써 그날 하루 부대 전체의 분위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조성하는 역할도 했지만, 무엇보다 많이 했던 일은 커피 만들기였다. 1년 남짓 당번병 생활을 하며, 1만 잔에 달하는 믹스 커피를 제조하였다. 4천 잔부터는 믹스 커피의 종류에 미혹되지 않았고, 5천 잔부터는 카페인과 설탕의 이치를 알았으며, 6천 잔에는 귀가 뚫려 물 붓는 소리만으로도 맛을 짐작할 수 있었고, 7천 잔에는 마음 먹은 대로 타도 법도를 벗어나지 않았다. 한 여름 훈련때는 남들 탄알집 넣는 자리에 커피 스틱 50개를 넣고 훈련장을 누볐고, 남들 총들고 적군의 위치를 수색할 때, syo는 페트병을 들고 얼음의 위치를 수색하였다. 기거이 기가 막힌 냉커피를 대령하여 시찰 나온 사단장의 얼굴에 웃음꽃이 피었고 그 덕에 4박 5일 휴가를 떠나는 일도 있었다. 이런 게 syo의 군대 무용담인데..... 어쩌다 이야기가 여기로 흘러왔을까. 역시 남자들 군대 이야기란 노답이다. 꼴랑 저것도 군대생활이라고 아주 신나서는......
왜 이런 이야기를 시덥잖은 이야기를 하느냐, 사실은 그 이유조차 시덥잖은데,
스물 여덟이면 젊디 젊고 꽃다운 나이였는데, 고작 10km 마라톤에 나갔다가 왼쪽 다리가 어쩐지 아작났다. 당시 거의 두 달 정도 카이저소제 생활을 했고, 그 이후에는 걷거나 잠깐 뛰는 데는 문제가 없었으나 5km 이상 뛰거나 군장 메고 15km 정도 행군하면 아팠다. 정확한 위치는 무릎 뒷쪽, 그러니까 오금이라고 부르는 그 부위다. 아, 군대가 내 오금을 강탈해갔어. 나는 무라카미나 김연수처럼 읽고 쓰고 뛰면서 선선하게 살 수 없는 비참한 운명이 되어 버린 것이다.
날씨도 좋은데 오래 동거한 뱃살이나 분가시켜 보겠다고 좀 뛰었더니 여지없다. 계단이나 내리막을 내려갈 때가 난코스다. 뒤지게 아픈 것은 아니지만 참 짜증나는 방식으로 아프다. 한 이틀 지나면 통증은 사라지지만 영영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지금도 살살 아프다. 그러니까 서른 넘게 쳐먹고 아프다고 징징대는 것이 이 긴긴 글의 목적이었던 것입니다......징징징.




데이비드 흄도 타이즈는 신었지만 달리기는 하지 않았다.
_ 데이먼 영,『지적으로 운동하는 법』
잠자코 있으라고 하면 언제까지고 잠자코 있을 수 있다. 그것은 조금도 힘들지 않다. 혼자 책을 읽고 음악을 듣고 밖에 나가서 뛰고, 고양이와 놀다 보면 금세 일주일이 지나가버린다.
_ 무라카미 하루키,『샐러드를 좋아하는 사자』
달리기는 언제나 즐거운 일이다. 시작할 때 그렇지 않다면, 끝날 때는 반드시 그렇다.
_ 김연수,『지지 않는다는 말』
앞으로 일생 동안ㅡ내가 확실히 깨달은 바ㅡ나는 고통, 공허, 위협이 엄습해오는 것에 맞서 기쁨을 쌓는 일에 매진할 것이다.
_ 알렉상드르 졸리앵,『인간이라는 직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