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江東
1
일단 강동구입니다.
안녕하세요, 강동구민 여러분. 무엇을 도와드릴까요.
2
스웨덴 한림원은 도박 사이트 놀리는 게 설립취지인 것 같다. 언제나처럼 이번에도 전혀 뜻밖. 페터 한트케라니, 만세.
사이러스님과 카페에서 모 도박 사이트가 발표한 배당률 리스트를 보며 나눴던 이야기가 생각난다. 앤 카슨을 최우선 순위에 올려놓은 그 리스트에는 정말 듣도 보도 못한 이름이 굉장히 많았다. 특히 마지막 줄에 있는 ‘야 후아’던가 ‘야후 아’던가 하는 분은 누구신지 정말…… 검색해도 ‘야후 아르헨티나’ 막 튀어나오고…….
가즈오 이시구로가 노벨상을 받은 해는, 발표 다음 날 아침, 도서관이 문을 열자마자 쳐들어가서 국내 번역된 이시구로의 모든 책을 싸그리 낚아채 왔더랬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내일은 강동구에 가야해서 도서관 털이는 애초에 물 건너 간 셈이다.
페터 한트케에 대해 말하자면, 그의 책을 여러 권 읽었는데, 이런 걸 의식의 흐름 기법이라고 하나, 하여간 막 천지분간 없이 휘젓고 다니면서 아무래도 쓸데없어 보이는 것에 대해 길게 이야기하거나, 맥락도 없이 대뜸 진지한 자기고백을 하며 한 페이지를 뚝딱 해먹는 등장인물들이 잔뜩 등장한다. 그런 경우 대체로 안 읽어지게 마련이다. 알프레드 되블린의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이라든지, 가즈오 이시구로의 『위로받지 못한 사람들』이랄지 그런, 독해는 되는데 해독이 안 되는 희한한 작품들과 맥이 닿아있는데, 놀랍게도 한트케의 작품들만큼은 그 와중에도 끝까지 읽어진다! 그건 어쩌면 소설가와 독자의 주파수 문제일 수도 있겠다.




올가 토카르추크라는 분은 안녕하세요, 처음 뵙겠습니다.
3
다시 각 잡고 책 이야기를 좀 써야 하는데 어찌된 일인지 맘이 찌뿌둥하다. 어떻게든 해내던 월말 결산, 주말 결산 같은 것들도 한 번 손을 놓았더니 다시 시작하기가 쉽지 않다. 역시 인생은 기세.
알라딘이 자꾸 작년 재작년 이맘때 syo가 찌끄려 놓은 글들을 갖다 대는데, 당시에는 정말 후지다 생각했던 것들이 오늘 다시 보니 와 저게 어디야 싶다. 역시 인생은 쇠락.
일단 서울이나 다녀와서 생각할까. 역시 인생은 내일…….
--- 읽은 ---




+ 읽거나 말거나 / 비스와바 쉼보르스카 : 279 ~ 456
+ 30분 회계학 / 가네코 도모아키 : 217 ~ 352
+ 자본론 공부 / 김수행 : 137 ~ 283
+ 프란츠 파농 새로운 인간 / 프라모드 K. 네이어 : 193 ~ 301
--- 읽는 ---





= 딩씨 마을의 꿈 / 옌롄커 : 367 ~ 497
= 내가 화가다 / 정일영 : ~ 153
= 기초 확률과 통계 / 박대수 : ~ 102
= 옥스퍼드 중국사 수업 / 폴 로프 : ~ 140
= 나는 열정보다 센스로 일한다 / 최용진 : ~ 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