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시 컴 홈(Cathy Come Home, 1966)
데뷔작을 보면, 괜히 작가와 친해진 기분이 듭니다.
토요일에 새벽같이(오전 9시 반. -.-v) 일어나 동숭동 하이퍼텍 나다로 달려간 것도,
좀처럼 오기 어려운 기회(켄 로치의 데뷔작을 볼 기회)를 놓치고 싶지 않아서였지요.
사실, 여태까지 켄 로치의 데뷔작이 뭔지도 모르고 살았는데,
일단 알고 나니 못 보면 후회할 듯 열이 오르지 뭐예요.
[캐시 컴 홈]은 캐시라는 젊은 여자가 답답한 시골집을 떠나 도시에서
직장을 얻고, 한 남자와 사랑하고,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실직을 경험하고, 중산층의 환상이 너무도 쉽게 몰락하는 과정을
다큐멘터리처럼 이야기합니다.
몸 다친 데 없이 직장에서 월급을 받는 동안,
우리는 마치 안정된 중산층인 양 착각하지만,
사실은 한 발 삐끗하면 누구나 홈리스가 될 수 있음을 알려줍니다.
누구나 될 수 있는 홈리스를,
게으르고 지저분한 별종 인간(“집시”) 취급하며
아주 쉽게 배제해 버리는 ‘주류 사회’의 인식이 얼마나 터무니없는가도.
이 영화에 나오는, 1960년대 영국 도시 빈민가의 모습은
50〜60년대 흑백 사진에 보이는 한국의 달동네 풍경과 그리 다르지 않더군요.
오늘 저녁엔 켄 로치의 세 번째 작품 [케스]를 보러 갑니다.
[케스]는 전에 아주 인상 깊게 보았던 소설(http://www.aladin.co.kr/blog/mypaper/459411) 인데,
켄 로치가 이 소설을 가지고 영화를 만들었다는 건 이제 알았어요.
진창 속의 흑요석 같은 이 소설을 어떻게 영화로 만들었는지 꼭 봐야겠습니다.
위에 올린, 특별전 리플렛 사진이 바로 [케스]의 한 장면입니다.
하이퍼텍 나다에서 11월 9일까지 열리는 켄 로치 특별전에 대해
알려주신 바람구두님께 감사~ ^^

하이퍼텍 나다 상영관 안에서. 영화 상영 전후에는 커튼을 열어놓는데,
좌석에 앉아 항아리가 놓인 소박한 바깥정원을 보는 것도 그윽한 맛이 나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