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건 정말 칭찬이다.

전에 읽었던 공지영은 왠지 제 안에 콕 쳐박혀 좁은 창틈으로 세상을 내어다 보는 작가란 느낌이 강했다.
남들에게는 별로 관심이 없고, 그저 제 삶의 무게에 짓눌려 세상을 향해 소리를 지르려고 여린 비명을 지르는 듯한 목소리.

그래서 공지영 소설이 눈에 많이 띄었는데도, 별로 손이 안 갔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요즘 유난히 이 책이 여기 저기서 눈에 띄어 가볍게 읽었는데...
내용이 전혀 가볍지 않았다.

제목부터가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이 뭐냐.
'우리'라니... 그리고 '행복'이라니...
공지영은 '우리'란 말도 별로 좋아하지 않았던 작가고, '행복'같은 건 더더군다나 관계찮던 작가 아닌가?(내가 그의 소설을 몇 편 안 읽기도 했지만, 암튼 내 감으론 그렇다.)

그런데, 이 소설에선, 우리와 행복과 <시간>을 절묘하게 그려내고 있다.
나에게 주어진 '삶'과 '삶의 의미'와 '의미를 위한 시간'의 삼각형을.

그도, 나도... 누구나 다 형편없는 주제에, 잰체하며 살고있단 것을 그는 말하고 있는 것일까?
주제가 무거운 반면, 이야기는 무겁지 않다.
죽음에 관한 이야기인데도, 그는 행복에 이을 수 있는 스토리를 전개한다.
양 어깨를 짓누른 혁수정과도 같은 내용을, 윤수와 이주임과 나의 꼴통같은 농담을 통해 공중부양 시키는 힘이 공지영에게 생겼다.

아이들에게 문학에 대해 강의를 하는 나지만, 솔직히 문학이 무엇인지 전혀 모른다.
그저 내 마음에 파문을 일으키고, 나를 잠시나마 공감하게 하고, 그래서 나를 움직이는 힘을 가질 수 있다면 그 문학은 성공한 문학일 수 있으리라... 추측할 따름이다.

이 소설은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모아모아모아서, <힘>을 획득한 그의 수작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 소설을 통해서 '사형수'는 '기결수'가 아닌 '미결수'여서 교도소로 못가고 구치소에 머문다는 사실을 알았다. 징역살이는 갇히는 순간 실형을 사는 것이지만, 사형은 집행되는 순간까지는 실형이 유예된 것이란 무서운 사실을... 소름끼치는 노릇이다. 인간이 인간을 판단하는 일은.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주 2006-04-12 21: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은 칭찬이 자자하더군요. 고등어에서 (읽기를)멈추었었는데 다시 시작할까요?^^

글샘 2006-04-12 17: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람을 괴물처럼 대하면 그 사람은 진짜 괴물이 된다.'는 말이 무서웠습니다.

혜덕화 2006-04-12 19: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공지영에 대해 님과 비슷한 생각을 갖고 있었어요. 예전에 수도원 기행을 읽으면서 축복받은 작가라는 생각을, 이젠 좀 달라진 글쓰기를 만날 수 있겠구나, 스치듯 생각했었습니다. 성장하는 거겠죠. 끊임없이. 그녀도 우리도......

해콩 2006-04-13 13: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결국 괴물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군요. --
그런데...역명제도 가능일까요?
"괴물을 사람답게 대하면 그 괴물은 진짜 사람이 된다."

소설이 영화화되면 감동이 반감되던데 이 영화는 봐볼까 생각 중이예요. 개인적으로 이나영을 좋아하기도 하고.. 강동원도 조금 궁금?하고.. 소설 보면서 많이 울었어요. 슬픈 소설이 좋으니.. 나이를 먹었나..

글샘 2006-04-13 14: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혜덕화님... 공지영의 수도원 기행도 좋은 글이었지요. 이 책은 재미도 있고, 생각할 문제를 많이 던져주더라고요. 삶과 죽음은 과연 무엇인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해콩님, 괴물을 사람답게 대하면 그 괴물은 사람이 된다...가 이 소설의 주제 아닐까 합니다. 글쎄요... 영화는...어떨는지 몰겠네요.

블루 2006-06-24 23: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랜만에 선생님 서재에 들릅니다.저도 이 책을 오늘 다 읽고 책꽂이에 꽂았어요.얼마나 울었던지... 저도 공지영 소설을 열심히 읽었었죠.사람에 대한 예의,고등어,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등등.난 이렇게 아팠다,이렇게 고민했다 얘기하는거같은 작가가 읽기 편치 않았습니다.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은...제가 읽었던 공지영하곤 좀 달랐어요.책을 덥고도 눈물을 멈출수가 없어서 티슈통을 붙들고 엉엉 울었답니다.참 생각할게 많은 소설이었어요...